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저출산의 실태와 개선방안연구
- Author(s)
- 김태은
- Issued Date
- 2010
- Keyword
- 저출산
- Abstract
- South Korea's birth rate has drastically declined since the 1960s and, in 1983, reached the replacement level, 2.1 births per woman. Since the mid-1990s, the Korean birth rate has continued to remain below 1.6 births per woman. From then on, into the year of 2010, this low-birth trend below 1.0 birth has persisted. This continuous low-birth trend is expected to worsen the labor shortage and increase the working population's burdens of supporting aged people, leading to an overall crisis in the social security system. Furthermore, the aging labor force will cause a drop in labor productivity, which will then slow down potential economic growth and undermine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s and effects of Korea's low birth rate and intends to suggest appropriate solutions for effective policies to recover the domestic birth rat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ow fertility rates and responses of OECD countries.
First,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employment stability and job security as solutions to guarantee women's economic activities, which directly affect the birth rate.
Second, as a policy to support non-regular female workers, these workers should be allowed to use post-birth maternity leaves and a maternity protection system. More than half the female workers in Korea are working within small businesses, and the vast majority of them hold non-regular positions. Therefore, pays for the entire period of leaves before and after birth should be incorporated into social insurance policies so that all female workers can feel free to use their leaves.
Third, to alleviate parents' burdens of rearing their children and provide quality childcare, government-funded and public childcare and educational institutes should be expanded.
Fourth, as an economic boost, more effective finances should be secured and put toward the budgets for infant and child support policies or child allowance systems. As well, the expenses borne by families due to birth should be applied to a grading system through income tax deductions and household incomes should be also ensured during childcare.
Fifth, the last solution suggested i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ange in awareness of government and members of our society. Fundamentally, working conditions and corporate culture should be improved to promote gender equality and allow women to balance their family and work. As well, the utilization of men's childcare leave system or the introduction of a father allocation policy should help institutionalize men's participation in taking care of their families. Therefore support at the policy level is necessary to help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people realize the social value of childcare and harnomize family and social life.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and Improvement Policy for the Low Birthrate in korea
- Alternative Author(s)
- Kim, Tae Eu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 Advisor
- 지광수
- Awarded Date
- 2010-08
- Table Of Contents
- 목 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 구성 및 방법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제 1 절. 저 출산 관련이론
1. 사회학적 이론
2. 인구학적 이론
3. 경제학적 이론
제 2 절. 저 출산 관련 선행연구 검토
1. 출산의 의사결정 요인
2. 여성의 경제활동과 출산
3. 일-가족 갈등
4. 선행연구 시사점
제 3 장. 우리나라 출산현황과 저 출산의 문제점
제 1 절. 출산현황
1. 합계출산율의 변화
2. 연령별 출산율의 변화
3. 유배우 출산율의 변화
4. 혼인 형태별 평균 연령
제 2 절. 우리나라 저 출산의 요인
1. 사회적 요인
(1)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2) 전통적 가치관의 변화
(3) 여성의 지위 향상
(4)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2. 제도적, 정책적요인
(1) 산전․후 휴가제도 및 육아휴직 제도의 문제
(2) 보육시설의 문제
3. 경제적 요인
(1) 보육료 부담
(2) 사교육비와 양육비 부담
(3) 자녀 양육으로 인한 기회비용
4. 문화적 요인
(1) 결혼 가치관의 변화
(2) 자녀에 대한 가치관 변화
(3) 가사노동과 성 불평등
제 3 절. 저 출산의 문제점
1. 인구의 고령화
2. 사회복지비용의 증가
(1) 노인부양비 증가
(2) 국민 연금 및 사회적 보험의 재정 약화
3. 경제성장의 둔화
제 4 장. 세계 각국의 저 추산 현황 및 대책
제 1 절. 스웨덴
1. 사회문화적 배경
2. 출산율의 변화
3. 저 출산 대응 정책
제 2 절. 프랑스
1. 사회문화적 배경
2. 출산율의 변화
3. 저 출산 대응 대책
제 3 절. 일 본
1. 사회문화적 배경
2. 출산율의 변화
3. 저 출산 대응 대책
제 4 절. 외국 사례의 시사점
제 5 장. 우리나라 저 출산 정책의 개선방안
제 1 절. 지속가능한 여성 경제활동 보장 대책
1. 노동시장의 안정화 회복
2.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에 대한 지원
3. 산전 후 휴가 급여의 보편화
4. 육아휴직제도 강화
5. 국공립 보육, 교육시설의 확충
제 2 절. 경제적 지원책
1. 실효성 있는 재원 확보
2. 영유아 양육비 지원 정책 강화
3. 아동수당제도 도입
4. 세금제도의 개선
5. 사회보장 제도의 개선
제 3 절. 출산 ․ 가족 친화적 사회 분위기 조성
1. 성 평등 가치관의 확대
2. 가족 친화적 기업문화 정착
3. 부(父) 할당제 도입
제 6 장. 결 론
참 고 문 헌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Citation
- 김태은. (2010). 우리나라 저출산의 실태와 개선방안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28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0220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0-12-31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