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정현종 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신지연
Issued Date
2015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Poetry of Jeong Hyeon-jong
-Focusing on Life Images-

Shin Ji-yeon
Dep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nifestation of “life” as the fundamental imagery underpinning the poetry of Jeong Hyeon-jong. Jeong Hyeon-jong is a poet who has sought to share a fresh new perspective with his original language and thoughtful expressions. It would not be far-fetched to assert that the phenomenon and essence of things that he has explored is unique in Korean poetry’s modern history. He felt that life can be found in the essence of things and directed his attention to images as a way to express that life. I gather that the work in exploring life imagery in his poetry is his means of communicating the essence of his poems. In this regard, this paper seeks to take a typological approach to the general tendency of Jeong’s poetry, examining the life images found in his poetry and the aspects of manifestation.

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Jeong Hyeon-jong’s poetry have tended to focus on imagery of “wind” and “air” or sensual/ecological image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s the understanding that the overarching visual theme in all his poetry is “life”. He uses the images of things in his poems to break away from the anguish of existence, death, and free will to unshackle earthly boundaries. He employs humorous criticism on taboos and repression by social systems and ideologies with a single image: “life”. For him, life is a pivotal image that consistently appears from his early poems to later ones.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image of life in Jeong Hyeon-jong’s poetry is not just a medium to imply ecological messages on environmental pollution or to accentuate the inestimable value of life in the face of environmental/ecological destruction. Life is a very dynamic image, representing life in the universe itself. Life in his poetry does not refer to living beings or represent the sustainability of humans as social beings. Rather, he means a poetic life is a creative reproduction of life from one organism or inorganic substance. The life image in his poetry encompasses a broad spectrum of interpretations from microorganisms to the all interconnected life in the universe. Life in his poems transforms into a variety of things. The reason behind the study of life imagery among various images of things is because the poetic orientation of varied things converges into life phenomenon, as indicated earlier.

The paper is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substantial property of nature: life and wind”, which is then again divided into “Mind in Sympathy with Things – Wind” (1-1) and “Breaths of Lives in Nature: Trees and Flowers “(1-2). These parts attempt to reveal the patterns of manifestation of life imagery through “wind” and “trees and flowers”. The second part is “social function of poems: sensuality and humor”. It again is categorized into “Erotic Glee against ideologies” (2-1) and “humorous plays as poetic participation” (2-2). These parts look to uncover the process by which “erotic glee” and “humorous play” turn into life image.

The study intends to induce how the essential property of nature, the images of wind, trees, and flowers evolve into life images through the process of anthropomorphization. As noted before, the images of wind, trees, and flowers have become hallmarks by which his poetry can be recognized. While the wind images in his early poetry delve into the existential problems born from the agony of existence, his later poems take a stance of actively embracing contemporary social issues and historical realities into his literature, expanding the realm of his poetic space. In other words, the wind imagery in his early poetry that is represented as “‘Mind in Sympathy with Things – Wind” in (1-1) is the will to fly in human existence, transcending the burdens of Earth, while exposing an inevitable existential limit. Nevertheless, the will to be set free enables flying, transcendence, and ascendance. The cause that lies at the heart of that possibility is wind. Gaston Bachelard once stated, “The true homeland where any beings actually become part of themselves: that is the atmosphere in the sky.” This atmosphere is the path through which wind passes, a space where the play of wind unfolds. In Jeong’s poetic language, it is an “immense space” where one transcends agony and death to be “a soul in one bright color”, and where the mind and soul finally merge into one. The very wind blows in his later poems in a way that is “fragile/thus likely be crumbled down/heart.” To put it differently, the coming of a person equates with “the coming of his/her heart” in the abyss of his/her mind and the heart that could fumble “the tread” is wind. He concludes that “If my heart imitates such a wind/ it will certainly become a cordial reception.” For wind to turn into a cordial reception, it should have the precondition of becoming a heart. In this poem, the poet takes the angle that regards things in the same light as man, as shown in his idea of “wind equals heart”.

“Breaths of Lives in Nature: Trees and Flowers” shown in (1-2) is the breath of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accentuating their unifying relationship in which men and all things relish symbiotic lives. Jeong reveals his unique perspective of regarding a tree, as also clearly illustrated in his Trees in the World, as a “personality” equivalent to a human. Jeong produces a landscape of nature in which he can enjoy spiritual freedom and abundance in a natural setting and turns into a tree.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men, as well as the sympathy between things and men, are primary keywords to understand his poetry.

