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員嶠 李匡師의 書藝論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윤기성
Issued Date
2017
Keyword
고증학", "북비남첩", "원교", "추사
Abstract
There are two reason to choose Wongyo's calligraphy as subjects to study on this thesis. First, I have desired to ascertain the truth the phrase, 'Calligraphy is Life itself'. Calligraphers prefer to say that 'Calligraphy is Life itself.' However, they would be sacred it saying because the art could not be described with words, or hesitate and avoid to respond when they face a basic question why they regard so. I have decided that Wongyo is an appropriate person to study because his calligraphy had been revealed among his though life which is ordinary people even could not imagine it, also he had written his theory of calligraphy. My point of view is the phrase, 'Calligraphy is Life itself' will be proved if it is possible to link and connect resonable between his life and calligraphy. Second, because of the calligrapher's attitudes which is neglecting their self-contradiction. Calligraphers are apt to emphasize that ' Calligraphy is an expression of a spirit.' or 'Calligraphy could not be separated with study.' However they consider as a stranger for a person who makes a profound study of the spirit or a quest of knowledge. These Calligraphers' contradictory attitudes is revealed on their perspective for Chusa's criticism against Wongyo. Most of calligraphers regard Wongyo is inferior to Chusa, although they recognize Wongyo is the representative calligrapher together with Chusa. Wongyo is inferior to Chusa because of Chusa's criticism against Wongyo, and calligraphers perceive Chusa's criticism which was a superiority based on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I regard it as a illusion.
Wongyo had written 󰡔Seo Gyeol󰡕 even though his circumstances was as transient like morning dew. 󰡔Seo Gyeol󰡕 had been a major breakthrough in a theory of calligraphy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Chusa severely criticized for Wongyo, it was an opportunity for Wongyo's calligraphy to become a leading role of Joseon dynasty's literature. The Joseon dynasty's literature could make a change from 'The inclusion of morality by writing' to 'The separation of morality and writing' by Chusa's criticism against Wongyo. In a word, Chusa's criticism against Wongyo was a healthy affair which was shown inner dynamics of our culture. Unfortunately, Chusa's criticism against Wongyo has been distorted by analysis with external factors not internal ones. This is because of the literature study which is Western modern values get the upper hand, therefore Chusa's criticism was understood as a conflict between our tradition and the Western value. It is discribed on our literature studies, during the 17, 18, and 19th centuries that the Joseon Dynasty's existing literature engaged in subversion by introducing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of the Qing dynasty. The Chusa's criticism against Wongyo has been a direct proof to be shown these aspects.
Most people understand Chusa's criticism to counter Wongyo as a exposure that Wangxizhi's calligraphy is a forgery against Wongyo's assertion to have Wangxizhi's calligraphy as a basis of calligraphy, based on the theory of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which had dominated the international stage. Then Wongyo and Chusa were strived for superiority by this, also have been regarded Chusa's criticism which was a superiority of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against Wongyo's antiquated theory of calligraphy.
