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야외체험 활동이 대학생의 학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충용
Issued Date
20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ffect of experience in outdoor activities related to majors on the academic interest of university students in relation to biology. This study is a case study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and targets a total of 13 students (9 males, 4 female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biology at National University in metropolitan cities. Participants in the study participated in university outdoor activities for at least a year.
For the case study on how outdoor experience affects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academic interest' scale (Bongmi et al., 2012) which measures the psychological condition, including the recognition and sentiments that appear when engaging in specific tasks or subjects in academic situation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ers were divided into sub-regions of 'educational interest' and 'physical interest', and related questions were sub-divide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tudy participants via e-mail, and after confirming the study participants' completion of the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individual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 a semi-structured format and all the detail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interview was continuously analyzed with a Ph.D. in science education and a master's degree, and discussed the intent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as much as possible. Based on the social experience and mental experience shared with the study subjects, the intention of the interview was to be identified once agai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analysis are as follows. A total of 13 study participants (9 males and 4 fema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with a common category, based on their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Group A is a group that has been influenced by the high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through outdoor activities and further choice of course. Group B is a group whose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has been greatly aroused through outdoor activities. Group C is a group that did not generate any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through outdoor activities.
Students in Group A responded that outdoor activities have generated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furthermor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areer choices. After experiencing outdoor experience activities, students in Group A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field of biology related to outdoor experience, and were thinking positively about jobs related to the field of biology related to outdoor experience. Students in Group A said they were helped to choose their career path because they became interested in biology through outdoor activities and became more interested and maintained as they experienced the activity. The experience through outdoor activities seems to have given the students in Group A a great opportunity to enjoy what they saw, heard and felt, and to learn knowledge, leading to a decision on their jobs.
Students in Group B said that outdoor activities caused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and that it lasted for a long time. Students in Group B answered that the reason why outdoor activities have increased their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is that they can see, hear, and learn about life-related things in pers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fun of acquiring biological knowledge through outdoor activities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interest of Group B students in biology. Group B students answered that outdoor experience is difficult to relate to other biological fields because it is related to a particular biological field, but it is sufficient to arouse interest in biology in college students. And the students said that they could learn more easily and fun compared to sitting in the classroom and learning living things because outdoor activities have an active personality.
Students in Group C answered that outdoor activities did not arouse any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Instead, they said that outdoor activities have generated interest in forming social and community relationships rather than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Students in Group C thought that the biology content of learning from outdoor activities was limited, and said the findings from outdoor activities were insufficient to arouse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However, in that outdoor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as club activities, students were positive that they could acquire social relationships that they could learn from group activities.
An analysis of the study participants'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showed that outdoor experience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Students who thought that outdoor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said that their experience in outdoor activities was a new experience that they had never experienced before, that they could acquire biological knowledge in a different way from existing classes, and that students could participate in outdoor activities directly. In addition, outdoor experience has been shown to generate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among study participants, while having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choosing jobs related to biology. Finally, outdoor activities have also generated interest related to community life in addition to arousing academic interest in study participa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과 관련된 야외체험 활동의 경험이 대학생의 생물학과 관련한 학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에 바탕을 둔 사례연구로,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국립대학 생물학과에 재학하는 총 13명(남 9명, 여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최소 1년 이상 되는 기간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야외체험 활동에 참여하였다.
야외체험 활동이 대학생의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사례연구를 위해 특정 수업이나 과목에 참여하는 학업 상황에서 나타나는 인지 및 정서를 포함하는 심리학적 상태를 말하는‘학업적 흥미’ 척도를 바탕으로 설문지 및 인터뷰를 구성하였다. 설문지 및 인터뷰 질문은 ‘학업적 흥미’의 하위 영역인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 영역으로 구분하고 관련된 질문을 세분화하였다. 설문지는 e-mail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에게 배부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설문지 작성을 확인한 후 개인별로 심층 면담하였다. 면담은 반 구조화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면담의 모든 내용은 녹음·전사 하였다. 과학교육 박사 1명과 석사 1명과 함께 전사된 내용을 계속해서 분석하였고, 최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대답 의도를 알아보고자 토의하였다. 여러 번 반복하여 전사된 내용을 읽고 연구 대상자와 공유한 사회적 경험과 정신적 경험을 바탕으로 다시 한번 면담 내용의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지 분석 및 심층 면담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13명(남 9명, 여 4명)의 연구 참여자들은 설문지와 심층 면담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각각 공통된 범주를 갖는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A 그룹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높게 유발됨과 동시에 더 나아가 진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받은 그룹이다. B 그룹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높게 유발된 그룹이다. C 그룹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유발되지 못한 그룹이다.
A 그룹의 학생들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유발되었고, 나아가 진로선택에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A 그룹의 학생들은 야외체험 활동을 경험한 뒤 야외체험 활동과 관련된 생물학 분야에 대해 흥미가 높아졌고 야외체험 활동과 관련된 생물학 분야와 관련된 직업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A 그룹의 학생들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 전공에 흥미가 생겼고 활동을 경험할수록 흥미가 커지고 지속해서 유지되었기 때문에 진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고 답하였다. 야외체험 활동을 통한 경험이 C 그룹의 학생들에게 직접 보고 듣고 느낀 것에 대한 즐거움과 배움의 좋은 기회가 되어 진로를 결정하겠다는 결과를 끌어낸 것으로 보인다.
B 그룹의 학생들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유발되었고, 그 정도가 오래갔다고 답하였다. B 그룹의 학생들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높아질 수 있었던 이유로 야외체험 활동을 통해 생물과 관련된 것들을 직접 보고 듣고 배울 수 있는 것을 가장 큰 요인으로 답하였다. 또한,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재미 역시 B 그룹 학생들의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 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B 그룹의 학생들은 야외체험 활동이 특정 생물학 분야와 관련된 활동이므로 다른 생물학 분야와 연관 짓기는 어렵지만, 야외체험 활동이 대학생들에게 생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기에 충분하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야외체험 활동이 활동적인 성격이기 때문에 교실에 앉아서 생물을 배우는 것과 비교하여 더 쉽고 재밌게 배울 수 있었다고 답하였다.
C 그룹의 학생들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유발되지 않았다고 답하였다. 대신에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보다는 사회·공동체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흥미가 유발되었다고 답하였다. C 그룹의 학생들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해 배울 수 있는 생물학 내용이 제한적이라고 생각하였고, 야외체험 활동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결과물들이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를 유발하기에 부족하다고 답하였다. 그러나 야외체험 활동이 동아리 활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체 활동에서 배울 수 있는 사회적 인간관계를 학생들이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설문지와 심층 면담을 분석한 결과 야외체험 활동은 대학생들의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었다. 야외체험 활동이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한 학생들은 야외체험 활동을 통한 경험이 여태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경험이었고, 기존의 수업과는 다른 방식으로 생물학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학생들이 야외체험 활동에 주체적으로 직접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업적 흥미에 영향을 끼쳤다고 답하였다. 또한, 야외체험 활동은 연구 참여자들의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생물학과 관련된 진로선택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야외체험 활동은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적 흥미를 유발하는 것 이외에 공동체 생활과 관련된 흥미를 유발하기도 하였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Outdoor Activities on the Academic Interests of College Students
Alternative Author(s)
Kim Choong Yo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생물교육
Advisor
김선영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목 차
표 목 차
그림목차
초 록
ABSTRACT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용어 정리 7
가. 야외체험 활동 7
나. 학업적 흥미 8
4. 연구의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10
1. 흥미와 학업적 흥미 10
가. 흥미의 개념 10
나. 흥미 발달의 4단계 모형 11
다. 학업적 흥미 14
2. 야외체험 활동 15
가. 야외체험 활동의 의미 15
나. 야외체험 활동의 필요성 16
다. 야외체험 활동 요소 및 절차 17
3. 질적 연구 방법 19
가. 질적 연구의 성격 19
나.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비교 19
다. 질적 연구 방법의 특징 21
(1) 연구주제 21
(2) 심층적 이해 21
(3) 현장활동 21
(4) 귀납적 접근 22
(5) 연구자의 역할 23
라. 사례연구의 정의와 특성 23
(1) 사례연구의 정의 23
(2) 사례연구의 특성 24
1) 사례연구대상으로서의 특성 24
2) 질적 사례연구의 특성 25
마. 사례연구의 유형 25
바. 사례연구의 절차 및 연구 방법 26
4. 인터뷰 27
가. 인터뷰의 유형 27
5. 삼각검증법 29
6. 연구 참여자 확인법 30
7. 동료 검토법 31
8. 선행연구 고찰 32
가. 야외체험 활동 32
나. 학업적 흥미 및 학업과 관련된 요인 39
다. 진로선택 48

