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毉山問答」의 형식과 세계인식의 관련 양상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곤
Issued Date
2011
Abstract
본고는 조선후기 대표적 실학자인 홍대용의 사상체계를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毉山問答」의 형식을 체계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홍대용 사상의 본질을 정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의산문답」을 내용상으로 보자면,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째는 人物均論에 관한 것으로 洛論의 人物性同論을 계승한 것이다. 다음은 天地ㆍ宇宙論에 관한 것으로 天文, 陰陽五行說중 易象에 관한 수많은 계산법을 바탕으로 하여 우주 자연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구체적인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확장해 간다. 마지막으로 人物之本과 古今之變에 관해 논하고 華夷之分을 반박하고 있다.
「의산문답」은 實翁과 虛者를 등장인물로 하여 문답체로 구성되었다. 허자는 성리학에 달통한 조선의 선비이다. 실옹은 중국과 조선의 접경 지역 醫巫閭山에 살고 있다. 인물의 이름을 보면 담론의 주체가 누구인지 쉽게 알수 있다. 「의산문답」은 인물의 행위나 사건보다는 허자와 실옹의 문답에 중심을 두며, 담론의 주체는 실옹이다. 허자는 실옹에게 질책을 당하고, 가르침을 받으며 실옹의 학설을 수용하여 깨달아가는 대상이다.
「의산문답」의 내용은 당대의 학문 풍토, 성리학을 궁구하는 儒者들의 태도에 대한 비판과 아직 조선 사회에 퍼져나가지 않은 천문학을 중심으로 한 자연과학에 관한 내용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내용들은 조선 사회에 보편화된 사고가 아니라 생소한 것들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를 이해시키고, 설득시켜야 하는 소재들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볼 때 문답에 의한 서술 방법은 「의산문답」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적절한 서술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인물의 행위보다는 허자와 실옹의 토론에 중심을 두며, 문답을 주고받는 허자와 실옹이 대립적인 관계로 설정되어 정보교류 차원을 넘어선 대화가 오간다. 이들은 문답을 통해 서로의 의견과 가치관을 피력한다. 대립적인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서로의 상대되는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질문과 대답이 일회적으로 끝나지 않고 허자의 질문에 실옹이 답하고, 실옹의 질문에 허자가 답하면서 연속적으로 제시되는 유형이다. 질문과 대답이 연속적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극적이면서 서사적인 경향을 띤다고 할 수 있다. 문답이 여러 번 반복될수록 두 사람 사이의 관계는 더 진전될 가능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허자는 실옹과의 문답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 진리를 추구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문답은 오히려 실옹의 꾸중이라고나 할 구성으로 되어있다. 실상 두 인물이 나오기는 하지만 어느 한 인물이 다른 인물의 의견에 대해 불만을 갖거나 대안을 내놓는 것이 아니라 일방적 우위에 선 인물이 그렇지 못한 상대방에게 일러주는데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외형상 논설문의 형식을 띠기는 해도 홍대용 입장에서 「의산문답」을 설명문, 나아가서 訓戒文처럼 인식되는 것이다. 자신이 이미 깨달은 사실을 아직 미처 깨닫지 못한 독자에게 친절하게 알려주고 옳은 길로 가도록 독려하면 그만이다. 이는 홍대용이 문답을 택한 의도이다. 만일 논쟁적인 글을 원했다면 論이나 辨ㆍ說등을 택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문답 형식의 說에도 실옹과 허자간의 문답이 드러나지만 이 경우에는 허자의 역할이 실옹의 이야기를 경청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대해 강한 반론을 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실옹은 그에 대한 재반격을 거듭하면서 자신의 논지를 계속 강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작품으로 「의산문답」 전체를 읽게 된다면, 이론서 혹은 담론으로서 갖는 의미 그 이상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자연과학ㆍ철학ㆍ정치사상적 논리들이 그야말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이론이 아니라 하나의 이야기로 재미를 더한다. 문학적 재미와 구성력, 난해하지 않으면서 풍요로운 철학적 깊이, 비유와 묘사로 표현된 우주의 실체, 고정된 표상을 뒤집는 사상적 전위성이 어우러져 작품 자체로 독특한 분위기가 있기 때문이다. 문학이면서 문학이 아니고, 철학이면서 철학이 아니고, 과학을 말하지만 과학만을 말하지 않는다. 이런 특징 중의 어느 하나라도 빠졌다면 작품성이 떨어졌을 것이다.
작품의 형식과 내용이 하나가 되어 삶에 대한 태도와 세계에 대한 이해를 표망한다. 작품의 형식은 글을 꾸미는 장식만이 아니다. 저자의 삶과 정치적, 철학적 결단이 묻어나는 것이 형식이다. 이런 의미에서 「의산문답」은 중세적 구획을 가르고 세계에 대한 올바른 시선을 제시하고자 했던 홍대용의 주장을 드러냈다.
문학작품의 연구는 그 작품이 지니고 있는 미학적 구조와 더불어 역사ㆍ사회적인 맥락, 작품의 저작 목적, 작가의 사상 등 다각적인 조명을 통해서야 만족할만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곧 작품의 총체적 이해를 위해서는 어느 한 가지의 방법으로는 불가능하며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홍대용의 문학이 규명 되어야 철학사적 의미와 사회 역사적 의의를 도출해낼 수 있고, 비로소 형성원인에 대해서도 더욱 객관적인 해명을 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nature of Hong Dae-yong's system of thought.
For the purpose, the study analysed the forms of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which shows the philosophy system of Hong Dae-yong,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considering the content of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it is roughly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t is the theory that people are equal and inherits the theory that people and animals are the same. Second, it is about the world and universe theory. It expand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the nature based on specific scientific facts and a number of calculating methods on the world.
Finally, it discusses the nature of human and the past and present, and refutes Sinocentrism.
The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is composed of questions and answers by Silong and Huja as characters. Huja was a scholar of Joseon who was familiar with Confucianism. Silong lived in Ouimuryosan, a borderland with China and Joseon. To see the names of characters, the subject of the discourse can be easily identified. The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focuses on questions and answers of Silong and Huja rather than behaviors of persons or events, and the subject of the discourse was Silong. As Huja was reprimanded and taught by Silong, he accepted Silong's academic theory and realized it. the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deals with criticism of confucians who sought for Confucianism, an academic climate at that time and natural sciences centering on astronomy which was unavailable yet in Joseon period. As such contents are unusual in Joseon society, they were materials to be understood and persuaded. In this aspect, narration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is an appropriate method to effectively deliver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It focuses on discussion between Huja and Silong and they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in opposite relations beyond the exchanges of information. They expressed their opinions and senses of value each other. Through the opposite relations, they could present their opposite viewpoints. Questions and answers were not completed once and kept rotating between the characters. The questions and answers were continuously presented, which tended to be dramatic and narrative. The more questions and answers are repeated, the further relationships they had. Huja realized and sought for the truth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However, the questions and answers were made of reprimand by Silong. Two characters appeared in the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but one did not complain against the other or present alternatives to him, but the superior advised the inferior to do or not to do. Therefore,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is considered as an expository or admonition writing in Hong Dae-yong's position although it has a form of rhetorical writing. He intended to let readers know what he realized to encourage them to go right ways. So he chose the question and answer style discourse. If he had wanted to dispute, he would have chosen rhetorics, discussion or narration. Though discourse between Silong and Huja could be delivered through narration of questions and answers, in this case, Huja disputed what Silong said as well as listened to it. Then, Silong repeated disputes to consolidate his opinion.
To read the entire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as a writing, we can find more value from it than a theory book or discourse. Theories of natural sciences, philosophy and political thoughts have fun as stories rather than abstract and conceptual theories. It has a unique atmosphere having literary fun and structure, profound philosophical depth, reality of the universe and ideological innovation.
It is literature, but not literature. It is philosophy, but not philosophy. It says about science, but does not say only science. If one of those features had been omitted, its creativity would have not been recognized.
The form and content of the writing are united into one to search for attitude to life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e form of a writing is not only intended to decorate writing. It contains life of an author, and political and philosophical decision. In this meaning, Questions and Answer in Mt. Euisan shows Hong Dae-yong's opinion who desired to present right viewpoints on the universe.
Research on literary works can have satisfactory results through many-sided consideration such as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purposes of writing, and author's thoughts. That is, general understanding of works needs organized analysis rather than a single method. When Hong Dae-yong's literature is identified in this context, philosophical and socio-historical meanings Hong can be extracted and more objective explanation on reasons of forming can be obtained.
Alternative Title
Relevant aspects of the Form and the World’s perception
Alternative Author(s)
Kim G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한문교육
Advisor
정길수
Awarded Date
2012-02
Table Of Contents
目 次

