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주거지역의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구현방안에 관한 연구
- Author(s)
- 김명선
- Issued Date
- 2016
- Keyword
- 안전, 빛, 안전한 보행공간, 빛의 특성, 빛의 구현
- Abstract
- Innovative technology has helped contemporary cities grow up rapidly, but has also brought up many social problems in quality and quantity. As a result of increased risk factors, various incidents from the city makes people disconcerted making safety the most important topic of city life. However, the actual progress to realizing safe space in cities has been done nowadays where safety is considered more functional and technical. The emotional and cognitive facet have never been explored for urban people. This is also the reason why contemporary cities have not progressed as safe cities - we have not considered the new paradigm of safety enough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we have to consider first when planning to redevelop an old residential area is making a safe space because it is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issue for the social life of people in urban areas. It is because the city structure has changed to a more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 that the values focus more on each individual’s happiness than about rational and effective city functions. We need to take a closer look as opposed to a broader look to understand the emotional state of urban dwellers in order to actualize a safe space from an aesthetic standpoint.
A city is composed of multiple structures by residents. It is like a living organism so each individual’s life style makes up the lifestyle of the city as a whole. In other words, a residential area is the fundamental unit which supports people’s everyday life. Therefore, pedestrian spaces between houses are not just a simple space but they are like micro-vessels in a living organism. It can be defined as a symbolic space between neighbors, because it connects social intercourses culturally, makes up fellowships socially, and creates mental stabilities based on emotional familiarity.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a safe space at a pedestrian area in a residential area affects each individual’s quality of life directly. Because the meaning of a pedestrian area in a residential area is getting more important socially and culturally, the safe pedestrian areas need to be designed and built based on the resident’s emotional aspect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urthermore, understanding how much the pedestrian area is important will become the focal point of creating a new pedestrian area, which will only be realized when each individual has a good quality of life as a direct result of space.
Light is another important element for humans to recognize and define spaces. We also actively use it in various ways as an environmental element to make spaces more emotional and exciting and to help people have social interchanges. For this reason, the use of light is getting more important. A study conducted b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and Urban Landscape Design has shown how the right usage of light as an environmental element greatly affects people emotionally. As a result, light is actively used since the applicable area has become broader. Moreover, light is an essential design element to create safe pedestrian spaces in the city as well as helping define space with our visual perception. Light also provides great value as a design element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safe and the secure the emotional well-being of residents.
Therefore, we are going to analyze in this study the most appropriate light for a safe pedestrian area in view of the user's perspective of what safe pedestrian is in residential areas. The study suggests a method how to make and complete old residential pedestrian spaces using light in the most efficient way. It includes the understanding of physically-built environments as well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elements.|현대도시는 혁신적인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나 양적, 질적인 발전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양산하게 되었다. 특히 해마다 증가하는 사건·사고 및 다양한 위험요소의 증가는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도시민의 정서적 불안감을 증대시킴에 따라, ‘안전’은 도시민이 삶을 영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도시안전에 대한 사유에 따른 결과는 인지·정서적 측면의 안전보다는 기능·기술적인 측면에 집중되어왔으며, 결과적으로 도시의 실제적 주체인 도시민 관점의 공간에 대한 이해의 결핍과 부재를 가져왔다. 또한 현대 도시의 주요 화두인 ‘안전’의 패러다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도시민을 위한 디자인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한 것은 결과적으로 도시민 관점에서의 ‘안전’과 ‘공간’에 대한 고려를 하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
도시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구성원들의 사회적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안전’이다. 이는 도시의 역할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인적·물리적 구조체계의 구축으로부터 도시민의 삶의 가치적인 것의 인지·정서적 내적체계의 구축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즉 거시적 관점의 도시 공간이 아닌 도시민이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 정서적 해석을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미시적 관점의 ‘안전’에 관한 사유이며, 이를 위한 ‘안전한 공간’을 의미한다.
도시는 유기적이고 복합적인 구조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나 세부적으로는 도시민의 미시적 삶의 단위에 의해 이해되고 구성되어져 있다. 즉 도시 주거지는 도시민의 일상생활을 담아내는 도시의 핵심적인 구성단위이며, 주거지의 주요 공간구조로서 보행공간은 단순한 목적을 갖는 공간이 아니라. 문화적으로는 이웃과 사회적 교류를 통해 연결되고, 사회적으로는 소통을 통한 소속감, 유대감을 형성하며, 정신적으로는 거주자의 경험과 삶의 기억을 담아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상징적 의미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주거지 보행공간의 ‘안전’은 도시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서는 도시의 ‘안전’과 직결된다. 또한 주거지 보행공간이 도시민의 정서적 공유 공간으로써 사회·문화적 의미가 강조되어짐에 따라 실질적 공간의 주체인 도시민의 관점을 기본으로 한 인지·정서적 ‘안전’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안전한 보행공간의 조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더불어 이러한 공간의 이해는 도시민의 인간다운 삶의 영위를 위한 공간 창출의 시작점이 되며 나아가 도시민에게 이상적인 안전한 도시 공간 구현으로 완성되어진다.
