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노인장기요양시설 효율적 운영 지역 비교 연구
- Author(s)
- 소린탁
- Issued Date
- 2020
- Keyword
- 노인장기요양시설
- Abstract
- This study compares the factors affecting efficiency of nursing home in 7 metropolitan cities; Seoul, Busan, Daegu, Incheon, Gwangju, Daejun and Ulsan in Korea.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Status of Professional Personnel of Nursing Home by City, County, and District」published in August, 2018 by National Statistics Office and 「Status of nursing home service fee upon location」published in 2018 by National Statistics Office. Based on this data, the number of workers, the number of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actual personnel are set up as input various, and output various are service fee of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DEA method of analysis, I analyzed the efficiency of nursing home.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surement result of CCR(Charnes Cooper Rhodes) of this study shows the list of efficiency in high order; Seoul, Incheon, Busan, Daegu, Daejun, Ulsan, and Gwangju. In other words, CCR had the highest relative efficiency in Seoul and lowest in
Second, the measurement result of BCC(Banker Charnes Cooper) of this study shows the list of efficiency in hight order; Seoul, Incheon, Daejun, Ulsan, Daegu, Busan, and Gwangju. In other words, BCC had the highest relative efficiency in Seoul and lowest in Gwangju.
Third, the measurement result of SE(Super Efficiency) of this study shows the list of efficiency in high order; Seoul, Incheon, Busan, Daegu, Daejun Ulsan, and Gwangju. In other words, SE, like CCR and BCC, had the highest relative efficiency in Seoul and lowest in Gwangju.
Forth, as a result of analyzing CCR, BCC, and SE measuring level of input-output contribution, all location except Ulsan shows that workers and service fee are the major factor affecting input and output. It means workers and service fee at nursing home in Korea are the most and highest contribution to efficiency.
Fifth, the measurement result of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According to measurement result of CCR,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service fee in Gwangju; the major various, is 262.16%,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worker is 0%. According to measurement result of BCC, 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service fee in Gwangju; the major various, is 261.30%,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worker is 0%. According to measurement result of SE, 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service fee in Gwangju; the major various, is 262.16%,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worker is 0%. Namely, in order to have potential to improve relative efficiency of nursing home in Gwangju, service fee should be increased to 261.87% of current one.
Based on this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efficiency of nusring home in 7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as follow.
First suggestion is to increase business fee of long-term care insurance by reality of area.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ervice fee, output various, affects efficiency of nursing home in Korea. Thus, it is necessary to have practical improvements by increasing business fee of long-term care insurance by reality of area. Also, by increasing business fee, service quality has to be raised.
Second suggestion is to build professional group in order to improve specialties of workers at nursing home in Korea.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have specialties group about long-term care service since workers are the factors to affect nursing home at the level of input-output contribution. Thus, I believe that it will bring the progress in expert improvement by building a professional organization for workers.
