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국내 어린이 대상 과학전시물의 현황 파악 및 전시 개선 모형 개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다혜
Issued Date
2016
Keyword
어린이과학관, 전시연출, 전시물, 전시모형
Abstract
The 21st century’s science needed the education for training the talented persons with the scientific grounding to develop the sustainable energy, a global issue, and resolve the social problem creatively and reasonably. Hereupon, the school education is executing the curriculum aimed at training the talented persons with the scientific grounding, and the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scientific grounding became necessary in the informal education, the out-of-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school education. In particular, the necessity for the science communication for cultivating the scientific grounding emerged in the science museum, the representative informal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Since the science communication in the science museum is done through the directing of the science exhibits and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the science exhibition is very important. Meanwhile, given a study report that whil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ce subject is high, it stays in a low level in the affective aspect, it is thought if the children’s interest and concern for science are raised and they contact the scientific exploration way as a child, the level in the affective aspect will also be able to heighten. Therefore, the study on the directing of the scientific exhibits and the exhibition space for the science communication in the children’s science museum should be condu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quo of the science exhibits of domestic science museums for children and develop/suggest the exhibition improvement model to provide a guideline in planning the exhibition of the children’s science museum, and confirm its educational effec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drawn based on this study purpose. First, what are the features of the exhibits of the domestic science museum for children and the features of the exhibition space directing? Second, what is the exemplary exhibition improvement model aimed at children? Third, how is the application effect through this improved exhibition model?
The exhibition evaluation analysis work was developed first as a way for this study. The analysis work was divided into the content, media, and space through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literature consideration.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developed exhibition evaluation analysis work, it was divided into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exhibits and the way to convey it. In terms of the media, it consisted of classifying the kinds of the exhibit media and actively defining the way for visitors to contact the media. In terms of the space, it was divided into the elements directly influencing the audience and the indirectly influencing elements. The analysis targets were selected to apprehend the exhibition status quo of the domestic children’s science museums by means of these analysis works. I Children’s Science Museum and M Children’s Science Museums which were the children-specializing science museum, and children’s museums in National S Science Museum, National N Science Museum, National D Science Museum, National B Science Museum, National G Science Museum which were the synthetic science museums; total 7 museums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targets. The data of the exhibits and the exhibition space were collected through the picture and video recording after visiting the children’s science museums, the analysis targe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exhibition content, exhibition media, and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analysis work on the exhibits and the exhibition space of each children’s science museum. And a guideline judged to be ideal for the effective exhibition directing in the science museum aimed at children were suggested. Also, the exhibition improvement model according with the guideline suggested before was developed while improving the shortcomings of the exhibition directing from the analysis result. The exhibition connective program of the exhibition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in order to construct the validity of the exhibition model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framework, and it was applied to the children visitors to the children’s hall of National Gwangju Science Museum throughout total 8 times for a couple of days every weekends from November 5th to 27th, 2016.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exhibit model was confirmed through the additional interview and the picture evaluation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quo of the exhibition featuring the ‘human body’ in the domestic children’s science museum, most exhibits were comprised of the ‘body’-related sub-themes through a way of ‘observation’ in terms of the exhibit content. In terms of the exhibit media, most of the exhibits were ‘observatory’ activities through the ‘explanatory’ media. In terms of the exhibit space, the connection level was highest in the ‘installation’ element, the direct space ele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quo of the exhibit featuring the objects around us, the exhibition consisted of sub-theme exhibits related to the ‘object and material’ through the ‘observation’ in terms of the exhibit content. In terms of the exhibit media, most of the activities were the ‘observatory’ ones through the ‘explanatory’ media. In terms of the exhibit space, the connection level was highest in the ‘installation’ element, the direct space ele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quo of exhibition featuring the ‘natural phenomenon’, it was mainly comprised of the sub-theme exhibits related to the ‘creature’ through ‘observation’ in terms of the exhibit content. In terms of the exhibit media, most of the activities were the ‘observatory’ ones through the ‘explanatory’ media, and the connection level was the highest in the ‘installation’ element which was the direct space element and the ‘color’, the indirect space element in terms of the exhibit space. To sum up, since the domestic children’s science museum excessively relies on the observation and the explanatory media, it was difficult to convey the content to the children visitors effectively. Also, it was analyzed that it was highly inclined to rely on the installation, the space element which can be directed comparatively easily, and it was hard to connect the arrangement of exhibits to the theme. Since it was not effective to create the atmosphere of the whole exhibit hall by the colors and lighting, it was difficult to analogize the exhibit contents and the overall story.
Secon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effective exhibit was developed into a model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atus quo of the domestic children’s science museum and it was suggested. In particular, the exhibit was designed to be developed in the storytelling manner with a feeling of going on a trip throughout the exhibit in order to naturally connect each sub-theme on the ‘human body’, ‘natural phenomenon’, and ‘object in daily life’. Additionally a ‘playground for children’ was directed as a separate space for the visitors of the children’s science museum including the infants and parents. To sum up, the exhibition was composed of the exhibit contents aimed at the visitors on the basis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n order to suggest the effective exhibit improvement model focusing on children. The exhibit media using the images rather than the texts wa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the exhibit media that could deliver the sub-themes effectively were used. As for the arrangement of exhibits, they were arranged in the form of telling a story by reflecting the overall exhibit story, and the clues that children visitors could analogize easily were provided. Also, the colors and lighting were used properly to create the atmosphere on each sub-theme. In order to confirm the application effect by applying the exhibit connective program for securing the validity of this exhibit improvement model, the exhibits on the ‘mirror’ were selected and the connective program of these exhibits direct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to apply.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exhibit model by analyzing the picture evaluation paper of the children visitors, it was confirmed the exhibit content was conveyed exactly because it turned out they could understand the concept on the ‘reflection of mirror’. Also,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additional interview that this experience interactive media was helpful in terms of the children visitors’ curiosity and intere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aving provided a guideline for planning and directing the exhibit effectively in establishing the new children’s science museum or reorganizing the current children’s science museum in the future. The following conclusion and proposal can be drawn through this study.
