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농촌발전에 있어서 장소성을 고려한 마을회관 개선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신상국
Issued Date
2020
Keyword
농촌개발,농촌계획
Abstract
우리 사회가 산업화, 도시화, 개방화(세계화), 지식ㆍ정보사회화 등의 변화과정을 거치며 농촌지역 또한 많은 변화를 거쳐 왔다. 농촌 인구의 지속적 감소와 고령화, 농업의 구조적 변화 및 기계화ㆍ자동화, 농촌 주민 구성의 다양화, 주민의식 및 정주환경 변화, 농촌 어메니티 자원에 대한 선호도 증가, 도농교류 활성화 등 사회ㆍ경제ㆍ문화ㆍ환경ㆍ여가ㆍ복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농촌지역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으며,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농촌사회는 발전 잠재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야 한다(최수명 등, 2016).
2018년 농림어업조사 결과(통계청, 2019)에 따르면 농가 수는 1,021천 가구(전년 대비 –2.0%), 농가 인구는 2,315천명(전년 대비 –4.4%)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고, 농가의 고령인구 비율은 44.7%(전년 대비 +2.2%)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와 같은 농촌지역의 과소화 및 고령화 문제는 농촌지역의 소멸과 발전을 논할 만큼 중요한 사안 중 하나이다(조영재 등, 2015). 또한 농촌 주민 구성의 다양화(귀농귀촌인, 다문화가정,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 등)는 농촌사회의 문화와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박대식, 2016; 양순미, 2013).
농촌지역의 인구ㆍ사회적 문제의 해결 측면에서 볼 때, 농촌마을의 주 구성원인 주민들이 이용하는 시설과 환경 등 농촌 정주환경의 개선은 농촌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일반농산어촌 마을에서 주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공동시설 중 하나는 마을회관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농촌 마을회관은 주민들의 이용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수요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동원 등, 2012).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마을회관은 1970년대 새마을사업의 일환으로 지어진 새마을회관의 공급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마을회관은 마을의 중심시설로 자리 잡으면서 70년대부터 최근까지 농촌지역의 다양한 공동시설 중 양적으로 가장 많이 건축되었고, 최근에는 마을회관의 용도 또한 점차 다양화, 복합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문인영, 2012). 1970년대 새마을회관은 마을 단위 새마을 운동의 추진을 위한 회의공간으로써의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였으나, 이후 농촌지역의 급격한 환경 변화와 더불어 마을회관의 기능은 노인정, 건강관리실, 찜질방, 정보검색실, 외부인의 숙소, 체험공간 등이 포함된 복합용도로 변화하고 있다. 즉, 주민들의 요구와 농촌지역 방문객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마을회관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원세용 등, 2007: 김성호, 2012).
농촌 마을회관에 대한 선행연구는 마을회관의 이용실태 및 활용방안, 물리적 공간구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고령 이용자 중심의 노인 복지시설로써의 관점에서 접근한 사례가 대다수이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는 농촌 마을회관이 일반 마을 주민 및 마을 방문객들을 위한 복합적 커뮤니티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으로써 활용되는데 한계를 보이고, 농촌마을 공간에서 마을회관이 갖는 장소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농촌 마을회관이 갖는 의미와 기능은 변화되어 왔지만, 여전히 마을회관은 농촌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공동시설로 인식되고 있음을 고려해 볼 때(김동원 등, 2012), 마을회관이 농촌지역의 중요한 장소적 공간으로써의 제 기능을 발휘하고 농촌의 변화와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농촌지역개발사업을 통해 마을회관 정비가 이루어진 사례지를 대상으로 농촌 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장소적 관점에서 마을회관의 기능과 현황을 조사하고, 장소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농촌 마을회관이 갖는 장소적 의미(장소성)을 고려하여 농촌지역 마을회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연구목적이다.|The environment in rural areas is making more changes than in the past, and it is the town hall, or community center,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any changes in rural areas.

This study aims to re-light the function and role of village center in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o analyze the space that village center should have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udy the function and role of village hall in the first rural village, analyze the space in the rural village center, and present the desirable space of village center in the third changing environment.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illage Center Considering the Placeless in Rural Development
Alternative Author(s)
SHIN SANG KUK
Affiliation
주식회사 남도연구소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
Advisor
문정민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1

제1장 서론 4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
제2절 논문의 구성 6

제2장 이론적 고찰 8
제1절 농촌에 대한 이해 8
1. 농촌의 개념과 변화 8
2. 농촌사회의 변화 10
3. 농촌개발의 시대적 변화 12
제2절 농촌마을 거점공간으로서의 마을회관 17
1. 마을회관의 개념 17
2. 마을회관의 변천사 18
3. 마을회관 현황 23
4. 마을회관 관련 지원 정책 및 사업 26
5. 마을회관 관련 문제점 28
제3절 농촌 마을회관에 대한 선행연구 동향 32
1. 마을회관 이용실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32
2. 마을회관의 공간구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35
3. 마을회관의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 39
제4절 농촌 마을회관에 대한 장소적 접근 41
1. 장소의 개념 41
2. 장소성 형성 요소 42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분석틀 도출 44

제3장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지 선정 47
제1절 연구방법 47
제2절 연구대상지 선정 48
1. 연구대상지 선정 과정 48
2. 연구대상지 개요 51

제4장 결과 및 고찰 58
제1절 마을회관의 장소적 특성 분석 58
1. 전라남도 곡성군 오곡면 압록리 압록마을회관 58
2.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연호리 연자마을 62
3.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신안리 신안마을 67
4.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단월리 목암마을 72
제2절 장소성을 고려한 마을회관 개선방안 77
1. 물리적 요소 측면에서의 마을회관 개선방안 79
2. 행태적 요소 측면에서의 마을회관 개선방안 80
3. 의미적 요소 측면에서의 마을회관 개선방안 81

제5장 요약 및 결론 83

참고문헌 8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Citation
신상국. (2020). 농촌발전에 있어서 장소성을 고려한 마을회관 개선방안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09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888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