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자본주의 욕망과 탈주로서의 몸의 표현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서현호
Issued Date
2020
Keyword
자본주의, 욕망, 몸의 표현,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Body as Capitalistic Desire and Escape
-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
Seo Hyun-ho
Adviser : Professer Kim Yu-sueb, Ph.D
Department of Fine Art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normal, morden art can no longer be explained by any aesthetic ideology as in modernism era. This can be implicitly explained as ‘end of art’, as Arthur C. Danto said. Or we can comprehend through pluralism that all forms of free acceptance and borrowing is almost limitlessly tolerated. However,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onceptual establishment of this modern art, with emphasizing that art has an existential position in our lives with relationship, and that art cannot be independent of social phenomena, and that the artist's existential position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ocial conditions, we can take a clue from the origin and function of art. Of course, instead of asking the existential question, ‘what is art?’, I rather wanted to think deeper about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art that the I have. Already, philosophers like Gilles Deleuze claimed that practice precedes existence. I also believe that art and artists, to put it roughly, are existence increase the value of their lives through practices in their own way, not practices in their conception.
In this thesis, I emphasize that there is something in art more than just a low level of personal indulgence that comes from the fulfillment of desire through self-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or encouraged by capital logic. As a starting point of this perception, it starts with a review of how art has been organized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art. In this process, I made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reality-oriented art in Korea and analyzed its limitations and achievements. I will also examine the typical social character represented by real capitalism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that the new capitalist system dominates our lives, and look at the flow of capital and human desire in it. It is hard to deny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uman desires and capitalism. It is also hard to deny that the laws of the market are all over modern society like the will of God. Human desire is no exception, so I tried to explain the idea of Gilles Deleuze that the source of capitalism rolling is based on human desire, and that the resolution of various contradictions derived from it can also be found within this desire of capitalism. That is the ‘creating desire’ of Gilles Deleuze. Also the basis for this desire and the dwelling can eventually be linked to the body’s discourse.
Maurice Merleau-Ponty emphasizes that the body’s emphasis on reason, which used to be a modern Western idea, connects with the world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body. The body emphasizes that the subject and the world have no choice but to have meaning in life through the encounter of ‘assimilation’. Furthermore, this body philosophy led to M. Johnson’s Empiricism. In Empiricism, we find the main core of human conceptual system in language, emphasizing that the core begins with the ‘metaphorical projection’ of our bodies. Based on these theories, the subject of ‘dancing’ in my work was intended to explain what the message was. I wanted to analyze the dance shown in my work as an expression of physical and language, the meaning as body’s experience, and the ‘pure energy’ that the body exudes before it was created, or the power of real human beings.| 국문초록

현대미술은 더 이상 지난 모더니즘 시대와 같이 어떤 미적 이데올로기로 접근해 설명할 수 없다는 게 일반적 접근이다. 물론 이 말이 아서 단토의 주장처럼 ‘예술의 종말’로 함축해 설명 될 수도 있고, 아니면 모든 형식의 자유로운 수용과 차용 등이 거의 무제한적으로 용인된 다원주의를 빌어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대미술에 대한 개념적 확립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과연 예술이 우리 삶과 어떤 관계 속에서 존재적 위치를 가지는지. 그리고 예술 역시 사회적 제 현상과 독립적일 수 없으며, 예술가의 존재적 위치 또한 결국 그가 속한 사회적 조건과 분리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해 예술의 기원과 기능으로부터 그 실마리를 잡아가고자 했다. 물론 이는 ‘예술이 무엇인가?’ 라는 존재론적 질문 대신 오히려 연구자가 가진 예술의 실천적 의미에 대해 더 깊은 고민하고 싶었다. 이미 들뢰즈 같은 철학자는 존재보다 실천이 앞선다고 주장했다. 연구자 또한 거칠게 표현하지면 예술이나 예술가 또한 관념 속에서의 실천이 아닌, 나름대로의 예술실천을 통해 자기 삶의 가치를 높여가는 존재라 믿는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예술에는 단지 개인의 자의식을 통한 욕망의 충족에서 오는 자기도취라거나 자본 논리에 휘둘려 부추김 당하는 저열한 개인적 탐닉 수준 이상의 그 무엇이 있음을 강조한다. 바로 이러한 인식의 출발로서 우선 한국현대미술의 전개과정에서 미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해 왔는가에 대한 검토로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에서 현실지향적 미술의 역사를 일별하며 그 한계와 성과를 분석했다. 또한 신자본주의 체제가 우리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는 현실을 고려해 현실자본주의에서 대변되는 대표적인 사회적 성격을 검토하고, 그 속에서 자본과 인간의 욕망의 흐름을 살펴볼 것이다.
인간의 욕망과 자본주의와는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에 있음은 누구도 부정하기 어렵다. 시장의 법칙이 마치 신의 의지처럼 현대사회 전면에 포진해 있음 또한 부정하기 어렵다. 인간의 욕망 또한 예외는 아니어서 자본주의가 굴러가는 원천이 곧 인간의 욕망에 기초해 있다는 점과 아울러 이로 인해 파생된 여러 모순들의 해결 또한 이러한 자본주의의 욕망 내에서 찾을 수 있다는 들뢰즈의 사상을 빌어 설명하고자 했다. 그것이 바로 들뢰즈의 ‘생성하는 욕망’이다.
또한 이러한 욕망의 근거이자 거처는 결국 몸의 담론과 연결 지을 수 있다. 메를로-퐁티는 근대 서구 중심사상이었던 이성에 대한 몸의 강조로 몸의 지각을 통해 세상과 관계 맺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몸이란 주체와 세계가 ‘동화’라는 만남을 통해 삶 속