The imagery of flowers in his poetry refers to a “life mandala” in which all creation, including humans, bloom with flowers in constant connection with the universe and nature. “Life mandala” signifies and envelops the whole lives in a flower. The poet expands the meaning of the flower from the wonder of life in the early poems to social and historical criticism in middle and later poems. He juxtaposes flower imagery with reality’s pain and scars that repress life. The poem ultimately implies that fear and pain are the impediments against the wonder of life. There is no alternative for the poet but to bloom the flower of tears—this is the kind of flower that should blossom in a land of such harsh reality. These aspects originate from his literary transformation caused by his poetic efforts to respond to reality, history, and society with his own creative methods, clearly diverging from his early poetry that showed the limits of existence, death, and the metaphysical world of poetry.

The second part discusses a discourse on “the social functions of poems”, which should merit special attention and affection for his poetry. In terms of Jeong’s poetry, “sensuality and humor” perform social functions in poems. In 2-1, the paper examines “erotic glee against ideologies”. For him, sensuality does not merely cease to be sexual desires but exerts itself as the source of life. The reason why the sensual stimuli and pleasure shown in his poetry allows room to breathe in erotic glee is because sensuality emancipates the ego repressed under ideologies and systems and inspires primitive, intact imagination. The reason behind the poet’s choice of erotic imagery as one of his creative methods can be found not in the eroticism itself but in his view of it as a means to break down the frame of life-squelching ideologies. “Humorous play as poetic participation” in 2-2 is worth nothing in this paper, along with “erotic glee against ideologies”. “Humorous play” was classified as one of the “social functions of poetry” for its ability to similarly generate catharsis by surreptitiously criticizing the social events that distort human beings and twisted political situations. “Humorous play” does not just refer to exchanging banter and having fun with droll words or behaviors on the mundane matter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people. His humorous play attempts to lead an exuberant revolt against repressive solemnity, ideologies, and a number of boundaries by transcending them.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its rumination on the poetic orientation of Jeong Hyeon-jong’s poetry as “the manifestation of life image”. Furthermore, it is also important that it indicates that the poet’s employment of “erotic glee against ideologies” and “humorous play as poetic participation” as his key creative methods against any repression of life as well as a way to unveil life images. It would be pointed out, however, that the paper is somewhat limited in that it did not make a comparative study with foreign poets who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ver his poetry such as Rainer Maria Rilke, Pablo Neruda, and Federico Garcia Lorca.
|국문초록



