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순례
Issued Date
2020
Keyword
대학생, 자기결정성 요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스마트폰 과의존, 주관적 안녕감, 역량요인, 그릿, 부모-자녀 의사소통, 대인관계
Abstract
ABSTRACT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on
Subjective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petency Factors -

Lee Sun Lye
Advisor : Prof. Park Hwie-seo, Ph.D.
Department of Addiction Rehabilitation
with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and to identify whether smartphone overdependence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factor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grit,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encourage the use of smart phones by university students to find ways to achieve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randomly selected from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and 402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data were three-step regression to examin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using SPSS 24.0 statistics program and AMOS 24 statistics program. The analysis, Sobel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Thi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of university students, 30.4% of university students are regarded as smartphone overdependence risk groups. Support and attention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required to reduce the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Secondly,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on the key variab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overdependence on the smartphon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risk group and the general group in competence, relationship, smartphone overdepend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perception degree was higher in the overdependence risk group, and in the general group in the compet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grit.
Thirdly, autonomy and competence in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However, the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the factor analysis of subjective well-be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the positive direction. Affected.
Four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shows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autonomy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intermediary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etween autonomy and subjective well-being combines the direct effect of autonomy directly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indirect effect of autonomy indirectly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overdependence of smartphone. To show. In addi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s between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re indirect effects that competence directly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and indirect effects that competence indirectly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overdependence of smartphones. The effect is shown together.
Fif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factor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effects of grit,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verifie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utonomy and subjective well-being,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rela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control between relationship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Effect appeared. I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competenc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relatedn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utonomy and subjective well-being, rela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autonomy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s were found between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is a relatedness between autonomy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competenc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relatedn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utonomy and subjective well-being,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rela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and only moderating effect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can be derived
Firstly,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utonomy and competence, and to prevent and reduce the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This implies that university intervention is needed in the reality that the nation has become a smartphone for one person and smartphone has become an indispensable necessity of daily life.
Secondly, it can be seen that it is a desirable healing and prevention strategy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to help them achieve subjective well-being by using smartphones by strengthening competency factors of grit,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earch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the grit, a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plan counseling or programs according to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case of the university student group, interpersonal training that cultivates social skills, including communication training, is needed to form a variety of network.
Thir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licy and institutional programs 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level to increase the capacity to strengthen responsibility for the use of smartphones, and to reinforce the capacity for proper use as smartphone use is recognized as a human rights and welfare issue beyond benefits. Is required.



Key words : university students, self-determination factors,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smartphone overdependence, subjective well-being, competency factors, grit,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및 역량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모형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스마트폰 과의존이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며, 자기결정성 요인과 스마트폰 과의존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그릿, 부모-자녀 의사소통, 대인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건전한 스마트폰 선용을 장려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대학교 중 임의로 선정한 3개 대학교에서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02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4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세 단계의 매개회귀분석, Sobel Test,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알아본 결과 대학생의 30.4%가 스마트폰 과의존위험군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스마트폰 과의존을 낮추기 위한 주변환경의 지원과 관심이 요구된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따른 주요변수에 대한 차이분석결과 유능성, 관계성, 스마트폰 과의존, 주관적 안녕감, 그릿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위험군과 일반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에서는 과의존위험군에서 지각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능성, 주관적 안녕감, 그릿에서는 일반군에서 지각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 분석에서 자율성, 유능성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하게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관계성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 안녕감의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고 스마트폰 과의존은 주관적 안녕감에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결정성 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는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부분매개효과는 자율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자율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부분매개효과는 유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유능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다.
다섯째, 자기결정성 요인과 스마트폰 과의존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그릿, 부모-자녀 의사소통, 대인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그릿의 조절효과에서는 자율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유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에서는 유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자율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대인관계의 조절효과에서는 자율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유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스마트폰 과의존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성, 유능성을 높이고 스마트폰 과의존의 예방 및 감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민 1인 1스마트폰 시대가 되었고 스마트폰이 일상생활의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은 현실에서 대학차원에서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그릿, 부모-자녀 의사소통, 대인관계의 역량요인을 강화하여 스마트폰을 선용함으로써 주관적 안녕감에 이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스마트폰 과의존자의 바람직한 치유 및 예방 전략임을 알 수 있다. 그릿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분을 점검하여 그에 맞는 상담이나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생 집단의 경우 다양한 관계망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훈련 등을 포함한 사회적 기술 등을 함양하는 대인관계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책임의식을 강화하는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부 차원의 정책적․제도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스마트폰 이용이 편익을 넘어 인권과 복지의 문제로도 인식되면서 바른 사용을 위한 역량강화 필요성이 요구된다.

주요어: 대학생, 자기결정성 요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스마트폰 과의존, 주관적 안녕감, 역량요인, 그릿, 부모-자녀 의사소통, 대인관계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on Subjective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petency Factors
Alternative Author(s)
Lee Sun Ly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중독재활복지학과
Advisor
박희서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목적 1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8
1. 연구범위 8
2. 연구방법 9

제 2 장 이론적 배경 12
제 1 절 자기결정성 이론 12
1. 자기결정성 이론의 개념 12
2. 유기적 통합이론 13
3. 기본심리욕구 이론 16
제 2 절 스마트폰 과의존 20
1. 스마트폰 과의존의 개념 20
2. 스마트폰 과의존의 특성 및 문제점 25
3.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 및 영향요인 27
제 3 절 주관적 안녕감 31
1. 주관적 안녕감의 개념 31
2. 주관적 안녕감의 영향요인 33
제 4 절 역량요인 35
1. 그릿 36
2. 부모-자녀 의사소통 38
3. 대인관계 41
제 5 절 선행연구 43
1. 자기결정성 요인, 스마트폰 과의존,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43
2. 역량요인과 스마트폰 과의존 49
3. 역량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55

제 3 장 연구설계 61
제 1 절 연구모형 61
제 2 절 연구가설 62
제 3 절 변수의 조작화 및 측정 65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65
2. 설문지의 구성 81

제 4 장 실증분석 82
제 1 절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82
1. 자료수집과 분석 82
2. 표본의 특성 83
제 2 절 측정도구의 검증 86
1. 타당도 분석 86
2. 신뢰도 분석 88
제 3 절 기술통계 89
1. 변수의 기술적 통계 89
2.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따른 차이분석 90
3.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91
제 4 절 연구가설의 검증 93
1. 영향요인 분석 93
2. 매개효과 분석 97
3. 조절효과 분석 103
제 5 절 분석결과 논의 135
1. 기술통계 결과 135
2. 가설검증 결과 137

제 5 장 결 론 144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144
1. 기술통계 결과 144
2. 가설검증 결과 145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147
1. 이론적 시사점 148
2. 정책적 시사점 149
3. 실천적 시사점 150
제 3 절 향후 연구방향 152

참고문헌 155
부록(설문지) 177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순례. (2020).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11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151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