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주체적 읽기의 교육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윤정원
Issued Date
2016
Keyword
주체적 읽기, 주체적 읽기 능력, 문학 교육, 반응 표현, 의미 구성, 가치 탐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educational methods that improve students' independent literature reading ability. From the standpoint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is students' independent literature reading ability enhancement, I reconceptualized a form of the independent reading and applied that to the educational situation.
Independent reading was suggested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subject. That is for the base that students independently interpret literary texts and construct literary texts meaning. But in the actual educational situation, It seems that there are many deficiencies to apply it. Because in actual educational situation, students still simply learn the literary knowledges and memorize the fixed interpretation. Therefore based on the concrete definitions and discussions of independent reading, the educational methods that improve students' independent literature reading ability must be provided. For this, The procedure and contents of the study were set as follows.
In chapter Ⅰ, I discussed the need of the independent reading and reviewed the precedent studies. Most of the studies about the independent reading were too theoretical to apply to actual educational situation. Therefore practically applicable methods have to be provided, and I discussed that.
In chapter Ⅱ, I reconceptualized a form of the independent reading.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and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subject, the independent reading was defined. And The premise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is students' independent literature reading ability enhancement w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independent reading is the process that construct the meaning and value of literary texts from the one's perspective. Based on this definition, I suggested the methods of independent reading, ‘Express the own reaction’, ‘Interpret the literary texts from own perspective’, ‘Explore meaning and value of literary texts’.
In chapter Ⅲ, by analyzing novel unit learning activities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 examined the independent reading in actual educational situation. First classify the novel texts into classic novel and modern novel, discussed corresponding learning activities and inadequate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current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re inadequate to improve students' independent literature reading ability. This is because there are only learning activities that just compare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texts or judge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In the case that classic novel containe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situation at that time occupied a large portion. In the case that modern novel contained, learning activities that just interpret literary texts and find evidence of interpretation occupied a large portion.
In chapter Ⅳ, I applied the method of independent reading to actual educational situation and analyzed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middle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impression data, examined the change of students' way of reading literature. And I also discussed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improve students' independent literature reading ability.
Students were indicated meaningful change, and as a result I could confirm the aspect of reading the literature texts according to independent reading method. Also I classified students' tendency to reading literature texts, ‘Types that accept the novels based on fixed interpretation’, ‘Types that accept the novels centered on own reaction’, ‘Types that explore creatively the meaning of novel’, and analyzed that three types through impression data.
About the independent reading method this study suggested, It was not students of all have indicated positive changes. Such is the types that accept the novels based on fixed interpretation. However, From most of the students, I could found significant changes that strengthening self expression and securing plural perspective. Furthermore independent reading is the process of accept literary text with one's own logic and understand meanings that others constructed. Therefore the independent reading method this study suggested i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to improve students' independent literature reading ability.| 본 연구는 소설 제재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주체적 문학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문학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학습자의 주체적 문학 읽기 능력의 향상이라는 입장에서 주체적 읽기의 성격과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그것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본고에서 제시한 주체적 읽기 방법의 효용성을 점검해 보았다.
주체적 읽기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되었다. 문학 텍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문학 텍스트를 해석하고 그 의미를 구성함으로써 주체적 독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그 적용에 있어 부족한 점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단순히 문학적 지식을 학습하거나 진리로 받아들여지는 고정된 해석을 암기하게 하는 학습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체적 읽기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주체적 문학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구안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의 절차와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제 Ⅰ장에서는 주체적 읽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주체적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문학 교육의 이론적인 정립을 위한 연구가 중심이 되어 현실 적용의 문제와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었으며, 다른 주제와 연관하여 부차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이론과 현장의 균형 있는 주체적 읽기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에 주체적 읽기 이론을 보완하여 현장과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주체적 읽기의 성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기존의 논의와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주체적 읽기를 정의하였으며, 문학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의 주체적 읽기 능력의 향상이라는 전제를 논증하였다. 본고는 주체적 읽기를 ‘문학 텍스트를 자신의 관점에서 수용하여 문학 텍스트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해 가는 읽기 방식’으로 정의하였는데, 이를 바탕으로 ‘반응 표현하기’, ‘자신의 관점으로 해석하기’, ‘의미와 가치 탐구하기’를 학습자의 주체적 문학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살펴본 주체적 읽기의 성격과 방법을 바탕으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소설 단원 학습활동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문학 교육 현장에서 주체적 읽기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일차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소설 텍스트를 고전소설과 현대소설로 분류하였으며, 주체적 읽기 교육에 부합한 학습활동과 미흡한 학습활동, 개선해야할 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현재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학습자의 주체적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부분 교과서에는 동일한 문학 텍스트에 대한 여러 해석을 읽고 그것을 비교하거나 타당성을 판단하는 정도의 활동만이 제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고전소설이 수록된 교과서의 경우에는 당시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관련된 학습활동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대소설이 수록된 교과서의 경우에는 소설을 해석하고 그에 대한 근거를 제시는 활동에서 더 나아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 Ⅳ장에서는 주체적 읽기 방법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세 차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감상 자료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문학 읽기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학습자들의 주체적 문학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학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 집단의 학습자들은 대체로 각각의 실험이 진행되는 과정 중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결과적으로 주체적 읽기 방법에 따라 문학 텍스트를 읽어 나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체적 읽기 방법에 대하여 학습자들의 문학 읽기 경향을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이에 ‘고정된 해석을 중심으로 소설을 수용하는 유형’, ‘반응을 중심으로 소설을 수용하는 유형’, ‘소설의 의미를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학습자들의 감상 자료를 통해 세 가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제시한 주체적 읽기 방법에 대하여 모든 연구 집단의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것은 아니었다. 고정된 해석을 중심으로 소설을 수용하는 유형이 그러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습자들에게서 자기 표현성의 강화, 복수적 시점의 확보 등의 측면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주체적 읽기가 자신의 논리로 문학 텍스트를 수용하며 또한 다른 사람들이 구성한 의미를 잘 이해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본고에 제시된 주체적 읽기의 방법이 학습자들의 주체적 읽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된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of Independent Reading :Focusing on the novel materials
Alternative Author(s)
Yun Jeong-w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김혜영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5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0

Ⅱ. 주체적 읽기의 성격과 방법 16
1. 주체적 읽기의 성격 16
2. 주체적 읽기의 방법 23
(1) 반응 표현하기 23
(2) 자신의 관점으로 해석하기 27
(3) 의미와 가치 탐구하기 32

Ⅲ. 교과서 소설 단원 학습활동의 비판적 검토 37
1. 고전소설 단원의 학습활동 분석 38
2. 현대소설 단원의 학습활동 분석 48

Ⅳ. 주체적 읽기 방법을 활용한 교수학습의 실제 70
1. 연구 대상 및 계획 71
(1) 연구 대상 71
(2) 연구 설계 및 절차 72
2. 연구 결과 및 분석 74
(1) 주체적 읽기 과정의 사례 74
(2) 주체적 읽기 방법에 대한 학습자의 유형 분석 79

Ⅴ. 결론 92

참고문헌 95
ABSTRACT 10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윤정원. (2016). 주체적 읽기의 교육방안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06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156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