정현종 시 연구
-생명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정현종의 시 전반에 걸쳐 핵심 이미지로 나타나는‘생명’이미지의 구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현종은 참신한 언어와 사유적인 어법으로 사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추구해 온 시인이다. 그가 탐구해나간 사물의 현상, 본질은 한국 현대시사에서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현종은 사물의 본질을 생명에 두었을 뿐 아니라 사물의 생명을 포착하는 방법으로 이미지에 주목했다.
정현종 시의 생명이미지를 탐구하는 작업은, 정현종 시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는 정현종 시의 생명이미지와 그 구현양상을 통해 정현종 시의 전반적인 경향에 유형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현재까지 정현종 시에 대한 연구가 주로‘바람’이미지,‘공기’이미지, 관능적 ‧ 생태학적 이미지 그 자체에 주목했다면, 이 논문은 정현종 시 전체를 아우르는 이미지가‘생명’이미지라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즉 그는 시에 나타난 사물 이미지들을 통해 실존의 고뇌와 죽음, 지상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자유의지, 사회제도가 억압하는 금기, 이데올로기에 대한 해학적 비판을‘생명’이미지로 돌파한다. 정현종에게 있어 생명 이미지는 초기 시부터 후기 시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드러나는 핵심 이미지이다.
정현종 시에 있어서 생명 이미지란 단순히 환경오염에 따른 생태적 메시지를 내포 하거나, 자연 파괴에 따른 생명의 고귀함을 강조 한 것이 아니라, 우주에 깃든 생명 그 자체를 노래하는 매우 역동적인 이미지를 의미한다. 그가 시에서 말하는 생명 이미지는 단순히 살아있는 사물이나 인간의 사회적 존재로서의 지속가능성을 뜻하진 않는다. 하나의 유기체 혹은 무기체가 창조적으로 생명을 재생산시키는 것을 시적인 생명 이미지라고 말 할 수 있다. 정현종이 말하는 생명 이미지는 미생물로부터 우주의 생명권을 포함할 만큼 다양한 해석을 낳는다. 그의 시에서 생명 이미지는 여러 사물로 변주되어 진다. 정현종의 사물 이미지들 중에서 생명 이미지를 연구하려는 목적은, 변주된 사물들의 시적 지향점이 앞서 지적 했듯 생명현상으로 귀결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체계는 크게 두 개의 장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1장은‘자연의 본질적 속성: 생명과 바람’이다. 이것은 다시‘사물과 교감하는 마음- 바람’(1-1)과 ‘자연생명의 숨결: 나무와 꽃’(1-2)으로 구분되는데, 여기서는 생명 이미지의 구현 양상을‘바람’과‘나무와 꽃’을 통해 살펴보려 한다. 2장은‘시의 사회적 기능: 관능과 해학’이다. 세부적으로는‘이데올로기에 맞서는 에로스적 희열’(2-1)과‘시적 참여로서 해학적 유희’(2-2)로 구분된다. 여기서는‘에로스적 희열’과‘해학적 유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생명 이미지로 변화하는지 살펴보려 한다.
이 연구에서는 자연의 본질적 속성인 바람, 나무, 꽃 이미지가 의인화 과정을 거쳐 어떻게 생명 이미지로 진화하는지, 또 그것이 지향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도출할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바람, 나무, 꽃 이미지는 정현종 시를 인식하는 매우 중요한 사물이 된다. 정현종의 초기 시에 드러난 바람 이미지의 특징이 주로 실존에 대한 고뇌로부터 존재론적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라면, 그의 중‧후기 시에서는 동시대의 사회적 문제, 역사적 현실을 적극 자신의 문학에 수용하는 자세를 보이며 시 공간의 영역을 확장한다. 즉‘사물과 교감하는 마음- 바람’으로서 1-1에 나타난 초기시의 바람 이미지는 지상의 무거움으로부터 초월하려는 인간 실존의 비상 의지이면서, 어찌할 수 없는 존재론적 한계를 노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의지는 비상과 초월, 상승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그 가능함의 속살을 어루만지는 동인(動因)은 바로 바람이다. 바슐라르는 “존재가 (진정) 그 자신에게 속하게 되는 本鄕, 그것은 하늘의 대기이다.”라고 했다. 대기는 바람이 지나는 길이며, 바람의 유희가 펼쳐지는 공간이고, 정현종의 시어로 말하면 고뇌와 죽음을 초극하여 마침내 “영혼은 밝은 한 색채”가 되는, 영육(靈肉)의 합일이 일어나는 “大空”인 것이다. 이와 같은 바람이 후기 시에서는 “부서지기 쉬운 /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 마음”으로 불어온다. 즉 사람이 온다는 것은 그 사람의 심연에 있는 “마음이 오는 것”이며 “그 갈피를” 더듬어 볼 수 있는 마음이란 바로 바람이며, “내 마음이 그런 바람을 흉내 낸다면 / 필경 환대가 될 것이다.”라고 시인은 쓰고 있다. 바람이 환대가 되기 위해선 마음이 되는 전제가 붙는다. 시인은 이 시에서 ‘바람-마음’이라고 사물과 인간을 일체적 관계에서 바라보고 있다.
1-2에 나타난‘자연생명의 숨결: 나무와 꽃’은 우주의 숨결이자, 인간의 숨결로서, 인간과 만물이 공생적인 삶을 영위하는 일체적 관계임을 강조한다. 정현종이‘나무’이미지를 통해 드러내는 것은「세상의 나무들」에도 잘 나타나 있지만, 나무를 사람과 동일한 하나의 인격체로 보고 있는 것이다. 정현종은 자연 풍경 속에서 정신적 자유와 풍요를 얻고, 시인 스스로 나무가 되는 자연의 풍경을 연출한다. 자연과 인간의 공생, 사물과 인간의 교감이야말로 정현종 시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정현종의 꽃 이미지는 인간을 포함한 사물들이 부단하게 우주, 자연과 교감하며 생명을 꽃 피운다는「생명 만다라」를 말한다.‘생명 만다라’는 한 꽃을 통해 생명의 총체를 표상하는 의미를 갖는다. 시인은 생명의 경이로부터 중‧후기 시로 갈수록 교감하는 꽃의 속성을 반 생명에서 사회‧역사적 비판으로 그 지평을 넓히고 있다. 꽃과 교감하는 것은 현실의 상처와 고통이며, 이것은 삶을 억압하는 것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시에서 말하는 상처니 고통이니 삶의 억압이니 하는 것들이 궁극적으로 함의하는 바는 생명의 경이를 가로막는 것들이다. 시인은 그런 현실의 토지에 꽃을 피우려니 눈물 꽃을 피울 수밖에 없다. 이러한 면면은 실존의 한계와 죽음, 형이상학적인 시세계를 보여준 그의 초기 시와 변별되는, 역사와 사회를 향해 정현종 만의 창작방법으로 현실에 대응하는 문학적 변화로 읽을 수 있다.
2장은 정현종 시에 있어서 특별한 관심과 애정으로 보아야 할‘시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담론이다. 정현종 시에 있어 시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관능과 해학’이며 2-1에서는‘이데올로기에 맞서는 에로스적 희열’을 고찰한다. 그에게 관능은 단순히 성적인 욕망을 의미하지 않고 생명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시에 나타난 관능적 자극, 관능적 쾌락이 에로스적 희열로 우리의 숨통을 열어주는 것은, 관능이 이데올로기와 제도에 억압된 자아를 해방시키고 훼손되지 않은 원시적 상상력을 불어넣기 때문이다. 정현종이 관능적 이미지를 창작 방법 중의 하나로 여긴 것도 에로티시즘 그 자체가 아니라, 생명을 억압하는 이데올로기란 틀을 타파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했을 것이다. 2-2의‘시적 참여로서 해학적 유희’는‘이데올로기에 맞서는 에로스적 희열’과 함께 이 논문에서 눈여겨 볼 대목이다.‘해학적 유희’를‘시의 사회적 기능’범주에 넣은 것은, 정현종 시에 나타난 에로스적 상상력이 억눌린 자아나 억압된 현실을 시적으로 돌파하려는 양상을 보이듯, ‘해학적 유희’ 역시 인간을 왜곡하는 사회현상, 뒤틀린 정치 현실을 은연중 비판하는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해학적 유희’란 단순하게 세상사나 인간의 결합에 대해 익살스럽고 우스꽝스러운 말이나 행동으로 장난하고 즐겁게 노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정현종의 해학적 유희는 이데올로기로 억압된 사회의 엄숙주의와 수많은 경계에 대하여, 탈 경계의 즐거운 반란을 시도한다.
이 논문의 의미로는 정현종 시 전체에 나타난 시적 지향점이‘생명 이미지의 구현’이었다는 점을 고찰한 것이다. 아울러 정현종이 생명 이미지를 드러내는 한 방법으로 생명을 억압 한 것에 대응하여,‘이데올로기에 맞서는 에로스적 희열’과‘시적 참여로서 해학적 유희’를 중요한 창작방법으로 삼은 점을 고찰 한 것 역시 큰 의미가 있다. 다만 한국 현대시에서 극복 대상인 김수영이나 동시대의 다른 시인과의 비교연구, 정현종의 시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 릴케, 네루다, 로르카 같은 외국 시인과의 비교연구를 다루지 못한 점은 한계라고 아니할 수 없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oetry of Jeong Hyeon-jong [:]Focusing on Life Images
Alternative Author(s)
Shin Ji-ye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백수인
Awarded Date
2015-08
Table Of Contents
차 례


