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등특수교사들의 표시과목 이수 경험 및 제도에 대한 인식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중호
Issued Date
2016
Abstract
ABSTRACT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Experiences and System of Indication Subjects

By Joong-Ho Lee
Advisor: Young-il Kim, Ph.D.
Major in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reservice system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ir perspectives on the experiences and system of indication subjects. A total of 236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xpress their perceptions of their experiences taking indication subjects and their opinions about the syst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ved that indication subjects were of little help for teaching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in the schools; (2) they expressed their opinion that 20 or 21 out of 38 credits related to indication subjects should be taken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3) those who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compared with those who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s of other subjects, preferred taking more credits from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than from the department of indication subjects.
Alternative Titl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Experiences and System of Indication Subjects
Alternative Author(s)
Lee, Joong H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영일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목차 ⅴ
ABSTRACT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2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4
1. 주요 국가의 특수교사 양성체제 4
1) 미국 4
2) 영국 6
3) 독일 6
4) 일본 7
5) 시사점 7
2. 우리나라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변천 9
1) 특수학교교사 양성기관의 변천 9
2) 특수학교교사 자격제도의 변천 14
3. 우리나라 특수학교 중등교사 양성제도 18
1) 자격기준 18
2) 표시과목 19
3) 무시험검정 합격 기준 21
4. 중등특수교사 양성의 현황 및 문제점 22
1) 중등특수교사 양성 현황 22
2) 중등특수교사 양성의 문제점 27
5. 선행연구 고찰 28
1) 문헌연구 28
2) 조사연구 31

Ⅲ. 연구 방법 34
1. 연구 대상 34
2. 연구 도구 36
3. 연구 절차 38
1) 전문가 협의회와 예비 조사 38
2) 본 조사 39
4. 자료 분석 39

Ⅳ. 연구 결과 40
1. 중등특수교사의 표시과목 관련 경험에 대한 인식 40
1) 표시과목 선택 이유 40
2) 표시과목 선택 기회의 정도 41
3) 표시과목 수업과 특수교육 간의 연계성 정도 41
4) 담당 과목 수 및 표시과목 간의 일치 정도 42
5) 담당 과목 배정 시 표시과목 반영 빈도 43
6) 정교사 1급 자격연수와 특수교육 간의 연계 정도 43
7) 표시과목과 현장 특수교육 간의 연계 정도 44
2. 중등특수교사의 표시과목 제도에 대한 의견 45
1) 표시과목 제도의 적절성 45
2) 표시과목 관련 총 이수학점의 적절성 46
3) 표시과목 구분 없는 특수교사 신규 임용의 적절성 46
4) 표시과목과 다른 과목 지도의 적절성 47
5) 기본 교육과정 교과 지도를 위한
표시과목 제도의 적절성 48
6) 정교사 1급 자격연수의
표시과목 관련 수업 비중의 적절성 48
7) 특수교사 자격 구분 기준 49
8) 표시과목 수업 운영 방안 50
9) 표시과목 관련 이수학점 구성 방안 50
3. 중등특수교사의 학부 졸업 과정에 따른
표시과목 제도에 대한 의견 비교 52
1) 표시과목 제도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비교 52
2) 표시과목 관련 이수학점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비교 53
3) 표시과목 구분 없는 특수교사 신규 임용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비교 54
4) 표시과목과 다른 과목 지도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비교 55
5) 기본 교육과정 교과 지도를 위한 표시과목 제도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비교 56
6) 특수교사 자격 구분 기준에 대한 의견 비교 57
7) 표시과목 수업 운영 방안에 대한 의견 비교 58
8) 표시과목 관련 이수학점 구성 방안에 대한 의견 비교 59

Ⅴ. 논의 61
1. 중등특수교사의 표시과목 관련 경험에 대한 인식 61
2. 중등특수교사의 표시과목 제도에 대한 의견 63
3. 중등특수교사의 학부 졸업 과정에 따른
표시과목 제도에 대한 의견 비교 65

VI. 결론 67
1. 결론 67
2. 제언 68

참고문헌 69

부록 7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중호. (2016). 중등특수교사들의 표시과목 이수 경험 및 제도에 대한 인식.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06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160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