Third suggestion is to check workers at nursing home and service fee. It is quite interesting that the factors possibility of improvement in Gwangju, which has the lowest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workers and service fee. Thus, it requires that measures to improve professionalism like re-education program for workers at nursing home, and service improvement and professional promotion strategy program to improve service fee.| 본 연구는 한국 7대 광역도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의 장기요양시설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지역별로 비교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한국 통계청에서 2018년 8월에 발간한 「시·군·구별 장기요양기관 전문인력 현황」자료와 2018년 한국 통계청이 발표한 「장기요양기관 소재지별 장기요양급여현황」자료이다. 이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종사자수, 시설 수, 실 인원을 투입변수로 선정하였고, 산출변수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비용을 선정하였다. 이를 DEA분석방법을 이용해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CCR(기술효율성) 측정 결과 서울, 인천, 부산, 대구, 대전, 울산, 광주지역 순으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CCR은 서울지역이 상대적 효율성이 가장 높았고, 광주지역이 상대적 효율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BCC(규모효율성) 측정 결과 서울, 인천, 대전, 울산, 대구, 부산, 광주지역 순으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BCC는 서울지역이 상대적 효율성이 가장 높았고, 광주지역이 상대적 효율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SE(초 효율성) 측정결과 서울, 인천, 부산, 대구, 대전, 울산, 광주지역 순으로 효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SE도 서울지역이 가장 상대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광주지역이 상대적 효율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투입과 산출 기여도 측정 결과 CCR, BCC, SE 분석결과 울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종사자와 급여비용이 가장 크게 투입과 산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와 급여비용이 효율성에 가장 기여도가 높은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개선 가능성 측정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CCR 측정결과 가장 큰 변수를 보인 광주지역의 급여비용 개선 가능성이 262.16%로 나타났고, 광주지역 종사자의 개선 가능성은 0%로 나타났다. BCC측정결과 가장 큰 변수를 보인 광주지역의 급여비용 개선 가능성이 261.30%로 나타났고, 광주지역 종사자의 개선 가능성은 0%로 나타났다. SE 측정결과 가장 큰 변수를 보인 광주지역의 급여비용 개선 가능성이 262.16%로 나타났고, 광주지역 종사자의 개선 가능성은 0%로 나타났다. 즉, 광주 지역 노인요양시설의 상대적 효율성으로 개선될 가능성을 가지려면 기존 급여비용보다 261.87%로 증가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한국 7대 광역도시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효율성 증대 방안을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현실 특성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사업의 급여 인상을 제언한다. 이는 본 연구 결과 중 산출변수인 급여비용이 한국 노인장기요양시설 효율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기인된다. 따라서 지역별 현실 특성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의 급여 인상을 개선책으로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노인자기요양사업의 급여를 인상하여 서비스 수준의 질을 더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종사자 전문단체구성을 제언한다. 본 연구 결과 투입과 산출 기여도에서 종사자가 노인장기요양시설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먼저 노인장기요양에 관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단체 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사자 전문단체가 구성됨으로서 종사자 전문성 향상에 발전을 가져올 것을 확신한다.
셋째, 광주지역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와 급여비용에 대한 점검을 제언한다. 이는 본 연구 결과 가장 낮은 효율성을 보인 광주지역이 개선 가능성에 대한 요인이 종사자와 급여비용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따라서 광주지역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 재교육프로그램과 같은 전문성 향상 방안이 요구되고, 급여비용을 향상하기 위한 서비스 개선과 전문적 홍보전략 프로그램 통시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Alternative Title
- A Comparative Study on Efficient Operating Areas of Nursing Home in Korea: Emphasis on 7 Metropolitan Cities
- Alternative Author(s)
- SHAO LINZHUO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Advisor
- 김용섭
- Awarded Date
- 2020-02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범위 및 연구 문제 4
1. 연구범위 4
2. 연구구성 4
3. 연구문제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제 1 절 노인 7
1. 노인의 개념과 정의 7
2.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 노인 8
제 2 절 노인장기요양보험 9
1. 노인장기요양보험 개요 9
2.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 10
3.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11
4.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 15
5. 노인장기요양시설 인력배치 16
제 3 절 효율성 18
1. 효율성의 개념 18
2. DEA효율성 18
제 4 절 선행연구 검토 23
1.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효율성 연구 23
2.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비교 연구 27
제 3 장 연구 설계 29
제 1 절 분석자료 및 연구내용 29
1. 분석자료 29
2. 연구내용 29
제 2 절 연구 흐름도와 분석방법 31
1. 연구 흐름도 31
2.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32
3. 분석방법 33
제 4 장 분석결과 34
제 1 절 일반적 특성 34
1. 지역별 종사자 현황 34
2. 주요 변수 별 기술 통계 35
3. 상관관계 분석 36
제 2 절 효율성 분석 37
1. CCR모형 분석 37
2. BCC모형 분석 37
3. SE모형 분석 38
제 3 절 기여도 분석 39
1. CCR모형 기여도 39
2. BCC모형 기여도 40
3. SE모형 기여도 40
제 4 절 개선가능성 분석 42
1. CCR모형 개선가능성 42
2. BCC모형 개선가능성 43
3. SE모형 개선가능성 44
제 5 장 결론 46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46
제 2 절 시사점 및 제언 47
제 3 절 한계점 및 추후 연구 49
참고문헌 51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Citation
- 소린탁. (2020). 한국의 노인장기요양시설 효율적 운영 지역 비교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22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9023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