It is widely know that Chusa was well acquainted with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through studies of the Japanese scholar, Fujitsuka Chikashi. However, on this thesis it is insisted that there are two divided opinions, one is a forgery was unfeasible even though Wangxizhi as a paragon of Chusa's calligraphy, the other is Wongyo's forgery was possible by practice with various methods. It is for example, there can be other interpretation such as a confliction between Chusa who based on 'Gyoukmulchizi' of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Wongyo who is based on 'Chiyangzi' of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therefore it has been emphasized that Wongyo and Chusa's criticism should be regarded as not subversion of tradition because of external factors, but our internal dynamic factors. Further more, although 'On Northern Steles and Southern Letters'(Beibeinantie lun The theory of BukbiNamcheop) is the theory which was developed on the spirit of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it is a theory which is intervened likes or dislikes that distinctly different with the study, and also the study is not a study that suddenly have introduced in the Chusa's age, these are why it is insisted that this is a fallacy to deicide a superiority of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with Chusa's criticism against Wongyo.
It is not my interest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study the literature with considering the Western morden value is supremacy, or not. Therefore it is also not my concern if the Chusa's criticism is a foundation of literature which shows a superiority of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The reason that I have regard it as a problem is the contradiction of incumbent calligraphers who refer to Chusa's criticism. Calligraphers who consider the continuation or abolition of their career do not pay attention to their contradictions and deplore the dif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saying that the calligraphy is the essence of the Eastern culture. These days, it is quite unusual to see calligraphers who do not believe Chusa's criticism that 'Wongyo's name as a calligrapher hit the world even if he didn't know how to use arms, also could not distinguish how to use a brush and ink. However, it is rare for calligraphers to believe that a calligrapher can be highly reputed without the knowledge of how to use arms or can not distinguish how to use a brush and ink. If calligraphy is available to get it's reputation without the capacity to distinguish how to use arms, a brush and ink, is it deserve to be named as the essence of the Eastern culture?
The most calligraphers refuse to acknowledge toward the contradiction of Chusa's criticism against Wongyo due to the authority of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is valued highly because of its scientific rationality which is considering an objective actual proof. Now it is time to confront superiority or inferiority by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with an attitude by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본고가 논구 대상으로 원교의 서예를 선택한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 원교를 통해, ‘서예는 인생 그 자체’란 말의 진위를 확인해 보고 싶었다. 서예가들은 ‘서예는 인생 그 자체’라는 말을 즐겨 한다. 그러나 왜 그런가 하는 초보적 물음 앞에서는, 그저 예술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라며 성역화 해버리거나, 주저하며 회피해 버리기 일쑤다. 