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위턱굴 가쪽벽의 조직형태계측학적 평가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병수
Issued Date
2018
Abstract
위턱굴 바닥은 이틀돌기를 향해 있으며 특히 어금니부위의 치아뿌리와 매우 가깝게 위치한다. 이에 이틀뼈의 손실이 심한 경우 임플란트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하여 위턱굴 거상술이 빈번히 이용된다. 위턱굴 거상술을 위한 접근 부위로는 위턱굴 가쪽벽과 바닥이 이용되며, 이때 위턱굴 점막을 들어 올려 뼈와 점막 사이에 인공뼈를 채워 넣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턱굴 가쪽벽의 두께 및 그 특징에 관하여 조직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위턱굴 거상술 시 임상의에게 이들에 관한 정량적 및 정성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신 25구(남자 19구, 여자 6구, 평균연령 59세)에서 얻어진 35쪽의 위턱을 사용하였다. 첫째 작은어금니에서 둘째 큰어금니까지 치아 위치에 따라 위턱뼈 가쪽벽의 조직 절편 제작 후 H&E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얻어진 조직 사진에서 image processing software를 이용하여 치아 및 위턱굴 바닥에서 상방으로 높이에 따른 가쪽벽의 두께를 계측하고 조직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위턱굴 가쪽벽의 첫째 작은어금니에서 둘째 큰어금니까지 치아 위치에 따른 평균 두께는 2.22, 2.17, 2.64, 2.64mm로, 둘째 작은어금니에서 가장 얇고 큰어금니 부위에서 더 두꺼웠다. 위턱굴 바닥에서부터 0, 2, 8mm의 높이에 따른 평균 두께는 2.79, 2.24, 2.12mm로 바닥에서 올라갈수록 감소하였으며, 특히 위턱굴 바닥에서 치아 위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위턱굴 가쪽벽은 바깥쪽의 피질판과 중심의 해면뼈 및 위턱굴 점막에 가까운 안쪽의 피질판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안쪽 피질판은 신경과 혈관이 지나가는 많은 구멍이 뚫려 있었다.
이러한 위턱굴 가쪽벽에 관한 조직형태학적 분석 결과는 위턱굴 거상술시 술전 계획을 위한 해부학적 지침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When the alveolar bone loss is severe, the sinus augmentation is frequently used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implant. The access site for window opening is the maxillary sinus lateral wall and the sinus floor, and then the mucous membrane of the maxillary sinus is elevated to fill the grafts between the bone and the mucous membran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icknesses and histologic features of the maxillary sinus lateral wall using histomorphometric analysis to provide clinicians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on sinus augmentation.
Thirty five hemimaxillae from 25 cadavers were used (19 males, 6 females, mean death age 59 years). The specimens obtained from first premolar to second molar were embedded in paraffin,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and observed on light microscope. The thickness of the maxillary sinus lateral wall according to tooth site and measurement level was measured by using image-processing software and its histologic features were evaluated.
The mean thickness of the maxillary sinus lateral wall was 2.22, 2.17, 2.64, 2.64 mm from first premolar to second molar according to tooth site, respectively. That mean thickness from the sinus floor was 2.79, 2.24, 2.12 mm according to 0, 2, 8 mm in measurement level, respectively, decreasing as the height from the sinus floor goes up. The maxillary sinus lateral wall consisted of the outer cortical plate, the trabecular bone at the center, and the inner cortical plate near the mucous membrane. In particular, the inner cortical plate was more porous.
These histomorphometric results on the maxillary sinus lateral wall are expected to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for surgical planning on sinus augmentation.
Alternative Title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of the maxillary sinus lateral wall
Alternative Author(s)
Park, Byung Soo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dvisor
김흥중
Awarded Date
2018-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 ⅳ


I. 서론 ............................................................................................................ 1


II. 재료 및 방법 ................................................................................................ 3


Ⅲ. 결과.......................................................................................................... 6


Ⅳ. 고찰 ......................................................................................................... 9


Ⅴ. 결론 ......................................................................................................... 12


참고문헌 ........................................................................................................ 1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병수. (2018). 위턱굴 가쪽벽의 조직형태계측학적 평가.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65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96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8-08-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