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선량제약치 도입에 따른 피폭선량 관리 최적화

Metadata Downloads
Author(s)
성경정
Issued Date
2020
Keyword
방사선 관계종사자, 방사선 작업종사자, 표면선량, 심부선량, 선량제약치
Abstract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전국 방사선 관계종사자, 방사선 작업종사자를 대상으로 누적 개인피폭선량을 측정하여 빈도분석, 정규분포에 따른 년도별, 분기별, 연령별, 성별, 직종별, 방사선 관계종사자와 방사선 관계종사자 외, 방사선 작업종사자와 방사선 작업종사자외를 평균 비교와 5십분위수, 6십분위수, 7십분위수, 8십분위수, 9십분위수를 부스트랩을 통해 생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최적 선량제약치를 제시하기 위한 방사선관계종사자 여부와 방사선작업종사자여부 별 임계값을 1.0 mSv부터 6.0 mSv까지 설정하여 카이제곱검정통계량을 최대로하는 임계값을 최적 선량제약치를 연구한 결과 조사 대상 전체의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 중 표면선량과 심부선량의 경우 2017년 가장 높았고, 2016년, 2019년, 2018년, 2015년 순으로 높았으나 연도별 추세성은 보이지 않는다. 분기별 평균 피폭선량 중 표면선량과 심부선량의 경우 2,3분기가 높고, 1,4분기 낮게 나타났으나 분기별 추세성은 보이지 않는다. 성별로 분석한 성별 연도별 피폭선량과 성별 분기별 피폭선량을 비교하여 볼 때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피폭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분석한 연령별 연도별 피폭선량을 비교하여 볼 때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5년간의 평균 피폭선량은 연령이 낮을수록 피폭선량이 증가되었다. 직종별로 분석한 직종별 연도별 피폭선량을 비교하여 볼 때 방사선사, 간호직, 의사, 기타(연구원, 보조원), 치과위생사, 치과의사 순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관계종사자, 방사선 작업종사자와 외의 사람에 따른 평균 피폭선량을 사분위수 분석하였을 때 방사선 관계종사자와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외의 사람보다 높게 나타났다. 카이제곱검정통계량을 이용한 핵의학방사선종사자의 선량제약치를 분석에서 카이제곱검정통계량이 가장 높을 때의 선량제약치를 최적 선량제약치로 보면, 표면선량의 경우 방사선관계종사자는 1.9 mSv이고 방사선작업종사자는 2.7 mSv이다. 심부선량은 방사선관계종사자는 1.9 mSv이고 방사선작업종사자는 2.8 mSv이다. 따라서 피폭선량 평가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5십분위수, 6십분위수, 7십분위수, 8십분위수, 9십분위수를 부스트랩을 통해 생성된 집단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석기준 설정해야 되며, 최적의 선량제약치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카이제곱검정통계량을 통해 각각의 요인별로 평가하여 방사선 피폭에 대한 더욱더 정밀한 분석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For five years from 2015 to 2019, the cumulative personal exposure dose of radiation workers and radiation workers across the country was measured to analyze frequency, compare the average number of radiation workers and radiation workers by year, quarter, age, gender, occupation, radiation workers and radiation workers, and the average number of radiation workers and radiation workers in the 50th, 60th, and 70th, and 90th,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optimal dose constraint was set from 1.0 mSv to 6.0 mSv for each radiation worker to present the optimal dose constraint, and found that the maximum threshold for chi-square test statistics was found highest in 2017 for the average annual exposure dose. It was followed by 2016, 2019, 2018, and 2015. But the year-to-year trend is not visible. In the case of the quarterly average exposure dose, surface dose and heart dose were high in the second and third quarters, and low in the first and fourth quarters, but there was no quarterly trend. Comparing the annual exposure dose by gender and the quarterly exposure dose by gender, it was found that men were received significantly more exposed than women. Comparing the annual exposure dose by age, the average exposure dose of radiation-related workers over five years increased with lower age. Comparing the annual exposure dose of each occupational category was analyzed by occupational category, radiologists, nursing staff, doctors, other (research researchers, assistants),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were shown in the order. When the average exposure dose by radiation-related workers, radiation workers, and others was analyzed in quartiles, radiation-related workers and radiation worker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others. In the analysis of the dose constraint of nuclear medical radiation workers using chi-square test statistics, the dose constraint at (the time of) the highest chi-square test statistic is considered to be the optimal dose constraint, radiation-related workers are 1.9 mSv and radiation workers are 2.7 mSv in the case of surface dose. The heart dose is 1.9 mSv for radiation-related workers and 2.8 mSv for radiation workers.
Therefore, analysis criteria should be objective and accurate by comparing and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produced through bootstrap in comparison with the 50th, 60th, 70th, 80th, and 90th percentil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it is thought that more detailed analysis of radiation exposure is needed to be evaluated by each factor through chi-square test statistics to present the optimal dose constraints.
Alternative Title
Optimization of Exposure Dose Management by Introducing Dose Constraints
Alternative Author(s)
Sung Kyeong Jeung
Department
일반대학원 원자력공학과
Advisor
정운관
Awarded Date
2020-08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ⅳ
그림 목차 ⅵ
ABSTRACT ⅷ

제1장 연구배경 1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방사선의 방어기준 4
1.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방사선 방어 기준 4
2. 방사선 방어기준의 동향과 ICRP 권고사항 6
제2절 ICRP 103 권고 변화 현황 8
1. 암과 유전영향의 위해조정 명목위험계수 8
제3절 작업종사자 선량제약치 설정 8
1. 선량제약치 8
2. 해외의료기관에서 운영(적용) 중인 선량제약치 실태조사 10
3. 선량제약치 설정 및 운영 13
제4절 선량제약치 설정에 따른 통계기법 14

제3장 연구대상 및 방법 18
제1절 연구대상 선정 18
제2절 조사 방법 18
제3절 통계 분석 19
제4절 인구통계학적 분석결과 20

제4장 결 과 22
제1절 요인별 평균 피폭선량 22
1.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22
2. 분기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23
3. 연령대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24
4. 성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24
5. 직종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25
6. 방사선 관계종사자 여부에 따른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26
7. 방사선 작업종사자 여부에 따른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27
제2절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 28
1. 분기별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28
2. 연령별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30
3. 성별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33
4. 직종별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35
5. 방사선관계종사자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38
6. 방사선작업종사자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40
제3절 상대적위치(십분위수)를 이용한 피폭선량 분석 42
1. 연도별 상대적 피폭선량의 비교 43
2. 분기별 상대적 피폭선량의 비교 45
3. 연령대별 상대적 피폭선량의 비교 47
4. 성별 상대적 피폭선량의 비교 50
5. 직종별 상대적 피폭선량의 비교 51
6. 방사선 관계종사자 여부에 따른 상대적 피폭선량의 비교 55
7. 방사선 작업종사자 여부에 따른 상대적 피폭선량의 비교 56
제4절 카이제곱통계량을 이용한 피폭선량 기준제시 59
1. 방사선종사자의 최적 선량제약치 62
2. 요인별 방사선종사자의 최적 선량제약치 63

제5장 고 찰 65

제6장 결 론 69

제7장 참고문헌 71

국문초록 75

부록 77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성경정. (2020). 선량제약치 도입에 따른 피폭선량 관리 최적화.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30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4256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8-2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