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인구감소시대의 농촌중심지 기능변화와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노세희
Issued Date
2017
Abstract
본 연구는 인구가 감소하여 과소화가 진행되고 있는 농촌지역에서 재정부담을 최소화 하면서 지역주민에게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농촌중심지 기능을 어떻게 정비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토대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인구감소와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여 농촌중심지의 기능 변화와 집약화에 대해 고찰하고, 농촌지역 중심지의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농촌지역의 공공서비스와 시설을 어떻게 재구성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남지역 4개의 농어촌생활권을 기준으로, 지방소멸지수를 고려하여 4개의 지자체(화순, 함평, 곡성, 장흥)를 선정하여 현장조사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지역현황과 인구, 경제, 공공서비스에 대한 통계를 파악하였으며, 설문조사에서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주민의견을 물었다. 설문지는 4개의 조사대상지역에서 각 180부씩 총 720부를 수거하여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결과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농촌중심지 기능 영역별 중요도, 공공서비스 만족도 등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조사대상지역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중심지 기능과 공공서비스 만족도 요인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생활만족도와 공공서비스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농촌중심지 기능과 공공서비스 정비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은 면적은 크고 거주인구는 적으며, 거주인구의 고령화 문제까지 가속화되고 있다. 기존에 농촌지역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어 온 지리적 접근성의 문제를 넘어, 그동안 공공시설에서 이루어졌던 대면 서비스도 장소와 방식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즉, 공공서비스 제공과 지자체의 재정부담, 환경적인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농촌개발을 위해 농촌 중심지인 읍·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집약적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인구감소라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농촌 주민이 요구하는 생활서비스의 공공성에 대응 할 수 있는 서비스와 시설은 무엇인지 점검해보아야 한다. 주민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생활욕구나 기능, 원하는 공공서비스는 무엇인지 검토되지 않고, 경제성 논리에 의해 공공시설을 중첩시키고 축소시키는 것은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방식이다. 농촌의 공간적 하드웨어적 정비가 아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비를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농촌지역 주민에게 살기 좋은 정주환경 및 공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가기반산업인 농업과 농촌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농촌중심지 정비는 교육시설 즉 초등학교를 거점으로 주민요구와 생활가치를 반영할 수 있는 중심지 기능들을 접목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농촌중심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재정비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를 하지 않고 운영방식을 재구성함으로써, 지역주민 요구를 반영하여 기능을 중심지별로 분담배치 하고, 지역 내 주민들이 이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중심지와 배후지역, 중심지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접근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교통약자인 고령자가 많은 농촌 특성을 고려한 교통체계,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농촌중심지 정비가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공공교통에 대한 다양성과 접근성 해소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방정부는 도시의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비전을 제시할 때 사회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그러한 변화가 주민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예측하고, 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지역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식을 찾아 일관되게 실천하고, 지역의 미래를 위한 장기적 비전을 수립해 다양한 주체가 참여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How the study should start to refine the function of rural centres to provide good public service to local populations, while minimizing the financial burden in rural areas where populations are declining and underestimating. To that end, the Act reflected changes in the functions of rural centers and centralization in response to the social changes of population reduction and low birth rates, and further discussed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rural areas and improve their public services. Based on the four rural areas in South Jeolla Province, four local governments(Hwasun, Hampyeong, Gokseong, and Jangheung) were selected and surveyed. Statistics on local status, population, economy and public services were obtained in the field survey, and residents were asked to comment i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llected a total of 720 copies each of 180 copies from each of the four areas surveyed and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analysis used the SPSSPC program and calculate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including importance of the functional areas in rural central areas and satisfaction with public services.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to be surveyed, and a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central func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public service satisfaction factor. We then used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public servic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functions of rural centers and directions for the repair of public services as follows : First, rural areas are large in size and with few residents, and the aging problem of the rural areas is accelerating. Beyond the previously constantly promoted geographic accessibility issues in rural areas, face-to-face services at public facilities need to change their locations and approaches. In other words, intensive development should be carried out focusing on the urban areas, the rural core, for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local governments ' financial burden, and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check which services and facilities can respond to the public demands of life services required by rural residents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s of population reduction. Overlapping and reducing public facilities by economic logic, without examining what kind of living desires, functions, or services that residents value, hinders rural sustainability. Th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maintenance of program-based software, not the spatial and hardware maintenance of the rural areas. Measures shall be made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agriculture and rural areas based on the national industry by provid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ublic services to rural residents.
Third, readjustment of rural centers should be carried out with education facilities, that is, elementary schools, in place, to combine the functions of the central districts that can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and the value of living. To effectively restructure the operation without making additional investment in hardware to effectively re-architect the functions of rural centres, so that local residents can divide the functions by their central areas to reflect their needs.
Fourth,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accessibility to reinforce the linkage between central areas, the areas behind them, and the central areas. Policies to improve the transportation system and accessibility should precede those who are vulnerable to traffic, considering the rural characteristics with many elderly citize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efforts to reduce diversity and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should be made in the mid - to long-term perspective.
Finally, local governments should anticipate how such changes will change the lives of residen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when they plan and present their visions for the long term. Find and consistently practice ways to improve the local life quality by maintaining local identity and to have diverse entities involved and establish a long vision for the future of the region
Alternative Title
An Empirical Study on the Functional Changes and the Quality of Life Improvement of Rural Center in the Age of Population Reduction
Alternative Author(s)
Noh Sehee
Department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강인호
Awarded Date
2018-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 3
제3절 연구방법 ----------------------------------------- 4
제4절 논문의 구성 -------------------------------------- 5

