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상악동 거상술시 해부학적 고려사항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지형
Issued Date
2018
Abstract
I 서론
상악골의 후방 부위는 치아의 상실로 인한 상악동 재함기화로 인한 유용한 골량의 부족 그리고 골질이 좋지 못한 부위이다. 이러한 부위에 임플란트 수술을 할 때 임상의는 상악동 증강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동 거상술시에 고려해야 하는 후상치조동맥의 위치, 상악동 측벽의 두께, 상악동 중격의 유무와 중격의 높이 그리고 상악동 거상량에 따른 상악동의 부피를 평가하고자 한다.

II 재료 및 방법
상악동 거상술을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들중 CT를 촬영하고 CT 소견에서 염증이나 증식의 증거가 없는 4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20 명, 여성 26 명을 대상으로 평균 나이는 57.3 세로 18 세에서 85 세이었다. 2007 년 5 월부터 2016 년 8 월까지 조선 대학교 치과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T 스캔 데이터를 3D 모델로 재건 후, 상악동저에서 부터 상악동의 형태에 따라 상악동저에서 후상 치조 동맥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후상 치조 동맥의 외측 분지 바로 아래의 상악동 외벽 두께를 측정 하였다. 그리고 후상 치조 동맥 분지의 위치를 ​​측정하기 전에 3D 모델에서 상악동 바닥의 가장 낮은 지점을 설정한 후 제 1 대구치 부위에서 상악동 가장 낮은 지점으로부터 거리를 측정하고, 상악동 중격의 유무 및 중격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상악동 부피를 측정하기 전 상악동 형태에 따라 좁은형(N)과 넓은 형(B)으로 구분하였다. 상악동의 부피 측정 및 거상술시 필요한 이식재의 부피 측정을 위해 상악동 바닥에서 3mm, 5mm, 7mm, 10mm의 높이에 따라 3차원 모델을 재구성한 후 부피를 통계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III 결과
상악동저에서 후상 치조 동맥 가지의 수직 거리 평균은 5.56 mm에서 21.29 mm까지 11.34 mm이었다. 상악동 외측벽 두께의 평균은 0.40mm에서 2.04mm 범위의 0.90mm 이었다. 상악동 중격은 27.1 %에서 존재 하였으며, 평균 높이는 13.93 mm 이었다. 부비동 바닥에서 3 mm 높이의 부비동 부피는 B형의 평균치는 0.37 cm3이고 N 유형의 평균치는 0.19 cm3 이었다. N 형은 B 형보다 유의하게 작았고 P 값은 0.00050으로 0.05보다 작았다. 5 mm의 경우 평균 체적은 B 형이 0.82 cm3, N 형이 0.56 cm3 로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75) 7 mm의 경우 평균값은 B 형이 1.47 cm3, N 형이 1.06 cm3으로 p 값이 0.05 미만이었다.(P=0.00048) 높이가 10 mm 인 경우 B형의 평균은 2.81 cm3, N형의 평균은 2.13 cm3이었고, 또한 p 값은 0.05 미만이었다.

IV 결론
상악동저에서 후상 치조 동맥 외측 가지의 수직 거리의 평균은 5.56 mm에서 21.29 mm까지 11.34 mm이었다. 외측벽 두께의 평균은 0.40 mm에서 2.04 mm 범위의 0.90 mm 였고, 상악동 부피(높이 3 mm, 5 mm, 7 mm 및 10 mm)의 경우 상악동의 형태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평균 부피는 각각 3 mm에서 0.27 cm3, 5 mm에서 0.67 cm3 7 mm에서 1.23 cm3, 10 mm에서 2.42 cm3 이었다. 후상치조 동맥의 평균적인 위치와 외측벽 두께, 평균적인 상악동 거상량에 따른 부피는 상악동 거상술 수술시 3차원 CT 정보를 갖지 않은 상태에서 2D 이미지를 통해 삼차원 해부학적 정보를 유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reatments involving implants have become common in the treatment of tooth loss in the maxillary posterior area. However, bone quality in this area is poor, and bone volume is often not sufficient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maxillary sinus. Consequently, this area is notoriously difficult to treat using implants.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has been regarded as a successful and predictable approach for augmentation of the posterior maxilla and provides adequate bone volume for implant placement.(1) Understanding the vascular anatomy of the maxillary sinus is also critical to avoid hemorrhage and membrane perforation. Blood vessels with large diameters may impose more serious risk of bleeding during the surgery.(2) Assessment of the maxillary sinus anatomy is important to avoid unnecessary complications due to the close anatomical relationship of the PSAA with the maxillary sinus.(3) (4) Perforation of the membrane may occur while reflecting the membrane or preparing the window to access the sinus cavity. Technical and anatomical factors such as the presence of sinus septum, lateral wall thickness, and the angle between the lateral and medial walls have been implicated in membrane perforation.(5)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lateral wall in different areas may be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adjacent structures such as the buttress of the zygoma, maxillary tuberosity, and the canine eminence.(6)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 (CBCT) is a relatively new radiographic technique that provides multiplanar imaging of the dentoalveolar region with the possibility of using less radiation dose in comparison with medical CT. Measurements taken with this technique have been proven to be both accurate and reliable. (7)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ssess the thickness of the lateral wall using CBCT scans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ide of maxillary sinus, age and sex on thickness of the lateral wall. It also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natomy of the location of the PSAA and maxillary sinus volume according to the height.
Alternative Title
Anatomical consideration for sinus lift
Alternative Author(s)
Kim, Ji-Hyoung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dvisor
문성용
Awarded Date
2018-08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1
II. Material and Methods 3
Ⅲ. Results 6
Ⅳ. Discussion 9
Ⅴ. Conclusion 12
Reference 1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지형. (2018). 상악동 거상술시 해부학적 고려사항.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64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93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8-08-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