ABSTRACT ⅲ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사 검토 2
3. 연구 방법 4


Ⅱ. 「毉山問答」의 형식 7
1. ‘虛’ 와 ‘實’의 대립 구도 7
1) ‘虛’ 와 ‘實’의 개념 7
2) ‘虛者’ 와 ‘實翁’ 의 인격화 10
2. 問答體 13
1) 問答體의 기원 및 효용 13
2) 問答體 형식 17
3. 소설적 구성 21
1) 허구적 인물과 배경 21
2) 서사 속 허자의 역할 23

Ⅲ. 「毉山問答」의 세계인식 26
1. 實心實學의 學問 26
1) 虛學에 대한 批判 26
2) 實學의 本質 29
2. 心性論과 人間ㆍ自然의 關係 34
1) 陰陽五行論 비판 34
2) 人物均論 41
3. 중화주의 비판 48
1) 華夷論 48
2) 域外春秋論 50
4. 새로운 우주론 53
1) 虛學 宇宙論 비판 53
2) 氣中心 宇宙論 55


Ⅳ. 「毉山問答」의 형식과 세계인식의 관련 양상 67
1. 세계인식의 형상화 방식 67
2. 형식과 세계인식의 상호작용 73


Ⅴ. 결 론 77


참 고 문 헌 80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곤. (2011). 「毉山問答」의 형식과 세계인식의 관련 양상.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44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56562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2-0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