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교사 수업에서 중학생들의 불안감, 모험시도, 동기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정현
Issued Date
2014
Abstract
ABSTRACT

A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xiety, Risk-taking and Motivation in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Jeong Hyun Choi
Advisor: Kyung Ja Kim, Ph.D.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xiety, risk-taking and motivation in comparison with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teachers. 110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The survey was made up of 59 statements that the students had to respond to. The results are analyzed by using SPSS to suggest an objective reason of the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different classroom teachers. Students revealed more anxiety in the nonnative English teachers' classroom than in the native English teachers' (p=.001). The anxiety for the English test was higher in the nonnative English teachers since nonnative English teachers dealt with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the test. Second, in case of risk-taking, it proved that students did more risk-taking in 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Since game and pop-songs which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 were used in the 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and it seemed that those method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lass. Third, students had more learning motivation in the non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and the differences were also significant(p=.001). In particular, the students had considerably high instrumental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because students knew that most of the learning related to the test was more connected to the non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However, students had considerably high integrative motivation in the 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As for the non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students seemed to get easily bored with the lesson dealing with too much explanation of English grammar and reading part.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differences in students' anxiety, risk-taking and the learning motivation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came from the different contents of the class as well as the different teaching styles of the teachers. Therefore, native English teachers and nonnative English teachers should cooperate all through the teaching process to make the class more exciting and comfortable. In addition, nonnative English teachers should use various lesson materials which can evoke student's interest to communicat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연구요약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 4개 반을 대상으로 표집한 뒤 원어민과 한국인 교사의 수업 시간에 느끼는 언어 불안, 모험 시도, 학습 동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가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교사에게 수업을 받는 경우와 한국인 교사에게 수업을 받는 경우 학습자가 느끼는 언어 불안의 정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학습자들은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보다 원어민 교사의 수업 시간에 언어 불안을 덜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언어 불안의 하위 요소인 의사소통 불안, 영어 시험 불안, 동료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불안, 교사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불안의 평균은 높지 않았지만 동료와 교사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불안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에서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 겪는 불안의 정도와 원어민 교사의 수업에서 겪는 불안 정도의 차이가 유의미하다는 분석이 이루어져 학생들은 원어민 교사의 수업에서 의사소통에 대한 불안감을 더 겪고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는 시험에 대한 불안을 더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영어 시험 불안에 대한 불안 평균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렇게 영어 시험 불안이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학생들이 치르게 되는 시험과 관련된 설명이나 시험을 치르기 위한 문법 문제에 대한 설명은 한국인 교사가 대부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모험 시도의 측면 역시 원어민 교사에게 수업을 받는 경우와 한국인 교사에게 수업을 받는 경우 학습자가 행하는 발표적극성과 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모험 시도의 차이는 유의미했다(p=.001). 앞서 제시된 연구에서 학생들은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보다 원어민 교사의 수업에서 더 많은 모험 시도를 하고 있었다. 새로운 표현에 대한 시도와 동료와의 의사소통 시도의 평균 차이는 각각 0.08, 0.13로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발표의 적극성 정도와 교사와의 의사소통 시도에서는 원어민 수업과 한국인 수업에서 학생들이 모험을 시도하는 차이는 유의하다고 분석할 수 있었다. 모험 시도의 하위 요인에서 원어민,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 따라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항목은 교사와의 의사소통 시도였고, 발표의 적극성, 동료와의 의사소통시도, 새로운 표현에 대한 시도가 그 뒤를 이었다. 학생들이 원어민 교사의 수업 시간에 더 많은 모험 시도를 하는 이유는 원어민 교사의 수업 시간에는 게임이나 팝송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참여를 자연스럽게 이끌어 내는 학습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인 교사 수업의 문법이나 독해 위주의 수업이 아니라 활동 중심의 학습자 중심의 원어민교사 수업을 통해서 짐작해볼 수 있다.
셋째, 원어민 교사에게 수업을 받는 경우와 한국인 교사에게 수업을 받는 경우 학습자가 갖는 학습 동기의 차이 역시 유의미하다는 결론이 나왔다(p=.001). 원어민 수업의 학습 동기 평균값은 3.10, 한국인 수업의 동기 평균값은 3.69였다. 학생들은 원어민 교사의 수업에서보다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 더 많은 학습 동기를 갖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특히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갖고 있는 도구적 동기의 평균값은 굉장히 높았지만, 통합적 동기는 원어민 교사의 수업에서 유의한 값으로 높게 나왔다. 이는 학습자들이 독해나 문법 위주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어 실용적인 영어를 배울 수 없는 점과 영어권 국가의 문화나 풍습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없어 한국인 교사가 진행하는 수업이 흥미롭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인 교사의 수업 시간에 원어민 교사의 수업과 비교하여 도구적 동기와 외적 동기가 높은 이유는 학습자들 스스로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 시험과 관련된 부분을 많이 다룬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며, 그로 인해 영어에 대한 학습 의욕과 흥미 또한 증가되어 내적 동기에 영향을 미쳤을 거라고 여겨진다.
학생들에게 원어민, 한국인 교사의 수업을 통해 어떤 영역에 도움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한 결과, 원어민 교사의 수업에서는 영어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서, 한국인 교사의 수업에서는 영어 문법과 독해 영역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가 학생들에게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서로의 단점을 잘 보완해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절반의 학생들은 앞으로 듣기를 희망하는 교사의 선택에 있어 한국인 교사를 선택했다. 그리고 49%의 학생들이 원어민, 한국인 교사가 협동 수업을 시행한다 해도 한국인 교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답하였다. 이는 연구 대상자들이 높은 시험 성적을 얻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한국인 교사의 수업을 통해 배울 수 있다는 이유로 학생들이 한국인 교사의 수업을 선호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한국인 교사의 수업을 어떠한 보상을 얻기 위해 혹은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xiety, Risk-taking and Motivation in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Alternative Author(s)
Choi, Jeong Hyun
Affiliation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김경자
Awarded Date
2015-02
Table Of Contents
- 목 차 -

