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간판의 디자인요소와 유형이 만족도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기석
Issued Date
2020
Keyword
sign, sign function, overall satisfaction, sign design, image recognit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기호 디자인 요소, 기호 기능, 전반적인 만족도, 이미지 인식 및 간판 유형별 사이의 관계와 영향을 시각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20세~60세 이상의 일반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5개의 오염 된 부분을 제외하고 총 175개의 응답을 통계 프로그램 SPSS 20.0에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 t- 검정, 내부 일관성, 회귀 분석 및 Pearson 상관관계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첫 번째 연구 질문으로 간판 디자인 요소 (색상, 구성 요소), 표지판 기능 및 전반적인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간판 디자인 요소의 성별 차이 검증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유사한 색상과 레이아웃이 더 높았습니다. 그리고 기호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호 디자인 요소는 유사한 색상과 혼합 색상의 순서로 색상, 조명 및 레이아웃 순서로 디자인 구성 요소가 있으며, 혼합 색상, 무채색, 대비 색상, 일러스트레이션 및 레이아웃 구성 요소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전반적인 만족도. 또한, 표시 기능은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표시 기능의 하위 요소 중에서 시대와 문화 이미지의 문화적 반영이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두 번째 연구 질문으로, 이미지 인식과 기호 유형별 선호도의 관계가 분석되었습니다. 그 결과, 로고 유형의 남성보다 여성에서 이미지 인식의 성별 차이가 더 높았습니다. 또한, 간판 유형별 차이의 결과는 튀어 나온 돌출간판 및 로고 유형 간판에 대한 관심과 조화가 더 높았고 계층화 된 건물 간판 및 수평 간판에 대한 친숙함이 높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기호 유형, 통합 건물의 표시, 돌출 유형 및 로고 유형에 따른 선호도 차이의 결과에서 이미지 인식의 하위 요소 (친숙성, 조화, 관심)의 영향이 더 높았습니다. 선호도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계층화 된 건물 및 로고 유형의 표시는 친숙함과 조화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통합 건물의 수평 유형, 돌출 유형의 간판은 관심, 조화 및 친숙함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아름다운 경관을 만드는 것이며, 무엇보다도 미래 도시 이미지를 감성적인 건축물 상가의 옥외광고물의 개선은 간판에서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색채의 중요성을 다루고 간판디자인 요소를 적용하여 사람 중심의 재건을 통해 도시를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역의 독창성을 반영한 도시 이미지의 표현은 도시 보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기에 이를 위해 도시는 먼저 쾌적하고 아름답고 지역의 정체성으로 차별화되어야합니다.
그 일환으로 도시 경관에서 건물 외벽을 덮고 있는 간판의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사람들의 견해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도시이미지에 간판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인지하는 사람들이 생겨나면서 간판의 현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균일성에 의한 단순성은 미학의 한계로 인해 도시의 정체성을 표현하지 못한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의 시작은 사람들이 간판을 인식하는 방법에서 비롯되었으며, 상업용 건물의 옥외 광고물을 주로 담당하는 매장 간판은 건물주와 간판제작업체, 그리고 지역 옥외광고물 담당공무원은 단순한 옥외광고물 가이드라인에 편중되어 간판개선사업을 진행하기보다 시민들과 전문가들의 객관적인 조사로 얻은 사실이나 정보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데이터(data)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판디자인구성 측면에서 보다 논리적으로 체계화시켜 개선되어야한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이제는 도시의 간판개선사업은 스테레오 타입(stereo type) 즉, 틀에 박힌 사고방식을 걷어내고 보다 창의적인 방법론과 논리를 부여하여 객관성을 유지하는 간판디자인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도시미학에 적용해야합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주변 도시와 차별화된 도시이미지 개선을 위하여 지역의 문화와 스토리를 담아낸 아름다운 상가 간판의 재탄생으로 깨끗하고 심플한 건물들이 재정비되어 도시에서 거주하는 주민을 우선시하고 도시를 찾는 관광객과 외부인들에게 쾌적한 환경과 심적으로 안정되고 편안한 아름다운 거리 풍경을 만드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In this study,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the sign design elements, sign function, overall satisfaction, image recognition and preference by sign type from a visu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male and female people in their 20s and 60s or older who live in South Jeolla Province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175 responses, excluding 25 contaminated parts, were used for statistical program SPSS 20.0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f exploratory factors, t-test, internal consistency,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age design elements (color, component), signage fun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As a result, in verifying gender differences in signage design elements, women had a higher color and layout than men. And the symbol design elements affecting the sign function are the design components in the order of color, lighting and layout in the order of similar color and mixed color, and the mixed color, achromatic, contrast color, illustration and layout components are affecting Overal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display function influenced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display function, cultural reflection of the times and cultural images influenced the overall satisfaction.
As a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recognition and preference by symbol 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gender difference in image recognition was higher in women than in the logotype me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by signage type showed that interest and harmony with the protruding signboards and logo-type signboards was higher, and the familiarity with tiered building signs and horizontal signboards was higher.
The influence of the sub-elements of image recognition (familiarity, harmony, interest) was higher in the results of preference differences by symbol type, display of integrated buildings, type of extrusion and logo type. In terms of the impact on preference, the signs of layered buildings and logotypes appeared in the order of familiarity and harmony, and the horizontal type of the integrated building, the sign of the extruded type appeared as interest, harmony and familia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beautiful landscape of the city, and above all, the improv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in the shopping mall, which emotionally reflects the image of the future city,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color visually felt on the signboard and applies signboard design elements to rebuild people-centered reconstruction. Is to revitalize the city through. Therefore, the expression of urban image reflecting the originality of the region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preservation of the city, and for this, the city must first be differentiated with a pleasant, beautiful and regional identity.
As part of that, the improvement of signboards covering the outer walls of buildings in urban landscapes was made, and people who recognized that the influence of signboards on the city image that provided stability to people's opinions were great, became aware of the reality of signboards. However, I am sorry that the simplicity of uniformity has failed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city due to the limitations of aesthetics.
In this regard, the start of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way people recognize signage, and the store signage, which mainly deals with outdoor advertisements in commercial buildings, is the building owner and signage producer, and local outdoor advertising officials are simple outdoor advertising. It should be improved by gathering opinions through facts or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objective investigations of citizens and experts rather than focusing on guidelines and improving the signage improvement project, and systematically organizing in terms of signboard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It was judged that. Now,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signage improvement business of the city should be preceded by stereotype, that is, the signboard design that maintains objectivity by removing the stereotypical mindset and applying more creative methodology and logic to apply it to urban aesthetic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rebirth of a beautiful shopping mall signboard that contains local culture and stories to improve the differentiated city image from the surrounding cities in Korea. Clean and simple buildings are reorganized to prioritize residents living in the city and search for cities. It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pleasant environment for the tourists and outsiders and a beautiful streetscape that is mentally stable and comfortable.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the effect of sign design elements and types on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lternative Author(s)
Jeong Ki Seok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Advisor
윤갑근
Awarded Date
2020-08
Table Of Contents
표목차 ⅰ
그림목차 ⅲ
Abstract ⅳ

