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광주광역시 근교에서 포획한 야생설치류에서 한탄바이러스의 분자역학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서미희
Issued Date
2020
Keyword
한탄바이러스
Abstract
한탄바이러스에 의한 신증후군출혈열은 한국에서 매년 발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급성열성 출혈성 질환이다. 한탄바이러스는 전세계 수 많은 설치류 종에 의해 매개된다. 특히 한탄바이러스의 숙주동물인 등줄쥐(Apodemus agrarius)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야생들쥐로써 국내에 서식하는 들쥐의 90%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 3종의 야생 설치류(A. agrarius, Crocidura lasiura, Mydes regulus)는 광주광역시의 근교에서 한탄바이러스 보유율을 조사하기 위해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광주광역시 근교의 2개 지역(북구, 광산구)에서 포획하였다. 야생설치류에서 항체보유율을 파악하기 위한 혈청학적 검사는 간접면역형광항체법(IFA)을 이용하였고, 총 585마리의 들쥐 혈청 중 한탄바이러스 IgG 항체양성은 등줄쥐(A. agrarius) 6.8%(35/512), 비단털들쥐(M. regulus) 4.2%(1/24)이었고, 땃쥐(C.lasiura)에서는 한타바이러스 항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야생설치류에서 한탄바이러스 감염율을 파악하기 위한 유전학적 검사는 설치류의 폐장 조직에서 RNA를 추출하여 Nested RT-PCR을 수행한 결과, 등줄쥐 1.2%(6/512), 땃쥐 6.1%(3/49), 비단털들쥐 8.3%(2/24) 검출되었다.
설치류에서 검출된 한탄바이러스 11건의 시퀀스들을 양방향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170902, 170906, 170910, 171110 4건의 시퀀스는 Soochong Virus와 95%이상의 상동성을 보였고, 161006, 171202, 171210, 171212, 171213, 181108 6건의 시퀀스는 Jeju Virus와 85%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냈으며, 161115 1건의 시퀀스는 Imjin Virus와 89%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광주 지역에서 처음으로 신증후군출혈열의 매개체인 야생 설치류에서 한탄바이러스 감염양상과 유행 시기 및 다양한 한탄바이러스의 종이 분포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우리 지역에서 신증후군출혈열 예방대책 수립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Haemorr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caused by Hantanvirus has been one of the principal acute febrile disease in Korea. Hantaviruses are carried by numerous rodent species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the Apodemus agrarius, the host of the Hantaan virus, is the most common wild rat, accounting for 90 percent of the wild rats living in Korea.
In this study, A total 585 wild rodents of 3 species(A. agrarius, Crocidura lasiura. Mydes regulus) were trapped from 2 area (Buk-gu, Gwangsan-gu) of Gwangju metropolitan suburban area in Korea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Indirect immunofluoresecent antibody(IFA) was performed for hantanviruses infections using different hantanvirus antigens. Hantanvirus antibodies were found in 35(6.8%) out of 512 A. agrarius, 1(4.2%) of 24 M. regulus, and serologic evidence for Hantanvirus infection was not found in 21 C. lasiura. Nested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was performed from rodents lung extract. Hantaan virus antigens were found in 6(1.2%) A. agrarius, 3(6.1%) C. lasiura, 2(8.3%) M. regulus. Genetic sequence of 11 cases of Hantaanvirus L-segment was compared and analyzed, showing 95% homology with Soochong virus.
This epidemiological information relating to Hantanvirus is first reported throughout the year for three yea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refore it could provide prevalence of Hantanvirus and backgrounds to establishment of protection against Hantanvirus and development of vaccine.
Alternative Title
Molecular Epidemiological Survey of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HFRS) in Wild Rodents Captured in Gwangju Metropolitan suburban area
Alternative Author(s)
Seo Mihee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과학과
Advisor
김동민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Ⅱ-1. 포획장소 및 야생들쥐 포획방법
Ⅱ-2. 야생설치류 채혈 및 부검
Ⅱ-3.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ssay
Ⅱ-4. 폐조직에서 핵산추출
Ⅱ-5. Nested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Ⅱ-6. 염기서열 분석
Ⅱ-7. 야생 설치류에서 신증후군출혈열 감염과 계절별요인에 관한 단면연구
Ⅲ. Results
Ⅲ-1. 설치류의 계절별 개체수
Ⅲ-2. 설치류 종에 따른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분포
Ⅲ-2-1. 야생설치류 종에 따른 한타바이러스 검출
Ⅲ-2-2. 계절별 한타바이러스 검출 분포
Ⅲ-3. 계통수
Ⅲ-4. 야생 설치류에서 신증후군출혈열 감염과 계절별요인과의 단면연구
Ⅳ. Discussion
Ⅴ. References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서미희. (2020). 광주광역시 근교에서 포획한 야생설치류에서 한탄바이러스의 분자역학적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09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849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