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Functional study of REDD1 as a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the ferroptosis-mediated liver fibrosis

Metadata Downloads
Author(s)
조삼석
Issued Date
2020
Keyword
REDD1, Ferroptosis, Hepatic stellate cells, Liver fibrosis
Abstract
페롭토시스(Ferroptosis)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고갈과 철분 축적에 따른 펜톤산화에 의해 지질과산화물이 축적되어 세포장애를 유발하는 세포사멸의 한 종류로 세포자연사(apoptosis)와는 구별된다. 간섬유화는 알코올, 간염바이러스, 독성물질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한 반복적인 간 손상으로 세포 외 기질(extra cellular matrix)이 축적되어 발생한다. 세포 외 기질의 축적은 간섬유화의 주요 원인이며, 간성상세포에서 주로 생성된다. 간성상세포는 평상 시 휴지기(quiescent)상태로 유지되지만, 만성적인 간 손상 시 활성화(activation)되어 세포 외 기질 생산 및 분비를 증가시켜 간섬유화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 페롭토시스는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급성간부전, 비알콜성지방간염의 진행을 매개하고, 간암세포에서 세포독성 유발로 인해 항암요법의 새로운 표적으로 보고 된 바 있다. 이처럼 다양한 간질환들과 페롭토시스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간섬유화에서 페롭토시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REDD1은 활성산소종과 DNA손상, 저 산소 상태 등의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반응하여 세포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REDD1의 발현 및 활성화 조절을 매개하는 주요 조절인자로는 p53, HIF-1α, AP-1 등이 있으며, 이들은 스트레스에 의해 매개되어 활성화되는 전사인자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이전에 간세포에서 산화적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REDD1유전자의 보호효능에 관해 보고 한 바 있다. 그러나, 간섬유화 진행 시 활성화되는 간성상세포에서 REDD1의 조절 기전 및 역할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성상세포의 활성화에 있어서 페롭토시스의 기능적 역할, 더 나아가 간섬유화 진행 시 치료표적으로써 REDD1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간성상세포에서 페롭토시스 유도제에 의한 세포사멸이 세포자연사(apoptosis) 및 세포자멸괴사(necroptosis)와 구별되며 페롭토시스 특이적 표지자들의 변화를 통해 페롭토시스의 발생을 관찰하였다. 또한, 페롭토시스가 Smad 비의존적인 경로인 AP-1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간성상세포의 활성화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마우스에 만성적으로 과량의 철을 투여한 경우, 간 섬유화의 발생이 인정되었다. 이는, 간성상세포에서 페롭토시스의 발생이 간섬유화 발병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로, 만성 간질환 모델인 간섬유화 모델에서 스트레스 반응유전자인REDD1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먼저, 본 연구자들이 확립한 과량의 철분투여에 따른 간섬유화 동물모델에서 REDD1유전자의 하향조절이 관찰되었다. 이는 만성질환으로 이행에 따른 REDD1유전자의 보호 효능 소실 때문 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간성상세포주인 LX-2세포에서 섬유성 사이토카인인 TGF-β에 의한 REDD1유전자의 상향조절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REDD1유전자가 초기 스트레스반응에 유도되어 보호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TGF-β에 의한 REDD1 유전자의 발현은 AP-1을 경유하는 전사적인 조절임을 확인하였다. LX-2 세포에서TGF-β에 의해 유도되는 섬유화 지표들(α-SMA, PAI-1)이 REDD1 유전자 과발현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사염화탄소(CCl4) 투여에 의한 간섬유화 동물모델에서도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REDD1유전자 과발현에 의해 ALT, AST수치 및 간 섬유화지표들의 현저한 억제가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간섬유화 발병에 대한 페롭토시스의 기능적 역할을 간성상세포를 중심으로 규명하고, REDD1의 조절기전 및 항섬유화 효능을 규명하여 페롭토시스 매개 간섬유화의 치료표적으로써 REDD1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lternative Title
페롭토시스 매개 간섬유화의 신규 치료표적으로써 REDD1의 기능 연구
Alternative Author(s)
SamSeok Cho
Department
일반대학원 약학과
Advisor
기성환
Awarded Date
2020-08
Table Of Contents
CONTENTS i
LIST OF FIGURES ⅳ
ABBREVIATIONS ⅵ
ABSTRACT (Korean) ⅷ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11
1. Materials 11
2. Cell culture 11
3. Isola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HSCs) 12
4. MTT assay 12
5. Immunoblot analysis 13
6. RNA isolation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13
7. Construction of plasmids, transient transfection and reporter gene assay 14
8. Preparation of recombinant adenovirus 14
9. Measurement of ROS production 15
10. C11-BODIPY fluorescence analysis 15
11. Animals 15
12. CCl4-induced hepatic fibrosis 15
13. Iron dextran-induced hepatic ferroptosis and fibrosis 16
14. Blood biochemistry 16
15. TBARS assay 16
16. Measurement of GSH content 16
17. Measurement of GSH/GSSG ratio 16
18. Histopathology and immunohistochemistry 17
19. Statistical analysis 17

III. RESULTS 18
Part I: The effect of ferroptosis in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18
1. The effects of ferroptosis-inducers in hepatic stellate cells 18
2. Identification of ferroptosis markers in HSCs 21
3. Ferroptosis-inducers contribute to HSC activation 25
4. AP-1-dependent HSC activation by ferroptosis inducers 28
5. Activation of the HSC induces ferroptosis 31
6. Iron dextran-induced liver injury 34
7. Iron dextran-induced hepatic ferroptosis 37
8. Iron dextran-induced liver fibrosis 40
Part II: The role of REDD1 in liver fibrosis 44
1. REDD1 repression in fibrotic liver 44
2. Induction of REDD1 in activated HSCs 47
3. AP-1-dependent REDD1 induction by TGF- 50
4. Role of putative AP-1 binding site in TGF-β-mediated REDD1 induction 53
5. The role of REDD1 in TGF-β-dependent Smad activation 56
6. Protective effect of REDD1 against CCl4-induced liver injury 59

IV. DISCUSSION 68

V. REFERENCES 74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조삼석. (2020). Functional study of REDD1 as a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the ferroptosis-mediated liver fibrosis.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25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4261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8-2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