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체제의 초급 및 고급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적 경향 분석
- Author(s)
- 권지윤
- Issued Date
- 2020
- Abstract
- 최근 남한과 북한은 제 1, 2, 3차 남북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마치는 등 남북 관계가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4월 27일에 있었던 제 1차 남북정상회담에서는 남북 분단 역사상 최초로 북한 최고지도자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한으로 내려왔으며, 판문점선언 등 남북관계의 발전을 약속하였다. 그리고 5월 26일, 판문점 통일각에서 2차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졌다. 이후 9월 18일에 남한 대통령이 북한 평양으로 넘어가 실시된 제 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평양공동선언 등 발전된 남북 관계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통일교육원, 2018). 진전된 남북관계에 따라 북한을 이해하기 위해 사회정치적 방향뿐만 아닌 북한의 교육과 같은 다른 방향으로도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정범모(1994)는 “교육은 인간행동의 계획적인 변화”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교육은 국가 및 사회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서 인간을 원하는 상태로 만들기 위해 의도적이고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이 학교이며, 학교는 역사·사회적으로 국가주의적 필요에 의해 생긴 교육 기관이며, 교육이 제도화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산물이다(정원영, 2000). 따라서 학교 교육은 국가 및 사회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지닌 인간의 육성이라는 목적을 갖는다.
그리고 기능론적 관점에서 현대의 모든 사회는 그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과업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고 있으며, 인간의 사회 구성에서의 중요한 요소인 역할분화(role differentiation)와 사회적 연대의식(social solidarity)을 학생들에게 교육시키는 공간이 학교이다. 이러한 두 요소를 학생들이 성취하기 위하여 학교는 공식적으로 보편성과 의무성을 띤 의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Walter & Jonas, 2009). 이와 같은 이유로 한 국가나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교육을 들 수 있으며, 교육을 분석하고 이해한다면 그 사회가 지향하는 방향을 알 수 있다.
현재 김정은 체제의 북한 교육은 기본적으로 이전 정권에서 나온 ‘교육에서의 실리주의’ 원칙을 계승하고 있다. 북한은 실리주의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나라의 구체적인 현실과 과학기술발전추세에 맞게 교육의 효율성을 최대한으로 높이는 방향에서 교육체계와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개선해 나가는 것’, ‘발전하는 현실의 요구에 맞게 교육 사업을 과학화, 정보화 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김용길, 2013). 특히, 교육방법을 개선하는 것에 대하여 북한은 교육법을 통해 직접적으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현실발전의 요구에 맞게 개선하여야한다.”고 언급하고 있다(국가정보원, 2017).
북한은 ‘과학기술강국건설’, ‘인재강국’, ‘전민과학기술인재화’ 등의 국가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강령’의 교육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 7차 로동당 대회 등에서 과학 교육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여 국가사회적 목표를 달성하도록 교육의 개혁을 강조하고 있다(김정원 외, 2015; 김지수, 2017; 김진숙, 2017; 조정아, 2015; 조정아 외, 2015). 또한 과학적 능력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기관에서의 과학기술인재 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법제화 시켜놓고 있다(국가정보원, 2017).
이와 같은 과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 방향으로 학생이 수업에 적극 참여하는 탐구적 활동을 장려하고 있다(김지수, 2017). 그리고 의무교육과정인 중등일반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김광성, 2014; 리병학, 2015), 이를 법제화하고 있다(국가정보원, 2017). 북한은 이처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등을 개혁했다(조정아 외, 2015).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맞게 체계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구성된 학생과 교사의 교수활동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이 되는 교수학습자료이다(Kulm, Roseman, & Treistman, 1999; 서준희, 2014). 따라서 북한의 과학 교과서는 북한이 지향하고 있는 창조력과 과학적 능력을 갖춘 ‘창조형’, ‘실천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정책을 반영하고 있으며(조정아 외, 2015) 현재의 북한 교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만들어진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과학 교과서가 학생들의 과학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탐구적 학습 기회를 어느 정도 제공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의 의무교육과정인 중등일반교육의 초급중학교, 고급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Romey의 과학 교과서 분석법을 활용하여 과학 교과서의 권위주의적 또는 탐구주의적 경향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북한 과학 교육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tendency of the lower-level middle school natural science textbooks and the higher-level middle school chemistry textbooks in Kim Jong-un era in North korea. We divided North korean natural science and chemistry textbooks into texts, figures, questions in sections and chapters, discussion and experiment activities, and chapter summaries: 2,010 texts, 366 figures, 138 questions, and 238 activities in the lower-level middle school 1 natural science textbooks; 2,684 texts, 402 figures, 194 questions, and 235 activities in the lower-level middle school 2 natural science textbooks; 2,017 texts, 541 figures, 140 questions, 243 activities, and 25 chapter summaries in the higher-level middle school 1 chemistry textbooks; and 2,234 texts, 499 figures, 236 questions, 257 activities, and 53 chapter summaries in the higher-level middle school 2 chemistry textbooks.
First, results of the lower-level middle school 1 natural science textbooks were as follows: texts were inquiry tendency, figures were inquiry tendency, questions were excessive inquiry tendency, and activities were inquiry tendency.
Second, results of the lower-level middle school 2 natural science textbooks were as follows: texts were inquiry tendency, figures were inquiry tendency, questions were inquiry tendency, activities were inquiry tendency.
Third, results of the higher-level middle school 1 chemistry textbooks were as follows: texts were authoritarian tendency, figures were inquiry tendency, questions were excessive inquiry tendency, activities were inquiry tendency, and chapter summaries were drastic authoritarian tendency.