Ⅰ.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1. 연구의 배경 1
1-1-2. 연구의 목적 4
1-2. 연구의 범위 및 절차 6
1-2-1. 연구의 범위 6
1-2-2. 연구의 절차 7

Ⅱ. 이론적 배경 8
2-1. 도시디자인의 개념 8
2-1-1. 도시디자인의 정의 8
2-1-2. 도시디자인의 필요성 9
2-2. 가로경관과 옥외광고물 13
2-2-1. 가로경관 13
2-2-2. 옥외광고물 16

Ⅲ. 간판에 관한 고찰 25
3-1. 간판의 정의와 종류 25
3-1-1. 간판의 정의 25
3-1-2. 간판의 종류 26
3-2. 간판의 기능과 유형 27
3-2-1. 간판의 기능 27
3-2-2. 간판의 유형 29
3-2-3. 간판의 만족도 30
3-3. 간판의 디자인 요소 32
3-3-1. 색채 34
3-3-2. 서채 45
3-3-3. 레이아웃 47
3-3-4. 일러스트레이션 49
3-3-5. 조명 52
3-4. 간판디자인의 포지셔닝 전략 60
3-4-1. 성공적인 간판디자인 포지셔닝 61
3-5. 간판의 시지각 요소 63
3-5-1. 가시성 64
3-5-2. 가독성 64
3-5-3. 주목성 65
3-5-4. 판독성 65
3-6. 간판이미지 인식 및 선호도 65
3-6-1. 간판이미지 인식 65
3-6-2. 간판이미지 선호도 67

Ⅳ. 연구모형 및 척도의 설계 69
4-1. 연구모형의 설계 69
4-1-1. 연구모형 1, 2의 설계 모형 69
4-2. 측정척도 설계 70
4-2-1. 시지각 요소 측정척도 설계 70
4-2-2. 전반적인 만족도 측정척도 설계 72
4-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75

Ⅴ. 분석결과 76
5-1. 응답자의 특성과 측정변수의 타당성 76
5-1-1. 응답자의 특성 76
5-1-2. 측정변수의 타당성 검증(연구모형 1 및 2 척도 포함) 77
5-2. 연구모형 1의 검증 80
5-2-1. 간판디자인요소가 간판기능에 미치는 영향 80
5-2-2. 간판기능이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4
5-3. 연구모형 2의 검증 86
5-3-1. 간판의 유형별 이미지 인식과 선호도 측정 요인분석 86
5-3-2. 간판의 유형별 이미지 인식 및 선호도 차이 검증 분석 90
5-3-3. 간판의 이미지 인식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93
5-4. 분석종합 99

Ⅵ. 결론 107

【참고문헌】 111

【부 록】 114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기석. (2020). 간판의 디자인요소와 유형이 만족도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26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4306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8-2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