에서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나아가 이러한 몸철학은 존슨의 체험주의로까지 이어져 설명하고자 했다. 체험주의에서는 인간의 개념체계를 이루는 주요 핵심을 언어에서 찾으면서, 바로 그 핵심은 우리 시체의 ‘은유적 투사’에서 시작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바로 이러한 이론들을 기반으로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나는 ‘춤’이라는 소재를 통해 연구자가 하고자 한 메시지가 무엇인지 설명하고자 했다. 연구자는 몸의 체험으로서 가장 몸과 언어, 몸의 체험으로서 의미, 생성 이전의 몸 자체가 발산하는 ‘순수한 에너지’의 표현, 즉 실재하는 인간존재의 힘의 표현으로서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춤을 분석하고자 했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Body as Capitalistic Desire and Escape :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Alternative Author(s)
SEO HYUN H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학
Advisor
김유섭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 1
제2절 연구 접근 방식과 개요 ......................................... 3
제3절 연구의 특성과 몇 가지 한계성 ........................... 5

제2장 자본주의와 인간의 욕망 ................................. 9
제1절 자본주의와 인간 ........................................................ 9
2. 신자본주의의 이데올로기 .......................................... 9
3. 호모 사케르 ............................................................. 13
4. 규율사회와 성과 사회 ............................................... 13
5. 경쟁사회와 성격 없는 자아 .................................... 17
제2절 들뢰즈 인간 이해와 욕망 ........................................ 24
1. 들뢰즈 존재론 ................................................................. 24
가. 들뢰즈 철학의 출발 ................................................. 24
나. 존재의 일의성 .......................................................... 26
2. 생산적이고 전복적인 욕망의 힘 .................................. 33
가. 욕망하는 기계 ........................................................... 34
나. 매끈한 공간과 되기(Becoming) ............................. 39
다. 노마드의 삶 .............................................................. 42







제3장 선행작가 몸 표현 연구
제1절 기관 없는 신체 .......................................................... 46
제2절 선행 작가의 몸 표현 연구...................................... 46
1. 춤사위로 표출된 힘( 吳潤) ................................................ 49
2. 인간존재에 대한 관심(Lucian Frued)................................ 53
3. 감각의 논리 (Francis Bacon )............................................ 58
4. 신체의 표현성 .................................................................. 64

제4장 연구자 작품의 실제 분석 ............................... 73
제1절 구상에서 표현까지 .................................................. 75
제2절 연구자 작품 표현의 특징 .................................... 78
1. 색채의 원시성........................................................................ 74
2. 신체 동선의 반영으로서 선................................................. 82
가. 유동하는 선 ..................................................................... 82
나. 발화하는 몸짓 ................................................................ 80
제3절 자본주의 우울과 욕망 ............................................. 90
1. 시대 체험적 미술의 구현 .................................................. 90
2. 현대인과 분열증 ................................................................ 95
3. 자본주의적 욕망 ................................................................102
제4절 노마디즘과 춤 ............................................................ 114
1. 감각의 구현과 춤 ............................................................. 114
2. 노마디즘과 춤 .................................................................. 117

제5장 결론 ...............................................................,,,,,....... 123


참고 도판 ............................................................................ 129
참고 문헌 .............................................................................. 131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서현호. (2020). 자본주의 욕망과 탈주로서의 몸의 표현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18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892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