Ⅲ. 연구 방법 52
1. 연구 방법 52
2. 연구 절차 53
3. 연구 참여자 선정 55
4. 야외체험 활동 56
가. 준비단계 59
나. 야외답사단계 60
다. 정리단계 62
5. 설문지 구성 및 자료수집 65
가. 설문지 제작 65
나. 심층 면담 67
다. 자료수집 69
라. 자료 분석 70

Ⅳ. 연구결과 71
1. 야외체험 활동을 통해 유발된 학업적 흥미 71
가. 상황적 흥미와 관련된 범주 75
나. 개인적 흥미와 관련된 범주 77
다. 학업적 흥미를 유발하지 못한 개념과 관련된 범주 80
2. 야외체험 활동이 학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82
3. 진로 및 학업적 흥미가 유발된 그룹의 사례연구 84
가. 진로선택에 영향 88
나. 직접체험으로 인한 학업적 흥미 유발 91
다. 새로운 경험이 학업적 흥미를 유발 93
라. 지식의 습득이 학업적 흥미를 유발 95
마. 생물학에 대한 흥미 97
바. 자연에 대한 관찰이 학업적 흥미를 유발 99
4. 학업적 흥미만 유발된 그룹의 사례연구 101
가. 직접체험으로 인한 학업적 흥미 유발 104
나. 새로운 경험이 학업적 흥미를 유발 105
다. 지식의 습득이 학업적 흥미를 유발 107
라. 생물학에 대한 흥미가 유발 109
5. 진로 선택과 학업적 흥미에 영향이 없는 그룹의
사례연구 113
가. 단체 활동에 대한 흥미가 유발 115
나. 좁은 범용성으로 인한 영향 118
다. 기타 사례 119


Ⅴ. 논의 121
Ⅵ. 결론 및 제언 125
1. 결론 125
2. 제언 129

참고문헌 131
부 록 14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충용. (2020). 야외체험 활동이 대학생의 학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36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3118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