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개인의 조절초점과 사고방식이 법조전문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기영
Issued Date
2020
Keyword
법조전문직, 변호사제도, 로스쿨, 변호사 상업광고, 사회문화적 물질주의, 전문직윤리, 시장성, 지식산업, 법학교육, 전문가 시스템 및 공공정책
Abstract
It is true that the lawyer system, like other professional groups, has the character of public policy issues as to how the state should design, enact, substantiate and regulate. Therefore, Korea has a lot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law experts, including lawyers, judges and prosecutors. For example, a court judge or a justi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required to be appointed from among lawyers, or a law school graduate who is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it for the bar exam and passed it. The attorneys also can not freely utilize the commercial advertisement unlike ordinary businesses.
Until now, the research on the system of legal profession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the qualitative method and literature review, such as the products on legal history or comparative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attorney system by combining the business research model. As mentioned above, the attorney system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knowledge industry or general expert group, while the sub-national character is mixed. This studies hopefully will be a reference in improving it by knowing how the citizen perceives the attorney system depending on their regulatory focus and typical attending behavior. For example, we may have form a science-based understanding from this studies whether law education or professional training should be undertaken by a national institution such as the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or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the state to pay tuition or training expenses by granting the civil-servant status to trainees.
The studies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of citizen and policy stake-holders with respect to the dichotomy between the market and public role. In addition to the limitations-such as common method variance, social desirability and response errors, exclusive use of cross-sectional studies, as well as inherent limitations in the on-line survey method - the empirical analysis of public attitude to the attorney system overall and specific recent issues were performed. The author also suggested a new identity of profession, world view and ethics as a professional. Especially, I believe that it contributed to the field on the research of legal profession or attorney system provided that two theories popularly used in the market research – “regulatory focus” and “attending holistically or analytically,” offered the basis of investig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beyond a simple empirical survey. As shown in the empirical data and analyzed result, the attorney system can not ignore the characteristics as a market and knowledge economy. Furthermore, the international reality of national system on attorney status and qualification heralds the policy priority as market-oriented and free competition. Therefore, groups, who have sided with the tradition to perceive the attorney system as having the essence of quasi-national system or public ethics, can not ignore the increasing need of marketisation. One of the implications for business discipline is the convergence tendency between "market and public institution" or "studies 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In other words, we see that the new concepts, including a social enterprise or public corporations, business ethics, human capital, entrepreneur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public attitudes, are being emphasized in the private sector, which traditionally has a character as a market or problem of private enterprise.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system of legal profession is being transformed as a business or industrial nature of knowledge economy in accordance with a market logic. Another implication is that, beyond the traditional legal ethics, it is necessary to rehabilitate the attorneys' professional ethics as well as market reorganization, as seen in CEO studies in the business discipline.| 지금까지 변호사제도에 관한 연구는 주로 법사학적 또는 비교법적으로 문헌조사에 근거한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즈니스 리서치 모델을 결합하여 변호사 제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조사함에 있다. 변호사 제도는 지식산업이나 일반 전문가 그룹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지만, 다른 한편 준 국가적·공공적 성격이 혼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민들이 개인의 조절초점성향과 사고방식에 따라 변호사 제도와 관련 쟁점들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파악함으로써 사법정책적으로 참고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예를 들어, 변호사 충원에 있어 사법연수원과 같
이 국가기관을 중심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로스쿨제도를 통하여 양성할 것인가 그리고 변호사 상업광고를 어느 정도 허용할 것인가와 같은 정책적 문제들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시장성 v. 공공성이라는 변호사제도의 이중성과 관련하여 정책 이해관계자에 대한 실증적 조사를 수 행하였다.
나아가 연구자는 법조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을 위하여 새로운 社會文化的物質主義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시장 조사에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이론, 즉“조절초점성향”과“사고방식”에 따른 경험적 조사, 실증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호사제도는 시장을 전제하고 있고 지식산업으로서의 특성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법조전문직을 둘러 싼 국제적 현실은 시장 지향적이고 자유로운 경쟁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변호사제도를 준 국가적 시스템 또는 공공윤리적 관점에서만 바라보고 인식하는 전통은 시장과 경쟁이라는 중대한 현실을 외면하고 전문직 문화나 전문직 사회학적 관점에서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본 논문의 경영학적 의미의 하나는 “시장과 공제도” 내지 “경영학과 정책학”의 절충적 동질화 경향 (convergence tendency)이라 할 수 있다. 즉, 전통적으로 시장이나 기업문제로서의 성격을 갖는 사적 영역에 대하여 사회적기업 혹은 공익기업, 윤리경영, 인간자본, 기업인의 사회적 책임과 공인으로서의 자세가 강조되고 있는 한편, 전통적으로 공공적 성격의 제도로 인정되어 온 변호사제도가 시장논리에 따라 지식산업적 성격의 기업 내지 산업 문제로서의 성격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통적 법조윤리를 넘어 유명 CEO 등 경영인 연구에서 보듯이 전문직 윤리에 더하여 변호사들의 인
식을 시장적으로 재무장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동일 방법 편의 (common method variance)나 온라인 방식의 설문조사, 선행연구의 부족, 조절초점성향이나 사고방식의 측정을 위해 외국에서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는 점, 횡단적 분석만을 하였다는 점 등 여러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는 향후 연구를 통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and Thinking Style on the Public Perception for Legal Profession
Alternative Author(s)
Kiyoung Kim
Affiliation
경영학과 박사과정
Department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이계원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5
제 3 절 논문의 구성 7

제 2 장 변호사제도의 문제점 8
제 1 절 일반론적 고찰 8
제 2 절 변호사 양성 · 인증제도 10
제 3 절 상업광고 등 공공성 문제 13
제 4 절 전문화와 유사직역 16
제 5 절 사법정책적 문제 18

제 3 장 이론적 배경 및 가설의 설정 22
제 1 절 이론적 배경 22
제 2 절 연구 가설 25
제 3 절 연구모형 38

제 4 장 연구방법 40
제 1 절 연구설계 40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42
제 3 절 설문의 구성 47
제 4 절 분석방법 49

제 5 장 실증분석 및 가설검증 50
제 1 절 실증분석 50
제 2 절 가설검증 55

제 6 장 결론 72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72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77
제 3 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82

참고문헌 85

[부록]설문지 10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Citation
김기영. (2020). 개인의 조절초점과 사고방식이 법조전문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408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308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