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대학 구기종목 운동선수들의 무산소성 파워와 근 활성도 분석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성훈
Issued Date
2020
Keyword
무산소성 파워, 근 활성도, 최대하지근력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구기 종목 선수들을 대상으로 무산소성파워, 최대하지근력, 하지 근 활성도를 측정하고 종목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경기력 및 운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트레이닝 방법을 구성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구, 배구, 핸드볼의 대학 운동선수들을 20명 모집하였으며, 그 중 18명을 선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한 WAnT 검사와 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여 무산소성 파워와 최대하지근력 및 무산소성파워의 하지 근 활성화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처리는 SPSS Ver. 25.0 프로그램을 통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유의한 결과에 대한 사후검증은 Tukey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종목 간 무산소성에 따른 외측광근의 근 활성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농구선수들이 배구와 핸드볼선수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두 번째 종목 간 무산소성에 따른 전경골근의 근 활성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핸드볼선수들이 농구와 배구선수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세 번째 종목 간 최대하지근력에 따른 전경골근의 근 활성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핸드볼선수들이 농구선수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basic anaerobic power, maximum leg voluntary contraction, and lower body muscle activity for college ball players, and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composition of training methods to improve athletic ability and athletic performan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sports. Twenty college athletes from basketball, volleyball, and handball were recruited, and 18 of them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The anaerobic power, maximum leg voluntary contraction and lower body muscle activation of anaerobic power were measured using the WAnT test using a bicycle ergometer and EMG equipment. All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hrough the SPSS Ver. 25.0 program. Tukey's method was used for post-mortem verification of significant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 muscle activity of the lateral muscl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naerobic activity between sports (p<.05), and basketball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volleyball and handball players (p <.05).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anterior tibial muscle according to the anaerobic activity (p<.05), and handball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asketball and volleyball players (p<.0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proximal bone muscle according to the maxima of the lower extremity muscle (p<.05).
Alternative Title
Anaerobic Power and Muscle Activity Analysis of College Ball Sports Players. : with reference group of Basketball, Volleyball and Handball Players
Alternative Author(s)
kim seong h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윤오남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가설 4
4. 용어의 정의 5
5.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8
1. 농구 8
2. 배구 8
3. 핸드볼 9
4. 무산소성 운동 능력 9
5. 근전도 11


Ⅲ. 연구방법 12
1. 연구대상 12
2. 연구설계 12
3. 측정도구 14
4. 연구절차 14
5. 자료처리 18


Ⅳ. 연구결과 19
1. 구기 종목 간 무산소성 파워 비교 19
2. 구기 종목 간 무산소성 파워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 19
3. 구기 종목 간 최대하지근력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 23

Ⅴ. 논의 27
1. 구기 종목 간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 27
2. 구기 종목 간 무산소성 파워에 따른 근 활성도 차이 28
3. 구기 종목 간 최대하지근력에 따른 근 활성도 차이 29

Ⅵ. 결론 및 제언 31

참고문헌 3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김성훈. (2020). 대학 구기종목 운동선수들의 무산소성 파워와 근 활성도 분석.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11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919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