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ffective and Contextual Factors in Blended Learning on English Learners' Achievement
- Author(s)
- 김소정
- Issued Date
- 2018
- Abstract
- 고등 교육 기관의 영어 교육은 깊이 있는 지식을 탐구하고 목표 언어에 충분히 노출될 수 있는 시수가 부족하고 한 교실 당 학생들의 수가 너무 많은 것이 현실이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멀티미디어 자원의 공급은 대학 교실의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고 학습자들의 갈증을 해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면대면 수업의 장점과 과학 가술의 혁신을 통합시킨 ‘블렌디드 러닝’을 통하여 개인 맞춤형 학습 모델과 학습자 중심의 이상적인 수업 디자인을 실현시킴으로써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이 권장되어지고 이러닝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에 따른 학습자들의 사용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학습자들의 제한적인 실제 수용에서 기인하며, 그 원인에 대한 연구와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모델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블렌디드 러닝를 사용하는 영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상황적 요인들을 조사하고 학습자들의 인식을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혼합형 블렌디드 러닝을 통하여 영어를 학습하는 126 명의 대학생들로 초보자 수준의 아주 낮은 영어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을 통하여 영어를 학습하는 대학생의 정의적인 요인들이 그들의 학습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둘째, 블렌디드 러닝 환경을 구성하는 상황적인 요인들이 영어 학습자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셋째, 블렌디드 러닝을 경험한 학습자들의 이 학습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양적 연구를 위한 다음의 7 개의 연구가설이 수립되고, 질적 연구를 위한 2 개의 인터뷰 질문이 착안되었다.
연구질문 1. 블렌디드 러닝을 통해 영어를 학습할 때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들은 무엇일까?
[연구가설 1] 블렌디드 러닝을 하는 영어 학습자의 동기는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가설 2] 블렌디드 러닝을 하는 영어 학습자의 불안은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가설 3] 블렌디드 러닝을 하는 영어 학습자의 태도는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질문 2. 영어를 배우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블렌디드 러닝의 구성적 요인들은 무엇일까?
[연구가설 4] 블렌디드 러닝의 용이성은 영어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가설 5] 블렌디드 러닝의 유용성은 영어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가설 6] 블렌디드 러닝의 상호작용성은 영어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가설 7] 블렌디드 러닝의 다양성은 영어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연구질문 3. 학생들은 블렌디드 러닝 방식의 영어 수업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할까?
[인터뷰질문 1]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영어 학습의 장점을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인터뷰질문 2]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영어 학습의 단점을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위의 연구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설문 문항이 만들어졌고, SPSS 20.0과 AMOS 20.0의 통계 프로그램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된 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경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의적 요인의 동기와 태도가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둘째, 환경적 요인의 유용성과 상호작용성이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행한 블렌디드 러닝의 장․단점에 대한 인터뷰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학습자들은 온라인 학습의 유용성과 면대면 수업에 대한 내재적 동기, 동료 학습자들이나 강사와의 상호작용성,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태도 등을 인식하였다는 측면에서 통계 분석의 결과를 뒷받침해주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은 학습 내용의 수준이나 설명 방식에 대한 불안 요인, 온라인의 사용 용이성, 온라인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최신성과 다양성 등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이 요인들은 통계 분석에서는 학습 성취도에 유의하지 않다는 결과를 가졌으나, 수치적으로는 미미하더라도 학습자와 관계가 있다는 증거이며, 학습 성취도가 아니더라도 학습 과정 또는 동기나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분석된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모델을 실험하여 영어 학습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블렌디드 러닝의 중요한 요인들을 밝힘에 있어서 교육적인 제언점이 있으며, 현장의 교수자들 뿐만 아니라 교육용/학습용 프로그램 개발자, 교육 단체 등이 이러한 요인들에 주목하여 영어 학습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모델을 구현하는데 현실적인 시사를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제한된 대상과 특수한 환경에서 이루어졌다는 한계점을 가졌으며, 더욱 다양한 변인들을 가지고 실험적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Alternative Title
- 블렌디드 러닝의 정의적, 구성적 요인들이 영어 학습자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Author(s)
- Kim, So Jeong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영어교육
- Advisor
- 정희정
- Awarded Date
- 2018-08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 INTRODUCTION
A. Background of the Study...................................................1
B. Statement of the Problem..................................................3
C. Purpose of the Study.........................................................4
D.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is................................6
E. Key to Abbreviations...........................................................7
F. Structure of the Dissertation..............................................8
II. LITERATURE REVIEW A. Blended Learning in English Language Teaching..........10
1. Definitions of Blended Learning........................................11
2. Modes of Blended Learning..............................................13
3. Methods of Blended Learning...........................................14
4. Modalities of Blended Learning.........................................16
5. Benefits of Blended Learning............................................18
6. Challenges of Blended Learning and the Solutions..........19
B. Theories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22
1. Theory of Reasoned Action...............................................22
2. Social Cognitive Theory.....................................................23
3.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Extended Models......25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25
b. Extension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26
4. Theory of Planned Behavior..............................................28
5. Motivational Model.............................................................29
C. Affective Factors................................................................30
1. Motivation..........................................................................31
2. Anxiety...............................................................................33
3. Attitude..............................................................................35
D. Contextual Factors.............................................................38
1. Perceived Ease of Use......................................................39
2. Perceived Usefulness.........................................................41
3. Perceived Interactivity........................................................43
4. Variety ..............................................................................45
III. RESEARCH METHODOLOGY
A. Research Model with Hypotheses....................................48
B. Research Setting................................................................50
C. Development of Measures................................................53
1. Independent Variables........................................................53
2. Dependent Variable............................................................56
D. Procedures of Data Collection.........................................57
IV. RESULTS
A. Samples..............................................................................59
B. Measurement Model Analysis............................................61
1. Goodness of Fit Test.........................................................61
2. Reliability Analysis..............................................................63
3. Validity Analysis.................................................................64
a. Convergent Validity Analysis...............................................64
b.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67
C. Structural Model Assessment...........................................68
1. Goodness of Fit Test........................................................68
2. Hypothesis Test.................................................................70
3. Discussion.........................................................................74
D. Learners' Perceptions on Blended learning...........................78
1. Advantages of Blended Learning.......................................78
2. Disadvantages of Blended Learning.....................................82
3. Discussion.........................................................................85
V. CONCLUSION
A. Implications.........................................................................89
B. Limitations...........................................................................92
C. Suggestions for Future Study...........................................94
References................................................................................96
Appendices.............................................................................119
Appendix A: Online Lectures.......................................................119
Appendix B: Learning Materials...................................................120
Appendix C-1: Online Activities 2...............................................121
Appendix C-2: Online Activities 3...............................................121
Appendix C-3: Online Activities 4...............................................122
Appendix D: Questionnaires........................................................123
Appendix E: Interview Protocol....................................................127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김소정. (2018). The Effects of Affective and Contextual Factors in Blended Learning on English Learners’ Achievement.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59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860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8-08-24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