CHOSUN

공동주택 재난 회복력 향상을 위한 화재 안전 교육 서비스 디자인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성경 문정민
Issued Date
2021-02
Keyword
공동주택 재난 재난 회복력 화재안전 교육 서비스 디자인 감성적 회복력 Disaster of Apartment Resilience of Disaster Fire Safety Education Service Design Emotional Resilience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들어 생활환경에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크고 작은 사건과 사고들로부터 국민 스스로가 자신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위기 대처능력 배양을 위한 재난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2014년 세월호 사건과 2017년 포항 지진은 국민의 재난 대응력의 현황을 보여준 사건들로 재난 안전 교육제도 전반의 변화를 일으킨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매년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국민들의 재난 회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로써 화재 안전 교육 서비스 툴 킷 디자인을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실효성 있는 공동주택 화재 안전 교육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이론적 고찰과 사례조사를 통해 공동주택의 재난 특성과 함께 재난 회복력의 관계 및 공동주택의 화재 안전교육의 현황을 조사한다. 둘째, 공동주택 화재에 대한 현황파악과 주민 의견수렴을 위해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주민 교육을 위한 이해관계자맵, 터치포인트 및 고객여정 지도, 정보카드, 공동주택 화재 안전 교육 툴 킷을 개발한다. 셋째 앞서 디자인된 툴 킷들을 활용하여 공동주택 화재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수렴과 함께 화재 안전교육을 통해 공동주택 화재 안전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공동주택의 재난 회복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주민 재난 안전교육의 방향성을 제언 한다. (결과) 주민 워크숍을 통해 주민 의견 조사를 실시한 결과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공동주택의 재난 회복력 향상을 위해서는 노후 된 공동주택의 경우 화재로부터 물리적으로 안전한 공간 조성을 위한 소방 시설이 설치되어야 하며, 각 공간별 소방 시설에 대한 정보가 주민들과 원활히 공유되어야 한다. 화재 발생시 각 공간의 시설물을 원활하게 사용하여 대피하기 위해서는 현재 주택의 화재 안전 정보가 주민들에게 원활히 전달되어야 한다. 그리고 소방 시설 및 장비 사용법, 신체적 대응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공동주택 주민 중심의 지속적인 체험식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결론) 실효성 있는 공동주택 화재 안전 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주민 특성에 따른 지속적인 화재 안전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공교육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안전교육이 지속적으로 진행 될 수 있도록 하며, 안전교육과 훈련이 전문 교육 기관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방과 후에도 아동과 부모, 이웃이 함께 참여 할 수 있도록 지역 프로그램과 연계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공동주택 주민과 지역 커뮤니티, 전문기관이 함께하는 문화행사 진행을 통해 지역의 안전문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mportance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due to a number of small accidents that have recently occurred in the living environment. The 2014 Sewol ferry incident and the 2017 Pohang earthquake indicated the people's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These have created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overall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This study attempts to improve people's disaster resilience to deal with apartment fires that occur every year due to various causes. This study, through a fire safety education service toolkit, has collated the opinion of residents to recommend the direction of effective fire safety education for apartments. (Metho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resilience in apartments and the current status of fire safety education is investigated. Secon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fire safety education and collate residents' opinions, a stakeholder map for resident education, a map of touch points and customer journeys, information cards, and a fire safety education toolkit, have been developed us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ird, fire safety education was conducted to collect residents' opinions on fires in apartments using the designed tool kits. Based on this, the current status of fire safety education in apartments has been determined and the direc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residents has been suggested to improve disaster resilienc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residents' opin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To improve the disaster resilience of old apartments, firefighting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to create a physically safe space. Additionally, information on firefighting facilities in each space should be shared with residents. In the event of a fire, to enable the residents to use the facilities in each space to evacuate safely, the fire safety information of the current house must be clearly delivered. Furthermore, continuous experiential education focusing on the residents of apartment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 use of firefighting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enhance physical response capabilities. (Conclusions) To ensure effective multi-family fire safety education services, continuous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must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safety education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by linking it with existing public education subjects. It is important to link this education with local programs to ensure that it is not only provided by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allows children, parents, and neighbors to participate together after school.
Alternative Title
Service Design of Fire Safety Education for Increasing Disaster Resilience to Apartment
Alternative Author(s)
Choi, Seong-Kyung Moon, Jeong-Min
Department
Dept. of Lifestyle Design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Citation
최성경. (2021-02). 공동주택 재난 회복력 향상을 위한 화재 안전 교육 서비스 디자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6(1), 359–370. doi: 10.35216/kisd.2021.16.1.359
Type
Reasearch Paper
ISSN
1976-4405
DOI
10.35216/kisd.2021.16.1.3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646
Appears in Collections:
Dept. of Lifestyle Design > Moon, Jeong-Min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