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문학 작품을 활용한 방언 교육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조현자
Issued Date
2010
Keyword
문학 방언
Abstract
본 연구는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방언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는 국정 교과서로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접하는 되는데,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작품은 체험의 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많은 영향을 준다.
Ⅱ장에서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중ㆍ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방언 교육 내용을 설명문이나 논설문처럼 직접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직접 제재와 시나 소설 등의 문학 작품처럼 간접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간접 제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때 방언 문학작품과 같이 방언 교육을 의도하지 않은 제재의 경우도 학습자에게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Ⅲ장에서는 제7차 국어 교과서를 배우고 있는 학생들이 지역방언이나 사회방언에 대한 얼마나 이해하고 있으며, 문학작품에 쓰이는 방언의 효과나 가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설문 조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국어 시간에 방언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방언 교육을 해야 할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문학 작품이 특정한 시대의 사회나 문화를 반영할 때, 그 문학 작품 속에서 도구로 사용된 언어가 방언이라면 그 사회를 사실적이고 진실하게 담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통해 방언 교육을 함으로써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방언 교육을 받은 학습자는 방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다는 설문 조사의 결과도 방언 교육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이를 위해 뒷부분에서는 제7차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작품 중에서 지역방언 및 사회방언과 관련하여 교육할 수 있는 제재를 분석하였다. 문학 작품을 활용한 방언 교육의 방안으로 제일 시급한 것은 문학 작품 안에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일정한 지역방언이나, 화자나 등장인물의 사회 담화의 상황적 맥락에 따른 사회방언들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방언의 특성에 대하여 이해하도록 하는 일이다. 그 다음으로 표준어와 방언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여 상황에 따라 방언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국어 생활을 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앞으로 방언 교육의 내용은 계속 확장될 것이다.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국어지식 영역의 방향을 참고할 때 지식위주의 국어지식 교육에서 다양한 텍스트를 활용하는 탐구능력의 배양과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결국 이 연구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ㆍ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 작품을 검토하고 지역방언 및 사회방언 차원의 교육 제재로 활용 가능한 사실을 밝히는 데 의의가 있고, 이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검인정 국어 교과서에 수록될 작품들을 활용하여 방언 교육을 할 때 방향 제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s on education of dialects employing literary works published in Korean textbooks. Most of the students use the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learners through shared experiences in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textbooks.
Chapter Ⅱ examined direct materials such as expository or rhetorical writing or indirect materials such as poetry or novels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understanding the 7th Korean Curriculum. Even materials which are not intended to teach dialects like literary works written in dialects may have positive effect on learners.
In chapter Ⅲ,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with the 7th Korean textbooks were interviewed to identify how much they understand local or social dialects and how they perceived the effect or values of dialects in literary works with uses of a questionnaire. As well, this study analysed how dialects have been taught in Korean class.
Chapter Ⅳ discussed the necessity to teach dial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f literary works reflect society or culture of a certain period and the languages used as tools in the literary works are dialects, they can describe the society realistically or faithfully. Learners can learn how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education on dialects in literary work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at learners who received education of dialects have changed perception on dialects support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Therefore, this chapter analysed materials to be educated in respect to local or social dialects in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The most necessary thing for development of dialect education approaches employing literary works i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dialects as dialects of a certain area or social dialects according to situational contexts of social discourses are reflected in literary works. Then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use dialects according to situations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s.
In the future, the contents of dialect education will continue to be expanded. In considering directions in knowledge on Korean pursued in the 7th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nurture ability of inquiry using various texts and develop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literary works published in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7th Korean Curriculum in order to identify the possibility to use them for education of local or social dialec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present 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 on dialects employing literary works to be published in officially approved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Dialect Education Method Employing Literary Texts
Alternative Author(s)
The7thCurriculumKoreanLanguageTextbookattheMiddleandHighschool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강희숙
Awarded Date
2011-02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3
1.3. 선행 연구 검토 4



Ⅱ.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중ㆍ고등학교 교과서의 방언 제재 양상 8
2.1.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방언에 관한 이해 8
2.2.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의 방언 제재 수록 양상 12
2.2.1. 직접 제재 수록 양상 13
2.2.2. 간접 제재 수록 양상 15



Ⅲ. 방언에 대한 인식과 방언 교육 현황 40
3.1. 방언에 대한 인식 40
3.1.1. 지역방언과 사회방언에 대한 인식 41
3.1.2. 문학어로서의 방언에 대한 인식 49
3.2. 방언 교육 현황 53



Ⅳ. 방언 교육의 필요성과 교과서 문학 방언의 활용 방안 59
4.1. 방언 교육의 필요성 59
4.2. 방언 교육의 방안 62
4.3. 교과서 문학 방언의 활용 방안 65
4.3.1. 지역방언 차원의 활용 방안 65
4.3.2. 사회방언 차원의 활용 방안 70



Ⅴ. 결론 79



참고문헌 81


부록 1 8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조현자. (2010). 문학 작품을 활용한 방언 교육 방안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34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168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3-0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