국문초록 ‧‧‧‧‧‧‧‧‧‧‧‧‧‧‧‧‧‧‧‧‧‧‧‧‧‧‧‧‧‧‧‧‧‧‧‧‧‧‧‧‧‧‧‧‧‧‧‧‧‧‧‧‧‧‧‧‧‧‧‧‧‧‧‧‧‧‧‧‧‧‧‧‧‧‧‧‧‧‧‧‧‧‧‧‧‧‧‧‧‧‧‧‧‧‧‧‧‧‧‧‧‧‧‧‧‧‧‧‧‧‧‧‧‧‧‧‧‧‧‧‧‧‧‧‧‧‧‧‧‧‧‧‧‧‧‧‧‧‧‧‧‧‧‧‧‧ ⅲ

ABSTRACT ‧‧‧‧‧‧‧‧‧‧‧‧‧‧‧‧‧‧‧‧‧‧‧‧‧‧‧‧‧‧‧‧‧‧‧‧‧‧‧‧‧‧‧‧‧‧‧‧‧‧‧‧‧‧‧‧‧‧‧‧‧‧‧‧‧‧‧‧‧‧‧‧‧‧‧‧‧‧‧‧‧‧‧‧‧‧‧‧‧‧‧‧‧‧‧‧‧‧‧‧‧‧‧‧‧‧‧‧‧‧‧‧‧‧‧‧‧‧‧‧‧‧‧‧‧‧‧‧ ⅶ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1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의식 ‧‧‧‧‧‧‧‧‧‧‧‧‧‧‧‧‧‧‧‧‧‧‧‧‧‧‧‧‧‧‧‧‧‧‧‧‧‧‧‧‧‧‧‧‧‧‧‧‧‧‧‧‧‧‧‧‧‧‧‧‧‧‧‧‧‧‧‧‧‧‧‧‧‧‧‧‧‧‧‧‧‧‧‧‧ 5