Fourth, results of the higher-level middle school 1 chemistry textbooks were as follows: texts were authoritarian tendency, figures were inquiry tendency, questions were excessive inquiry tendency, activities were authoritarian tendency, and chapter summaries were drastic authoritarian tenden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data for understanding how North korean natural science and chemistry textbooks can realize the inquiring teaching aimed at North korean science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he value that North korean science education is important to.
- Alternative Title
- Analysis of Inquiry Status of the Lower-level and the Higher-level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Kim Jong-Un Era in North korea
- Alternative Author(s)
- Kwon, JiYoon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과학교육학과
- Advisor
- 박현주
- Awarded Date
- 2020-02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내용 2
3. 연구 제한점 3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김정은 체제의 북한 교육 5
1. 북한 김정은 체제 교육의 전반적 특징 5
가. 김정은 체제의 교육정책 :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제도」 7
(1) 김정은 체제의 교육과정 8
(2) 김정은 체제 교육강령 과정안 9
(3) 김정은 체제의 학제 11
나. 김정은 체제의 교육목표 12
다. 김정은 체제의 교과목 13
2. 김정은 체제의 과학 교육의 특징 14
가. 김정은 체제의 과학 교육의 방향 16
나. 김정은 체제 중등일반교육에서의 과학 교과 편제 17
제2절. 교과서의 역할 20
1. 김정은 체제의 북한 교과서 21
제3절. W.D.Romey의 과학 교과서 분석방법 21
1. Romey의 교과서 분석 방법 22
가. 교과서 본문 문장(T) 분석 23
나. 교과서 그림과 도표(F) 분석 25
다. 교과서 절과 장의 끝부분에서의 질문(Q) 분석 26
라. 교과서 활동(A) 분석 27
마. 교과서 장 요약(S) 분석 27
바. 학생 관련 지수의 해석 28
제4절. 선행 연구 고찰 29
1. 김정은 체제의 북한 과학 교과서에 대한 분석 29
2. Romey의 교과서 분석법 30
제3장. 연구 방법 32
제1절. 연구 대상 32
1. 《초급중학교 1 자연과학》 교과서 32
2. 《초급중학교 2 자연과학》 교과서 34
3. 《고급중학교 1 화학》 교과서 36
4. 《고급중학교 2 화학》 교과서 39
제2절. 연구 방법 41
1. 분석틀 42
가. 《초급중학교 1 자연과학》 교과서 42
나. 《초급중학교 2 자연과학》 교과서 43
다. 《고급중학교 1 화학》 교과서 44
라. 《고급중학교 2 화학》 교과서 45
2. 수정·보완 된 Romey의 분석틀 46
가. 과학 교과서 본문 문장(T) 분석 46
나. 과학 교과서 그림, 도표, 표, 식(T) 분석 47
다. 과학 교과서의 절과 장의 끝부분에서의 질문(Q) 분석 47
라. 과학 교과서의 활동(A) 분석 48
마. 과학 교과서의 장 요약(S) 분석 49
제4장. 연구 결과 및 논의 50
제1절. 《초급중학교 1 자연과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50
1. 교과서 본문 문장(T)의 탐구 경향성 50
2. 교과서 그림, 도표, 표, 식(F)의 탐구 경향성 51
3. 교과서 절과 장의 질문(Q)의 탐구 경향성 53
4. 교과서 활동(A)의 탐구 경향성 54
5. 《초급중학교 1 자연과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55
제2절. 《초급중학교 2 자연과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57
1. 교과서 본문 문장(T)의 탐구 경향성 57
2. 교과서 그림, 도표, 표, 식(F)의 탐구 경향성 58
3. 교과서 절과 장의 질문(Q)의 탐구 경향성 60
4. 교과서 활동(A)의 탐구 경향성 61
5. 《초급중학교 2 자연과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62
제3절. 《고급중학교 1 화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64
1. 교과서 본문 문장(T)의 탐구 경향성 64
2. 교과서 그림, 도표, 표, 식(F)의 탐구 경향성 65
3. 교과서 절과 장의 질문(Q)의 탐구 경향성 67
4. 교과서 활동(A)의 탐구 경향성 68
5. 교과서 장 요약(S)의 탐구 경향성 70
6. 《고급중학교 1 화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71
7. 남한 고등학교《화학1》교과서와 비교 분석 73
가. 교과서 본문 문장(T)의 탐구 경향성 비교 73
나. 교과서 그림, 도표, 표(F)의 탐구 경향성 비교 74
다. 교과서 절과 장의 끝에서의 질문(Q)의 탐구 경향성 비교 75
라. 교과서 활동(A)의 탐구 경향성 비교 76
제4절. 《고급중학교 2 화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77
1. 교과서 본문 문장(T)의 탐구 경향성 77
2. 교과서 그림, 도표 및 표(F)의 탐구 경향성 80
3. 교과서 절과 장의 질문(Q)의 탐구 경향성 81
4. 교과서 활동(A)의 탐구 경향성 83
5. 교과서 장 요약(S)의 탐구 경향성 85
6. 《고급중학교 2 화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86
7. 남한 고등학교《화학2》교과서와 비교 분석 88
가. 교과서 본문 문장(T)의 탐구 경향성 비교 88
나. 교과서 그림, 도표, 표(F)의 탐구 경향성 비교 89
다. 교과서 절과 장의 질문(Q)의 탐구 경향성 비교 90
라. 교과서 활동(A)의 탐구 경향성 비교 91
제5장. 결론 및 제언 93
참고문헌 97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권지윤. (2020). 북한 김정은 체제의 초급 및 고급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적 경향 분석.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14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8955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