제2장 이론적 논의 -------------------------------- 6

제1절 인구감소와 농촌중심지 기능 변화 ------------------ 6
1. 농촌지역 중심지의 기능 --------------------------------- 6
2. 인구감소에 따른 농촌지역 중심지의 기능 변화 ------------ 10
3. 농촌지역 중심지의 집약화 ------------------------------- 13

제2절 농촌지역 중심지 삶의 질 제고와 공공정책 --------- 18
1. 농촌지역 중심지 삶의 질 제고 정책 ---------------------- 18
2. 농촌지역 삶의 질 관련 공공기능 특성 -------------------- 32

제3절 농촌중심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중심지 기능 변화 - 34
1. 농촌중심지 삶의 질 제고와 중심지 기능변화 ------------- 34
2. 사례연구 ---------------------------------------------- 35
제3장 조사 설계 ------------------------------- 45

제1절 조사대상 지역 및 설문지 구성 ------------------- 45
1. 조사대상 지역 ---------------------------------------- 45
2. 설문지 구성 ------------------------------------------ 48


제2절 적합도 검증 및 자료분석방법 -------------------- 51
1. 표본추출방법 ----------------------------------------- 51
2.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51
3. 자료분석방법 ----------------------------------------- 54


제4장 연구결과 분석 ---------------------------- 56

제1절 농촌중심지 기능 --------------------------------- 56
1. 농촌중심지 기능에 관한 일반현황 ----------------------- 56
2. 인구감소에 따른 농촌중심지 변화 ----------------------- 58
3. 농촌지역 중심지 집약화에 대한 인식분석 ---------------- 59


제2절 농촌지역 중심지의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 분석 ---- 61
1. 공공서비스 시설 만족도 ------------------------------- 61
2. 농촌지역 중심지 삶의 질과 농촌중심지 기능 중요도 ----- 66
3. 농촌지역 중심지 재정비 방향에 대한 인식분석 ---------- 75


제5장 결론 -------------------------------------- 79

제1절 연구결과 요약 ----------------------------------- 79
제2절 정책제언 ---------------------------------------- 82
제3절 연구의 한계 ------------------------------------- 85

참고문헌
부 록
1. 부록표
2. 설문지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노세희. (2017). 인구감소시대의 농촌중심지 기능변화와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51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72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8-02-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