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의 유형과 교육방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현정
Issued Date
2011
Abstract
본 논문은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을 유형별로 고찰하고, 이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판소리계소설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다양한 방법과 각도에서 많은 결과를 보였지만, 정작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해학이 잘 나타나는 판소리계소설 내의 재담에 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더군다나 2007 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재담 관련 성취기준이 새롭게 반영됨으로써, 국어교육에서 부수적인 역할만을 차지했던 기존의 시각이 많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현대 화법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유머의 개념이 재담의 정의와 유사하다는 점을 바탕으로 유머의 원리와 전제, 그리고 유형을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분류한 유머의 유형은 언어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으로 크게 구분하였으며, 언어적인 면은 단어나 어구, 혹은 문장 단위와 같은 언어 그 자체로써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 세분화하였으며, 내용적인 면의 경우에는 웃음 유발의 요소가 배경지식이나, 문맥상에서 상황적인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분류 체계를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에 반영하여 언어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으로 분류하였으며, 판소리계소설 내에서도 다양한 재담이 반영되어있다는 것을 하나의 텍스트가 아닌,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설명하였다. 결과적으로 판소리계소설에는 다양한 요소의 웃음 유발 장치가 삽입되어 있었으며, 이것은 교육적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효용적 텍스트로서의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을 실제 교육적 텍스트로서 활용하기 위해 먼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개략적 분석을 하였으며,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검정 교과서(7학년 23종, 8학년 15종)에 나타난 판소리계소설 작품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당히 많은 텍스트들이 교과서에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단순히 재담 관련 성취기준뿐만 아니라 다양한 성취기준에 있어 판소리계소설 텍스트들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7학년과 9학년에 나타난 재담 관련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각 3차시의 소단원 학습 지도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판소리계소설 텍스트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학습 모형을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에 도입해 보고, 실제적인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witty stories appeared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and to explore the methods to apply this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revealed lots of results in diverse methods and viewpoints, but the researches on the witty stories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in which the universal sentiments of our people are well represented, have been minimal. Moreover, as the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witty stories with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newly reflected, it can be seen that the viewpoints on what has been playing an ancillary role in Korean education have been changing greatly.
So this research classified and presented the principles, premises, and patterns of humor,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humor that the modern narrative theories deal with is similar to the definition of witty stories. The patterns of humor thus classified were divided roughly into the linguistic aspect and the contextual aspect, and the linguistic aspect was subdivided into the cases that have the factors for causing laughter by the language itself such as words, phrases, or sentences, and the contextual aspect was subdivided into the cases causing laughter by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cases causing circumstantial laughter by the context.
And by reflecting this classification system on the witty stories appeared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I classified it into the linguistic aspect and contextual aspect, and explained that diverse witty stories were reflected with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through diverse texts rather than just one text. As the final outcome, it could be seen that diverse factors for laughter-causing devices were inserted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and it had the sufficient value as effective texts that can be utilized in education.
And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utilize the witty stories appeared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as actual educational texts, the brief analysis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conducted and the works of novels of Koran Pansori appeared in the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reflecting the revised curriculum (23 kinds for the 7thyearclass, 15kind forthe8thyearclass) wereexamined. It could be confirmed that quite many texts were reflected on the textbooks and the texts of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were utilized not only in simpl e achievement criteri are lated to witty stories but also diverse achievement criteria.
Finally, by presenting the small unit teaching plans each 3 class hour, based on the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witty stories appeared in the 7thyearclass and the 9thyearclass, I presented the schemes of teaching the learner-oriented texts of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so as to adopt and actually utilize the diverse learning model s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Korean language.
Alternative Title
A Pattern of witty story and A Scheme of Education in the novel of Korean Pansori
Alternative Author(s)
Park, Hyun J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김수중
Awarded Date
2011-08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연구의 검토 3
3. 연구 방법 및 범위 5

Ⅱ.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 7
1. 재담의 정의 및 유형 7
1.1. 재담의 정의 7
1.2. 재담의 유형 9
2.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의 유형 21
2.1. 언어요소 활용 방식 22
2.1.1. 언어유희의 사용 23
2.1.2. 다양한 수사 표현 26
2.1.3. 속담과 수수께끼 28
2.1.4. 삽입가요 30
2.2. 내용요소 활용 방식 32
2.2.1. 서술자의 개입 32
2.2.2. 인물의 비속화 34
2.2.3. 긴장의 조성과 완화 38
2.2.4. 금기의 일탈 39

Ⅲ. 판소리계소설의 재담 교수-학습 방안 42
1.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재담교육 42
1.1.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체계 42
1.2. 개정 교육과정 내의 재담 교육 45
1.2.1. 7학년 성취 기준 46
1.2.2. 9학년 성취 기준 47
2.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수록 판소리계소설 양상 48
2.1. 7학년 교과서 48
2.2. 8학년 교과서 52
3. 판소리계소설 텍스트를 통한 재담교육의 실제 54
3.1. 해학과 전통성의 이해 54
3.2. 판소리계소설 텍스트의 수업 적용 55

Ⅳ. 결론 72

참고 문헌 74
부록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박현정. (2011).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의 유형과 교육방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43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2101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8-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