원교의 서는 범인은 상상할 수 없는 피눈물로 삼킨 삶속에서 발화했고 또한 서론을 남겼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구 대상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만일 그의 삶과 서예를 결합해 무리 없이 논할 수 있다면, ‘서예는 인생 그 자체’라는 말을 증명하는 셈이라고 본 것이다. 둘째 서예가들의 자기모순에 아랑곳 않는 태도 때문이다. 서예가들은 ‘서예는 정신의 표현’이라거나 ‘서예는 학문과 분리될 수 없다’라고 주장하기 일쑤다. 그러나 그 ‘정신’이란 무엇인가를 鑽究하거나, 학문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에 대해서는 정작 사차원적 인간 취급을 한다. 서예가의 이러한 모순적 태도는, 원교에 대한 추사 비평을 바라보는 태도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서예가들은 추사와 더불어 원교를 대표서가로 지목하면서도, 원교를 열등하게 취급한다. 원교를 열등하게 인식하는 까닭은 추사의 원교에 대한 비평 때문인데, 서예가들은 이를 고증학적 우위를 점한 추사의 비평이라고 인식한다. 필자는 이를 虛像이라 보았다. 원교는 아침이슬처럼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신세에도 󰡔서결󰡕을 저술했다. 󰡔서결󰡕은 조선서예이론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했다. 추사는 비록 원교에 대해 혹독한 비판을 가했으나, 이는 오히려 원교의 서예를 조선 문예의 주역으로 끌어 올린 계기가 되었다. 원교에 대한 추사의 비평으로 인해, 조선 문예는 ‘文以載道’에서 ‘文道分離’로 변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추사의 원교비평은 우리 문화의 自內적 다이내믹을 보여주는, 건강한 사건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 추사의 원교비평을 자내적 요인이 아닌, 自外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면서 심히 왜곡되어 왔다. 이는 서구적 근대가치를 우위에 두는 문예연구에 기인한 것으로, 원교에 대한 추사비평을 우리전통과 서구가치의 충돌로 해석하였기 때문이다. 우리의 17-8, 9세기의 문예연구는 청조의 ‘考證學’이 도래하면서 조선의 기존문예를 전복한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원교에 대한 추사비평은 이러한 양상을 보여주는 직접적 근거가 되어왔다. 우리는 원교에 대한 추사비평을, 원교가 서의 근본으로 왕희지서를 삼자는 것에 대해 당시 국제무대(淸朝)를 휩쓴 고증학적 ‘북비남첩론’에 입각해 왕희지서가 僞作임을 밝힌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으로 원교와 추사의 우열론을 삼아 왔으며, 이것으로 원교의 낡은 서론에 대한 고증학적 우위의 추사의 비평이라고 운운해왔던 것이다. 이에 대해 본고는 원교에 대한 추사의 비평에는, 추사의 서의 패러곤으로서 왕희지라 해도 위작은 불가하다는 것과, 원교의 위작이라도 여러 방법을 통해 연찬하면 가하다는 측면의 대립만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예컨대 주자학적 ‘격물치지’를 근간으로 하는 추사와, 양명학적 ‘치양지’를 근간으로 하는 원교의 충돌로 해석할 여지가 있으며, 따라서 원교와 추사의 비평은 외적 요인에 의한 전통의 전복이 아니라, 우리 내부의 역동적 측면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북비남첩론은 비록 고증학적 기풍에서 진작된 이론이지만 고증학과는 엄연히 다른 호불호가 개입된 이론이라는 점, 고증학은 추사에 이르러 갑자기 도래한 학문이 아니라는 점을 들어, 원교에 대한 추사비평을 두고 고증학적 우위 운운하는 것은 허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서구적 근대가치를 우위에 두는 문예연구가 옳은가, 그른가 하는 문제는 필자의 관심사가 아니다. 따라서 원교에 대한 추사비평이 고증학 우위를 보여주는 문예사적 근거인가 아닌가하는 것도 필자의 관심사가 아니다. 그러나 필자가 이를 문제시하는 까닭은, 원교에 대한 추사의 비평을 바라보는 현서예가의 모순 때문이다. 그 존폐가 걱정스러운 서예가들은 자신의 모순에 아랑곳하지 않고 서예를 동양예술의 정수라고 말하며, 대중의 무관심을 한탄한다. 지금의 서예가 중 ‘懸腕도 모르고 用筆 · 用墨도 구별치 못하고서 원교의 筆名이 세상을 뒤흔들었다’는 추사의 비평을 신봉하지 않는 서예가는 드물다. 그러나 현완도 모르고 용필 · 용묵도 구별치 못하고서 필명을 날릴 수 있다고 믿는 서예가 또한 드물다. 현완도, 용필 · 용묵도 구별치 못하고서 필명을 날릴 수 있었던 것이 서예라면, 그것을 과연 동양예술의 정수라고 운운할 만한 것인가? 서예가들은 이러한 원교에 대한 추사비평의 모순을 고증학이라는 권위 앞에서 눈감아 버린다. 우리가 고증학을 높이 평가하는 이유는, 객관적 실증을 중시하는 합리성 때문이다. 이제는 고증학적 우열론을, 고증학적 태도로 바라보아야 할 때가 되었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Wongyo Yi Gwangsa’s Theory of Calligraphy
Alternative Author(s)
Yoon gi-seo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한문교육
Advisor
한예원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ⅴ

Ⅰ. 序 論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방향 4

Ⅱ. 조선 후기 문예 연구와 書藝 연구의 동향 7
1. 眞景文化 연구와 그 방법론으로서의 書藝 7
2. 眞景文化 연구와 東國眞體 개념논쟁 15
3. 眞景文化 연구와 원교에 대한 추사의 비평 31

Ⅲ. 圓嶠의 書藝 41
1. 삶과 기질 41
2. 󰡔書訣󰡕의 내용 55
3. 陽明學 履歷과 원교의 서예 64
4. 원교 서예의 儒家美 77
5. 원교 서예의 莊子美 102

Ⅳ. 圓嶠에 대한 秋史의 批評 113
1. 추사 筆墨論의 허상 117
2. 考證學 기준 優劣論의 허상 123
1) 近代論과 考證學 123
2) 北碑南帖論(南北書派論) 128
3) 考證學 기준의 모호성 132
3. 추사비평의 의의 142

Ⅴ. 結 論 149

참고문헌 15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윤기성. (2017). 員嶠 李匡師의 書藝論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23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10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