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Author(s)
- 마상훈
- Issued Date
- 2015
- Abstract
- ABSTRACT
Regarding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recently many teenagers cannot adapt themselves to school, it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ir 'low self-esteem'.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by apply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se self-esteem was especially vulnerable.
However,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have been targeting certain disabled children, lower grades of regular school 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ontrary, it is rare to find studies verifying its effect o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changes in self-awareness by applying the group art therapy technique to low-achieving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and also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influence 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hypotheses set up by this study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Study Question 1. The group art therapy will ha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low-achieving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y Question 2. The group art therapy will have influence on the changes in self-awareness of low-achieving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like above, it selected 11 grade 1 students from eight classes in OO commercial high school located in Gwangju, based on teachers' recommendation and students' own decision, as study subjects. With the subject students selected like this, the program was conducted ten times for total three months from September 12th 2014 to November 28th 2014.
As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gram recomposed suitable for the experimental group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art therapy techniques introduced in the 'art therapy techniques' by Kim, Gap Sook, Lee, Mi Ok, Choi, Seon Nam and Choi, Ui Seon(2006) was used.
As research tools, this study used the self-esteem test, and K-HTP(house-tree-person) drawing test and KSD(school life) test to understand the causes for emotional problems and changes in self-awareness, and they were used in the same methods for the prior/post tests.
Most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showed low academic achievement, low confidence, lethargy, indifference and passive behaviors. With no opinions for themselves, they sometimes became the victims of bullying or school violence. As they could not have smooth communication, they felt left out in the peer relationship. The students with such tendency hop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voluntarily or with their teachers' recommendation. Most of them expected to see the improvement of school record by recovering confidence through the art therapy program while also expressing their wills to get help for how to maintain close relationship with friends, how to relieve stress, and how to discover themselves.
The inner world of individual members has influence on the expectation of other members, and is also continuously reformed by individual viewpoints and interactions. The strength of the group with interactions is to experience feedbacks between members and their feelings. Maintaining the view in which the psychiatric symptoms and problems based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 theory are the factors of inappropriate interpersonal relations, the group art therapy for recovering self-esteem was set up in the group phenomenon as a re-creation of daily experience of individual members and a group as a social microco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low-achieving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All the sub-scales of self-esteem such as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at home, and self-esteem at scho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brought significant changes in self-awareness and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at home and school, through the 'correct awareness of themselves' by enhancing self-esteem of low-achieving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This result was also shown through the analysis of projective test. In addition, the subject students showed satisfaction with this program that has brought positive changes in self-awareness and self-esteem.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an be extensively applied regardless of age and certain targets.
In spite of several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low-achieving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and also changes in self-awareness for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at home and school.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s that can improve self-esteem of low-achieving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국문초록
본 연구는 최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의 사회 분위기와 관련하여 그 원인을 ‘낮은 자아존중감’으로 보고 특히 자아존중감이 취약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미술치료가 특정 장애영역 아동 이거나 일반학교 저학년 또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다룬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져 있다. 그와 대조적으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그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저성취 학생들에게 집단미술치료 기법을 활용하여 자아존중감의 향상정도와 자기인식변화를 확인하고, 이로써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토대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집단미술치료가 특성화고등학교 저성취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문제 2. 집단미술치료가 특성화고등학교 저성취 학생들의 자기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상업고등학교 1학년 8학급의 학생 중 담임선생님의 추천과 본인의 희망을 받은 학생 1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를 통해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대상 학생들과 함께 2014년 9월 12일부터 11월 28일 까지 총 3개월 동안 1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김갑숙·이미옥·최선남·최외선(2006)의 ‘미술치료기법’에 소개된 미술치료기법들을 기본으로 본 연구자가 실험집단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검사와, 정서적 문제의 원인과 자기 인식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KSD(동적 학교 생활화)검사, 그리고 K-HTP(동적 집-나무-사람)그림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이것은 사전과 사후 검사에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학업 성취율이 저조하며 전반적인 학교생활은 자신감이 없고 무기력하고 무관심과 수동적인 행동 양상을 보였다. 자기주장을 하지 못하고 가끔 따돌림이나 학교폭력의 피해대상이 되고 원만하지 못한 의사소통으로 또래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런 성향을 가진 학생들이 자발적 또는 선생님의 추천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였다. 대부분 미술치료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감을 되찾아 성적향상을 기대했으며, 친구와 친하게 지내는 방법, 스트레스 해소, 자신을 발견하는 방법의 도움을 받고 싶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구성원 개인의 내면세계는 다른 구성원들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자신과 구성원들의 개인적 관점과 상호작용에 의해 계속적으로 재형성되어 간다고 볼 수 있다. 상호작용의 집단으로서의 장점은 구성원간의 피드백과 그들의 느낌을 경험하는 것이다(조윤정, 2007). 대인관계 이론에 근거한 정신과적 증상과 문제는 부적절한 대인관계의 요인이라는 견해를 유지하면서 사회적 소우주로서의 집단과 구성원들 개인의 일상 경험을 재현으로서의 집단현상 속에서 자존감 회복의 집단 미술치료를 설정하였다.
이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하위 척도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저성취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킴으로써 ‘나 자신에 대한 바른 인식’을 통해 가정과 학교생활에서 관계 개선과 자아 인식변화의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 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투사 검사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를 가져온 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연령과 특정 대상자에 국한되지 않고 폭넓게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몇 가지 연구의 제한점에 불구하고,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아 인식 변화를 통해 학교와 가정에서 관계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와 만족도 조사를 통해 실제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증진에 긍정적 기대가 있음을 검증한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저성취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 Alternative Title
- The Impacts of Group Art Educational Program on Low-Achieving Students' Self-esteem Placed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 Alternative Author(s)
- Ma, Sang Hoo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 Advisor
- 허유성
- Awarded Date
- 2015-08
- Table Of Contents
- 목 차
국문 초록 ⅴ
I.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리 5
1) 특성화 고등학교 5
2) 저성취 학생 6
3) 자아존중감 6
4) 집단미술교육 7
II. 이론적 배경 8
1. 저성취 8
2. 자아존중감 17
3. 특성화 고등학교 28
4. 미술치료와 집단미술교육 33
III. 연구방법 42
1. 연구 대상 42
2. 연구 설계 44
3. 연구 도구 45
1) 자아존중감 검사 45
2) K-HTP(Kinetic-House-Tree_Person) 검사 47
2) KSD(Kinetic School Drawing) 검사 48
4. 연구 절차 49
5. 자료처리 54
IV. 연구 결과 55
1. 집단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55
1) 전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55
2)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에 미치는 효과 55
2. 집단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자기 인식 변화 58
1) K-HTP(Kinetic-House-Tree_Person)검사 사전-사후 변화 비교 58
2) KSD(Kinetic School Drawing)검사 사전-사후 변화 분석 61
V. 논의 및 제언 74
1. 논의 74
1) 집단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74
2) 집단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자기 인식 변화 75
2. 제언 76
3. 연구의 제한점 78
■ 참고문헌 80
■ 부록 86
■ ABSTRACT 88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마상훈. (2015). 집단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89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121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5-08-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