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듣기 불안과 듣기성취도의 관계
- Author(s)
- 이해주
- Issued Date
- 2018
- Abstract
- 영어 교육이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 데 초점을 맞추면서 듣기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듣기의 저해 요인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의 영어 듣기 불안을 측정한 후, 이들의 불안과 듣기성취도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고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듣기 불안의 감소 방안과 영어 듣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8년 4월에 전남 소재의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52명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영어 듣기 불안 설문지를 활용하여 불안의 양상을 측정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들의 듣기성취도는 전국 영어듣기 능력평가의 점수를 활용하였다. 듣기 불안은 긴장감으로 인한 듣기 불안, 자신감 부족으로 인한 듣기 불안, 외부환경으로 인한 듣기 불안의 총 3 요인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계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의 듣기 불안 요인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일반계고와 특성화고 모두 외부환경 요인, 자신감 부족 요인, 긴장감 요인의 순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나 모두 보통 수준의 불안 정도였으며 특성화 고등학생의 듣기 불안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듣기 불안과 듣기 성취도는 전체 참여자의 긴장감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 자신감 부족 요인과 듣기성취도의 상관관계가 미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외에는 모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영어 듣기 불안은 보통 수준이나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좀 더 영어의 노출 빈도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nglish listening anxie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vocational students in Korea. It also aims to compare their relationships between listening anxieties and English listening achieveme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reduce those anxieties and educational directions of English listening. For this research, 52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45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on listening anxiety. Participant students’ scores on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were collected to indicate students’ listening achievement. Three factors of listening anxiety (tension-worry, the lack of confidence, and external environment) were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factors and listening achievement were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listening anxiety factors betwee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groups of students felt a similar level of listening anxiety although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d slightly higher level of listening anxiety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mong the items in tension-worry, both groups were found to feel anxious mostly when they were in communicative situations such as meeting English native speakers or talking to them on the phone. While the lack of confidence showed the lowest mean score of listening anxiety, many of the participants were apprehensive when they didn’t understand every word while listening activity. Listening anxiety due to external environment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in both general and vocational students. Especially, they felt had anxiety when the speaker talked fast or used unfamiliar accent.
Second, it was found that listening anxiety and listening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only with tense-worry factor of all participants and other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m, only the lack of confidenc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d a non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he study also presented pedagog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 Alternative Title
-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Listening Anxiety and Listening Achievement : Differences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Alternative Author(s)
- Lee, Hae Ju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Advisor
- 김경자
- Awarded Date
- 2018-08
- Table Of Contents
- 목차
표 목차 vii
ABSTRACT viii
I.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3
1.3 연구문제 4
II. 이론적 배경 5
2.1 영어 듣기의 중요성과 저해 요인 5
2.1.1 영어 듣기의 정의 5
2.1.2 듣기 교육의 중요성 6
2.1.3 듣기의 저해 요인 7
2.2 언어 불안과 학업성취도 9
2.2.1 언어 불안의 정의 9
2.2.2 언어 불안의 원인 10
2.2.3 언어 불안과 학업성취도 12
2.3 듣기 불안과 학업성취도 15
2.3.1 듣기 불안의 정의 15
2.3.2 듣기 불안의 원인 16
2.3.3 듣기 불안과 듣기성취도의 관계 18
III. 연구 방법 20
3.1 연구 대상 20
3.2 연구 도구 22
3.3 연구 자료 수집 방법 23
3.4 연구 자료 분석 방법 23
IV. 연구 결과 및 논의 24
4.1 일반계고와 특성화고 학생의 듣기 불안 양상 24
4.1.1 긴장감으로 인한 듣기 불안 24
4.1.2 자신감 부족으로 인한 듣기 불안 28
4.1.3 외부환경으로 인한 듣기 불안 30
4.2 일반계고와 특성화고 학생의 듣기 불안과 듣기성취도의 관계 33
V. 결론 36
5.1 연구 요약 36
5.2 교육적 함의 37
5.3 연구의 제한점 38
5.4 후속연구 제언 39
참고문헌 41
부록 1 학습자 배경 정보 설문지 47
부록 2 듣기 불안 설문지 49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Citation
- 이해주. (2018). 영어 듣기 불안과 듣기성취도의 관계.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22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961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8-08-24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