Currently, the number of domestic science museums aimed at children is very smaller than one of the entire science museum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hildren-specialized science museum additionally. In particular, establishing the children’s science museum specializing in a certain theme can be suggested. And experts from each field of the science exhibit should cooperate in the whole process from the stage of planning the exhibit. Given the general exhibit situation, although it aims at children, it is needed to reset the target of the children’s science museum because the exhibit content is not appropriate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 level or the curriculum. Also, the exhibit connective program will have to be develop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 of each age by resetting the exhibition target and subdividing that target further.|21세기의 과학은 글로벌 이슈인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개발하고 사회문제를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학교교육에서는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으며, 학교교육뿐만 아니라 학교밖 교육인 비형식 교육에서도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과학교육의 대표적 비형식 교육기관인 과학관에서는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과학관에서의 과학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전시물과 전시 공간의 연출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과학전시의 기획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과학 교과의 학업 성취는 높으나 정의적 측면에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연구 보고를 보았을 때, 어릴 때부터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키워주고 과학적 탐구방법을 접한다면 정의적 측면에서의 수준 역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비형식 교육기관인 과학관 중에서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어린이 과학관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과학전시물과 전시 공간의 연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과학관 과학전시물의 현황을 파악하고 전시 개선 모형을 개발‧제시하여 어린이 과학관의 전시기획에 있어 하나의 지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국내 과학관의 전시물과 전시 공간 연출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모범적인 전시 개선 모형은 무엇인가? 셋째, 이러한 개선된 전시모형을 통한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가장 먼저, 전시 평가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분석틀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문헌고찰을 통해 내용, 매체, 공간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시 평가 분석틀의 내용 측면에서는 전시물의 내용 구성과 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매체 측면에서는 전시 매체의 분류와 관람객이 매체를 접하는 형태를 활동으로 정의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공간 측면에서는 관람객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국내 어린이과학관의 전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석 대상을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어린이 전문 과학관인 I어린이과학관과 M어린이과학관 2곳과 종합과학관인 국립S과학관과 국립N과학관, 국립D과학관, 국립B과학관, 국립G과학관 내의 어린이관 5곳, 총 7곳을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인 어린이과학관에 방문하여 전시물 및 전시 공간을 사진과 비디오 촬영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각 어린이과학관의 전시물 및 전시 공간 전반에 대해 분석틀에 따라 전시 내용, 전시 매체, 전시 공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과학관에서의 효과적인 전시 연출에 대한 이상적이라고 판단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한 결과에서 전시 연출의 미비한 점에 대하여 이를 개선하면서 앞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전시 개선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분석틀을 통해 개발한 전시 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시 모형의 전시 연계프로그램을 분석틀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하고 2016년 11월 5일부터 27일까지 매주 주말 이틀 동안 총 8회에 걸쳐 국립광주과학관의 어린이관에 방문한 어린이관람객에게 적용하였다. 이는 그림평가지와 추가적인 면담을 통해 전시 모형의 적용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어린이과학관에서 ‘신체’를 전시 내용으로 한 전시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시 내용 측면에서 대부분 ‘관찰’의 방법을 통하여 ‘몸’에 관련한 소주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전시 매체 측면에서는 ‘설명적’ 매체를 통한 ‘관찰형’ 활동이 대부분이었으며, 전시 공간 측면에서는 직접적 공간 요소인 ‘설치물’ 요소에서 연계 수준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주변 사물’을 전시 내용으로 한 전시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시 내용 측면에서 대부분 ‘관찰’을 통한 ‘물체와 물질’에 관련된 소주제의 전시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전시 매체 측면에서는 ‘설명적’ 매체를 통한 ‘관찰형’ 활동이 대부분이었으며, 전시 공간 측면에서는 직접적 공간 요소인 ‘설치물’ 요소에서 연계 수준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자연 현상’을 전시 내용으로 한 전시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시 내용 측면에서 대부분 ‘관찰’을 통한 ‘생물’에 관련된 소주제의 전시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전시 매체 측면에서는 ‘설명적’ 매체를 통한 ‘관찰형’ 활동이 대부분이었으며, 전시 공간 측면에서는 직접적 공간 요소인 ‘설치물’ 요소와 간접적 공간 요소인 ‘색상’에서 연계 수준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국내 어린이과학관은 관찰과 설명적 매체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형태로 어린이관람객에게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연출이 간편한 공간 요소인 설치물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고 전시물의 배치가 주제와 연결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된다. 색상, 조명에 의한 전시관 전체의 분위기 조성이 효과적이지 않아 대체적으로 전시 내용 및 전체적인 스토리를 유추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국내 어린이과학관의 현황 분석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전시를 위한 개선방향을 모형으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전시 전반에 걸쳐 여행을 떠나는 느낌을 주도록 스토리텔링식의 전개가 진행되도록 하여 ‘신체’와 ‘자연 현상’, ‘주변 사물’에 대한 각각의 소주제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부가적으로 영유아와 보호자를 포함한 어린이관의 관람객을 위한 ‘영유아 놀이공간’을 별도의 공간으로 연출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어린이를 중심으로 한 효과적인 전시 개선 모형을 제안하기 위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관람대상에 맞춘 전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어린이의 발달 특성에 맞도록 텍스트보다는 이미지를 이용한 전시 매체를 활용하였으며, 전시 매체는 소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전시 매체를 활용하였다. 전시물의 배치는 전체적인 전시 스토리를 반영하여 이야기 형식으로 배치하고, 어린이관람객이 유추하기 쉬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소주제에 대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색상과 조명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전시 개선 모형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전시 연계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적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시 모형의 ‘거울’에 대한 전시물을 선정하고, 분석틀을 바탕으로 연출한 본 전시물의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어린이관람객의 그림평가지를 분석하여 전시 모형 적용 효과를 확인한 결과, ‘거울의 반사’에 대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시 내용이 정확히 전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가적인 면담을 통해 이러한 체험형 인터렉티브 매체가 어린이관람객의 호기심과 흥미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새로운 어린이과학관의 설립이나 현 어린이과학관의 개편에 있어 효과적인 전시 기획과 연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과 제언을 도출할 수 있다.
현재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국내 과학관의 수가 전체 과학관의 수에 비해 매우 적어 어린이 전문 과학관의 추가적인 설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주제를 전문적으로 한 어린이과학관의 설립을 제안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전시 기획을 하는 단계에서부터 과학전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전 과정에서 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전반적인 전시 현황을 파악했을 때 어린이를 관람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어린이의 발달수준이나 교육과정에 적합하지 않아 어린이과학관의 관람 대상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람 대상을 재설정하고 그 대상을 더욱 세분하여 각 연령별로 발달특성에 맞게 전시 연계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Quo of the Science Exhibits for Children and Suggesting Children-Centered Exhibit Improving Model
Alternative Author(s)
Jeong, Da-Hy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과학교육학과
Advisor
박영신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Ⅹ
국문초록 ⅩⅤ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21세기 과학교육 4
1. 과학교육의 목표와 과학적 소양 4
2. 과학관에서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8
B. 과학관 전시 12
1. 전시의 개념과 구성요소 12
2. 전시 목적에 부합하는 전시 매체 15
3. 전시 주제를 반영하는 전시 공간 23
C. 어린이를 위한 과학관 27
1. 어린이 특성을 반영하는 전시 내용 27
2. 어린이 과학관교육 32