Ⅱ. 생명이미지의 구현 양상‧‧‧‧‧‧‧‧‧‧‧‧‧‧‧‧‧‧‧‧‧‧‧‧‧‧‧‧‧‧‧‧‧‧‧‧‧‧‧‧‧‧‧‧‧‧‧‧‧‧‧‧‧‧‧‧‧‧‧‧‧‧‧‧‧‧‧‧‧‧‧‧‧‧‧‧‧‧‧‧‧‧‧‧ 23

1. 자연의 본질적 속성: 생명과 바람 ‧‧‧‧‧‧‧‧‧‧‧‧‧‧‧‧‧‧‧‧‧‧‧‧‧‧‧‧‧‧‧‧‧‧‧‧‧‧‧‧‧‧‧‧‧‧‧‧‧‧‧‧‧‧‧‧‧‧‧ 23
1-1. 사물과 교감하는 마음-바람 ‧‧‧‧‧‧‧‧‧‧‧‧‧‧‧‧‧‧‧‧‧‧‧‧‧‧‧‧‧‧‧‧‧‧‧‧‧‧‧‧‧‧‧‧‧‧‧‧‧‧‧‧‧‧‧‧‧‧‧‧‧‧‧‧‧‧‧‧‧ 23
1-2. 자연 생명의 숨결: 나무와 꽃 ‧‧‧‧‧‧‧‧‧‧‧‧‧‧‧‧‧‧‧‧‧‧‧‧‧‧‧‧‧‧‧‧‧‧‧‧‧‧‧‧‧‧‧‧‧‧‧‧‧‧‧‧‧‧‧‧‧‧‧‧‧‧‧‧‧ 48

2. 시의 사회적 기능: 관능과 해학‧‧‧‧‧‧‧‧‧‧‧‧‧‧‧‧‧‧‧‧‧‧‧‧‧‧‧‧‧‧‧‧‧‧‧‧‧‧‧‧‧‧‧‧‧‧‧‧‧‧‧‧‧‧‧‧‧‧‧‧‧‧‧‧‧‧‧‧ 82
2-1. 이데올로기에 맞서는 에로스적 희열‧‧‧‧‧‧‧‧‧‧‧‧‧‧‧‧‧‧‧‧‧‧‧‧‧‧‧‧‧‧‧‧‧‧‧‧‧‧‧‧‧‧‧‧‧‧‧‧‧‧ 82
2-2. 시적 참여로서 해학적 유희‧‧‧‧‧‧‧‧‧‧‧‧‧‧‧‧‧‧‧‧‧‧‧‧‧‧‧‧‧‧‧‧‧‧‧‧‧‧‧‧‧‧‧‧‧‧‧‧‧‧‧‧‧‧‧‧‧‧‧‧‧‧‧‧‧‧‧‧‧ 102
Ⅲ. 결론 ‧‧‧‧‧‧‧‧‧‧‧‧‧‧‧‧‧‧‧‧‧‧‧‧‧‧‧‧‧‧‧‧‧‧‧‧‧‧‧‧‧‧‧‧‧‧‧‧‧‧‧‧‧‧‧‧‧‧‧‧‧‧‧‧‧‧‧‧‧‧‧‧‧‧‧‧‧‧‧‧‧‧‧‧‧‧‧‧‧‧‧‧‧‧‧‧‧‧‧‧‧‧‧‧‧‧‧‧‧‧‧‧‧‧‧‧‧‧‧‧‧‧‧‧‧‧‧‧‧‧‧‧‧‧‧‧ 136

참고문헌 ‧‧‧‧‧‧‧‧‧‧‧‧‧‧‧‧‧‧‧‧‧‧‧‧‧‧‧‧‧‧‧‧‧‧‧‧‧‧‧‧‧‧‧‧‧‧‧‧‧‧‧‧‧‧‧‧‧‧‧‧‧‧‧‧‧‧‧‧‧‧‧‧‧‧‧‧‧‧‧‧‧‧‧‧‧‧‧‧‧‧‧‧‧‧‧‧‧‧‧‧‧‧‧‧‧‧‧‧‧‧‧‧‧‧‧‧‧‧‧‧‧‧‧‧‧‧‧‧‧‧‧‧‧‧‧ 14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신지연. (2015). 정현종 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89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104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5-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