빛은 공간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공간을 인지하게 하는 근본적 요소이며, 현대 사회에서는 도시민의 소통을 이끌어 내고 다양한 공간의 변형과 이미지 형성을 통해 감각을 자극시키는 환경구성요소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범죄예방설계와 도시경관디자인의 관련 선행연구 및 보고서에서는 물리적 환경 구성 요소의 조명이 도시민의 선호도 및 심리적인 효과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빛은 그 역할과 적용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도시민을 위한 디자인 요소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지고 있으며, 안전한 보행공간의 조성에 있어서 빛은 근본적인 요소이자 도시민의 인지적 해석에 의한 공간의 성격을 규정함에 있어 주요한 디자인요소이다. 즉 빛은 보행공간에서 도시민의 사회적 활동을 가능케 하고 심리적 안정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인지·정서적 안전한 공간의 특성을 실현시키는 전략적인 디자인요소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의 관점에서 인지·정서적 측면의 ‘안전한 공간’의 필요성에 따라, ‘안전’에 대하여 심리학적 논의를 고찰하고, 안전한 주거지 보행공간조성을 위한 디자인 요소로서 빛의 중요성을 인식한 후, 안전한 보행공간의 조성을 위한 빛의 특성과 구현방안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는 물리적 건조(建造)환경과 환경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는 것이며, 구축되어진 공간에서 빛을 통하여 보다 정서적으로 안전한 공간으로 공간성격을 보완하고 완성하기 위한 빛의 특성과 이를 위한 실질적인 디자인 방향제시에 관한 연구이다.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Realization Plan of Light for Safe Pedestrian Space in Old Residential Area
- Alternative Author(s)
- Kim,Myoung Seo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 Advisor
- 문정민
- Awarded Date
- 2017-02
- Table Of Contents
- 제 Ⅰ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3절 선행연구 및 기대효과
제 Ⅱ장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과 빛
제 1절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
1. 주거지의 안전과 보행공간
1) 안전한 주거지의 정의
2) 주거지 보행공간의 가치
2. 안전한 보행공간의 의미
1)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 개념
2)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공간성격
제 2절 안전한 보행공간과 빛
1. 주거지의 안전과 빛
1) 주거지 안전과 빛의 관계
2) 주거지 보행공간에서 빛의 역할
2. 안전한 보행공간의 디자인요소로서 빛
1) 인지·해석적 의미로서의 빛의 특성
2) 시·지각적 이미지로서의 빛의 구현
제 3절 소결
제 Ⅲ장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특성
제 1절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현황
1. 주거지 보행공간의 빛 환경 현황 조사
2. 주거지 보행공간의 빛 환경 문제점
3.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의미
제 2절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특성 분석
1.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특성 분석
2.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특성 적용 범주
3.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특성
1)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는 빛
2) 감성적 심상을 형성하는 빛
3) 공간적 인지를 유도하는 빛
제 3절 소결
제 Ⅳ장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구현
제 1절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구현 분석
1. 분석개요
1) 현황 및 개요
2) 분석 방법
2. 분석결과
1)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는 빛의 구현 분석결과
2) 감성적 심상을 형성하는 빛의 구현 분석결과
3) 공간적 인지를 유도하는 빛의 구현 분석결과
3. 분석종합
제 2절 주거지의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구현 방안
1.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는 빛의 구현 방안
1) 일관된 형(形)의 지각
2) 서정적 형상의 실현
2. 감성적 심상을 형성하는 빛의 구현 방안
1) 상호적 감각의 경험
2) 창의적 이미지의 구현
3. 공간적 인지를 유도하는 빛의 구현 방안
1) 전이적 이미지 해석
2) 구체적 형태의 인식
제 3절 소결
제 Ⅴ장 결론
제 1절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제 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 록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Citation
- 김명선. (2016). 노후주거지역의 안전한 보행공간을 위한 빛의 구현방안에 관한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07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967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