Ⅲ. 연구 방법 36
A. 전시 평가 분석틀 개발 36
1. 방향 설정 36
a. 내용 37
b. 매체 37
c. 공간 38
2. 초안 구성과 수정 및 완성 38
B. 전시 현황 분석 45
1. 분석 대상 선정 45
2. 자료 수집 49
3. 자료 분석 49
C. 전시 모형 개발 52
1. 개발 절차 52
2. 분석 방법 55

Ⅳ. 연구결과 56
A. 국내 어린이과학관 전시 현황 분석 56
1. ‘신체’에 관한 전시 56
a. 어린이 전문 과학관 57
b. 종합과학관 내 어린이관 64
2. ‘주변 사물’에 관한 전시 98
a. 어린이 전문 과학관 98
b. 종합과학관 내 어린이관 109
3. ‘자연 현상’에 관한 전시 144
a. 어린이 전문 과학관 144
b. 종합과학관 내 어린이관 156
B. 전시 평가 분석틀에 근거한 전시 모형 개발 188
1. 전시 평가 분석틀에 근거한 전시 개선방향 188
a. ‘신체’에 관한 전시 188
b. ‘주변 사물’에 관한 전시 192
c. ‘자연 현상’에 관한 전시 194
2. 어린이 대상 전시 모형 제안 197
a. 이야기의 시작 – 내 몸을 알아볼까요? 200
b. 이야기의 진행 – 자연을 탐험해보아요 206
c. 이야기의 마무리 – 우리 집으로 돌아가요 216
d. 영유아 놀이공간 222
3. 전시 모형의 타당성 확보 225

Ⅴ. 결론 및 제언 237

참고문헌 242

부록 249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정다혜. (2016). 국내 어린이 대상 과학전시물의 현황 파악 및 전시 개선 모형 개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06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95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