목차 Ⅰ
표목차 Ⅲ
ABSTRACT Ⅳ

Ⅰ.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및 질문 3
1.3 논문의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 4
2.1 언어 불안 4
2.1.1 언어 불안의 개념과 특성 4
2.1.2 언어 불안과 원어민/한국인 교사 수업의
연관성에 대한 선행 연구 5
2.2 모험 시도 8
2.2.1 모험 시도의 개념과 특성 8
2.2.2 언어 불안과 원어민/한국인 교사 수업의
연관성에 대한 선행 연구 9
2.3 학습 동기 11
2.3.1 학습 동기의 개념과 특성 11
2.3.2 학습동기와 원어민/한국인 교사 수업의
연관성에 대한 선행 연구 1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16
3.1 연구대상 16
3.2 연구도구 17
3.2.1 배경조사 설문문항 18
3.2.2 언어 불안, 모험시도, 학습동기 설문문항 18
3.3 자료 수집 방법 19
3.4 자료 분석 방법 1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0
4.1 신뢰도 분석에 대한 결과 20
4.2 원어민/한국인 교사 수업의 인식에
관한 설문지 분석 20
4.3 언어 불안 분석 22
4.3.1 전체 학생의 언어 불안 분석 22
4.3.2 원어민, 한국인 교사 수업의 언어 불안 분석 24
4.4 모험 시도 분석 26
4.4.1 전체 학생의 모험 시도 분석 26
4.4.2 원어민, 한국인 교사 수업의 모험 시도 분석 28
4.5 학습 동기 분석 30
4.5.1 전체 학생의 학습 동기 분석 30
4.5.2 원어민, 한국인 교사 수업의 학습 동기 분석 31

Ⅴ. 제언 및 결론 34
5.1 연구 요약 34
5.2 교육적 함의 36
5.3 연구의 제한점 37
5.4 후속 연구 제언 38
5.5 결론 38

참고문헌 39
부록 4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최정현. (2014).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교사 수업에서 중학생들의 불안감, 모험시도, 동기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83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765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5-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