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이모티콘 유형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이입 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송채원
Issued Date
2019
Keyword
이모티콘, 감정, 뇌파측정,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Abstract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s now settled down as an integral part of our daily life. It has become common to share information and perform communication activities over time and space limitations through Internet virtual space. In reality, however, compared to the effects of face-to-face communication on the delivery of emotion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s the result of inaccuracies in the delivery of human emotion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convey emotions of people more accurately by using emoticons which are non-verbal communication elements in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f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cons and emotion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lso defining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the key elements of communication were drawn. On top of producing 'emoticons in each stage of emotional expression' by reflecting the drawn communication elements in the emoticons, the actual interface environment inducing emotions like joy, surprise, and sorrow on the chat window of Kakao Talk was suggested for the comparative experiment with the existing emoticons. For the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a survey as a qualitative method and the measurement of brain waves were combined. Through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as follows. First, when the subjects used the emoticons in each stage of emotional expression, the higher concentration was shown because higher theta(θ) waves were measured in the emoticons in each stage of emotional expression than the default emoticons. Second, the text change out of the emoticons in each stage of emotional expression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while the movement change did not show concentration. The highest theta(θ) wave was measured in the text change while the theta(θ) wave of default emoticon for movement change was measured high. Third, the facial expression change for the emotion of joy and the text change for the emotion of surprise and sorrow showed the effects of empathy because the high alpha(⍺) wave was measured in the emotion of joy, and the high beta(β) wave and gamma(γ) wave were measured in the emotion of surprise and sorrow. Fourth, the people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free to express emotions showed the broad amplitude of emotional expression in the selection of emoticon stages in each stage of emotional expression while the people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not free to express emotions showed the narrow amplitude of emotional expression. It means that the degree of emotional expression of the subjects is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emoticons in case when communicating. The major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people can express their emotions more accurately in 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nvironment.|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은 현재 우리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부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인터넷 가상공간을 통해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뛰어넘어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하지만 서로 얼굴을 마주하고 소통하는 대면 커뮤니케이션의 감정전달 효과에 비하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감정 전달은 부정확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비언어적 요소인 이모티콘을 활용하여 사람들의 감정을 좀 더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이모티콘과 감정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커뮤니케이션 개념을 정의한 후 커뮤니케이션 주요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을 이모티콘에 반영하여 ‘감정 표출 단계별 이모티콘’을 제작하였으며, 기존에 나와있는 이모티콘과의 비교 실험을 위해 실제로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카카오톡 대화창에 기쁨, 놀람, 슬픔의 감정을 유도하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는 정성적 방법인 설문조사와 정량적 방법인 뇌파측정을 병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피험자들이 감정 표출 단계별 이모티콘을 사용하였을 때 더 높은 집중력이 발휘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는 감정 표출 단계별 이모티콘이 디폴트 이모티콘 보다 높은 세타파가 측정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감정 표출 단계별 이모티콘에서 텍스트 변화가 제일 높은 집중력을 발휘하였고, 움직임 변화는 집중력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판단된다. 이는 텍스트 변화가 제일 높은 세타파가 측정되었고, 움직임 변화는 디폴트 이모티콘의 세타파가 높게 측정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기쁨 감정에서는 표정변화, 놀람과 슬픔 감정에서는 텍스트 변화가 감정이입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기쁨 감정에서 높은 알파파가 측정되었고, 놀람과 슬픔 감정에서는 베타파와 감마파가 높게 측정되었기 때문이다. 넷째, 감정표현에 자유로운 편이라고 답한 사람들은 감정 표출 단계별 이모티콘 단계 선택에 있어서 감정 표출 진폭이 넓은 편이였고, 감정표현에 자유롭지 않다고 답한 사람들은 감정 표출 진폭이 좁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피험자들의 감정표현의 정도가 이모티콘 선택에 반영된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궁극적 의미는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Alternative Title
Effects on Empathic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ypes of Emotional Icons
Alternative Author(s)
Song, Chae W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Advisor
류시천
Awarded Date
2019-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01 서 론

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02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1절 커뮤니케이션 요소
1.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2. 커뮤니케이션의 구성 요소
3. 커뮤니케이션의 발전 단계

2절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요소
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2.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비언어적 요소

03 이모티콘과 감정의 관계

1절 이모티콘의 기능
1. 이모티콘의 개념
2. 이모티콘의 시초
3. 이모티콘의 중요성

2절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이모티콘의 활용
1. 감정의 개념
2. 감정표현을 위한 이모티콘 활용

04 감정 표출 단계별 이모티콘 비교 실험

1절 뇌파의 기능과 분류
1. 뇌파의 기능 및 구조
2. 뇌파의 분류 및 특성

2절 실험 연구 목적 및 방법
1. 실험 연구 목적
2. 실험 설계 과정
3. 실험 자극물 제작
4. 뇌파 측정 방법

3절 실험 연구 결과
1. 전체 뇌파 분석 결과
2. 감정 표출 단계 선택 및 설문조사 분석 결과
3. 개인 별 뇌파 분석 결과

05 결 론

1절 연구의 주요 발견점
2절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3절 향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국문초록
부록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송채원. (2019). 이모티콘 유형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이입 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87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24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