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디자인지원사업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도출 연구 -AHP기법을 활용한 수혜기업의 수요분석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호은
Issued Date
2019
Abstract
Currently, design support projects have the limitations of short-term, tangible and limited support. It doesn’t properly reflect the actual demand of the design company. Existing data for design support policies suggested policy direction as survey, review or revision. Therefore, there is no practical and objective data based on the demand of design companies. This study’s purpose is to propose a way to construct a design-supporting project with comparison and research on current state of design support project and the priority of components of design support project using AHP, which is the highest-rated among the decision making methods.
Using AHP through the analysis and survey on domestic design support projects, the priority of design support project was derived with targeting on potential founders, less than 3-years experienced founders, more than 3-years experienced founders. For these all beneficiaries, various supporting systems of manpower, advertising and produc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specifically for potential founders, marketing supports should be expanded for them to be aware of the first market trial and consumer responses. For less than 3-years experienced founders, production supports linked to the sales and profits should be expanded. For more than 3-years experienced founders, it should consist of personnel and advertising supports to maintain the company and promote its long-term image.
It is expected that the priority of design support project components by beneficiarie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useful data in establishing direction of design supporting policies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support system is essential to reflect the opinions and demand of the beneficiaries properly.

Key words : Design Support Project,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AHP|현재 디자인지원사업이 단기적, 가시적, 한정적 지원이라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디자인 기업의 실질적인 수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디자인지원정책 자료들은 설문조사나 재검토 및 수정보완으로 정책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디자인 기업들의 수요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 자료는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방법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계층화분석기법(AHP)을 활용한 디자인지원사업 구성요소의 우선순위와 현재 디자인지원사업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디자인지원의 구성 방안을 제시한다.
국내 디자인지원사업의 분석과 설문과정을 통해 AHP분석을 실시하여 예비창업자, 3년 이내 창업자, 3년 이상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지원사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전체 수혜대상자들의 측면으로는 인력, 광고, 생산에 대한 다양한 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 예비창업자 측면으로는 첫 시장과 소비자의 반응을 파악할 수 있는 홍보(마케팅)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3년 이내 창업자 측면으로는 제품의 판매와 수익창출과 연계되는 생산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3년 이상 사업자 측면으로는 기업의 유지와 장기적 이미지를 홍보하기 위한 인력과 광고 지원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수혜대상자별 디자인지원사업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를 통해 앞으로 디자인지원정책 방향성 수립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어지기 기대하며 수혜대상자들의 의견과 수요를 적절하게 반영한 지원 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키워드 : 디자인지원사업,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AHP
Alternative Title
Study on the Priority of Design Support Project Components -Focusing on the demand analysis of beneficiary companies using AHP technique
Alternative Author(s)
Jeong, Ho Eun
Department
일반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Advisor
이진렬
Awarded Date
2019-08
Table Of Contents
01. 서론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02. 이론적 고찰
1절. 디자인지원사업의 유형과 구성요소
1. 디자인지원사업의 유형
2. 디자인지원사업의 구성요소
2절. 창업유형에 따른 디자인사업자 분류
1. 디자인지원사업의 디자인사업자 분류 현황
2. 디자인지원사업 지원대상 분류 기준
3절. 유형에 따른 국내 디자인지원사업 분석
1. 기관별 디자인지원사업 분석
2. 유형에 따른 디자인지원사업 현황
3. 국내 디자인지원사업 유형별 결과

03. AHP기반 디자인지원사업 구성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
1절. AHP기법 활용을 위한 설문지 작성
2절. 자료의 수집
1. 자료 수집 과정
2. 자료 수집 결과
3절. AHP 분석과정 및 결과
1. AHP분석기법 과정
2. 수혜대상자별 디자인지원사업 구성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04. AHP기반 디자인지원사업 구성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도출
1절. 디자인지원사업의 현황과 AHP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지원사업 구성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비교 분석
1.디자인지원사업 수혜대상자별 비교 분석
2절. 디자인지원사업 지원내용 구성에 대한 제안

05. 결론
1절.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
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부록
국문초록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정호은. (2019). 디자인지원사업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도출 연구 -AHP기법을 활용한 수혜기업의 수요분석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95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44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8-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