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판화의 장르확장에 관한 개념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나영
Issued Date
2004
Abstract
오늘날 판화는 종래의 복제기능의 한계에서 벗어나 회화나 조각과 마찬가지로 예술가 자신의 독자적 조형언어를 담기 위한 표현 형태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판화는 순수예술로서의 기능보다는 복제 기능에 의한 대량정보의 충족이라는 측면에서 널리 공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 판화는 종래의 복제 기능의 한계를 벗어나 인쇄문화의 발달과 사진의 발명으로 인한 복제수단으로서 기능은 종언하고 순수예술로서 독립된 장르로 자리를 구축하였다.
이제까지 판화는 작업 과정상 여러 가지 제약과 표현의 특수성 때문에 그 보급이 순조롭지 않았으나 다양한 기법 및 재료의 수용성과 개발을 통한 다양하고 능동적인 시도로 다른 장르와 함께 새로운 표현능력으로 서서히 그 폭을 확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Original 판화의 발상에서 파생된 다양한 형태의 작업들이 제한된 규격에 머무르던 평면성에서 탈피하여 그 구속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있으며 실험적 작가들에 의한 확장된 개념의 작업들이 무한히 변모하고 확장되어 온 것처럼 앞으로도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미술 장르가 그러하듯이 판화에 있어서도 이러한 실험적 작업들로 인해 가치개념의 모호성과 허용범위에 대한 논란 등으로 다른 미술 작업과의 경계가 흐려지고 실험적 작업을 통한 보다 포괄적이고 유동적인 형태로 그 양상이 전개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 미술사의 흐름속에서 순수 예술로서의 판화개념을 정리해 볼 필요성을 느끼며 Original 판화를 재정리해보고 다양한 개념 확장의 형성배경과 현황을 살펴보고 판화가 정보의 기록 보존과 의사전달의 수단인 인쇄술로 시작하여 순수창작판화로 발전하기까지 판화개념의 변천과 확장된 개념의 현대판화를 다양한 매체사용과 함께 분류하며 판화개념의 고찰을 통해 미술문화의 체계속에서 판화의 위상과 역할을 연구하였다.|Admist this stream the woodblock print has been widely furnished from an aspect of satisfying mass information by means of a contemporary Prints rather than a function as the pure art ,but the function of the contemporary Prints as the means of reprinting has come to an en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ypographical culture and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and built up its seat as a creative woodblock print through its incorporation into an independent genre as the pure art.
Modern printing requires a high level of techniques compared with other genres, and it has been hardly spread because a lot of barriers exist in the productive process.
however, it has broadened its field of expression as much as other genres of fine art with varied and creative trials using newly developed techniques and materials. Breaking from conventional and superficial method that has hindered a creative techiques and materials. Breaking from conventional, it gets free from its intrinsic limits of expression.
like other genres of modern art, it becomes harder to distinguish the printmaking from other fields of fine arts due to the obscurity of value concept and debates on a permitted limit. Moreover, it entering upon a comprehensive and flexible form through experimental operationds.
In this trend of fine ar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printmaking as a pure fine art. Additionally, further from the passive concept of an original printmaking, we need to fix up an experimental and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varied media to look into the forming back ground of expanding the concept.
Like this, the Contemporay Prints began with typography, the means for recording stor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developed into the pure creative woodcut printing and further became the new Contemporary Print of an expanded concept of Woodblock print's their background and their reasons were inquired into .And the concept of the expanded Contemporay Prints was studied by classifying the overall trends of modern woodcut print influenced by technology and by indentifying the definition of its scope.
Alternative Title
A conceptual study on genre expanding of print
Alternative Author(s)
Park, Na-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김익모
Awarded Date
2005-02
Table Of Contents
목차
논문개요 = ⅰ
ABSTRACT = ⅱ
Ⅰ. 서론 = 1
Ⅱ. 본론 = 2
1. 판화의 정의 및 특성 = 2
1) 판화의 정의 및 특성 = 2
2) 오리지널 판화의 정의 = 6
2. 판화장르의 개념확장 = 11
1) 판화의 개념확장 = 12
2) 확장된 판화의 제약 극복 = 14
3) 판화의 탈장르화 = 15
4) 새로운 매체로서의 판화 = 20
3. 현대 판화의 동향 = 24
1) 현대판화의 배경 = 24
2) 현대판화의 동향 = 26
3) 판화에 대한 인식과 그 유통 = 32
Ⅲ. 결론 = 36
참고문헌 = 38
참고도판 = 3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나영. (2004). 판화의 장르확장에 관한 개념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464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13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