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조형에 나타나는 이음의 상징적 표현 연구
- Author(s)
- 나수빈
- Issued Date
- 2016
- Keyword
- 이음
- Abstract
- 오늘 날 산업화의 발달로 현대 건축은 도시화를 가져왔으며 이로 인해 공동사회에서 개인주의로 변화함으로서 사회적 단절을 야기 시켜 소통의 부제로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건축에서 보여 지는 공간과 계단을 회화로 끌어들여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사회적 소통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시작점은 건축에서의 공간을 단편적으로 볼 때 바닥, 벽, 천장으로 구성된 닫힌 공간이며, 다른 공간과 서로 연결시키는 부제로서 계단, 문, 창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중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여 소통으로까지 이끌어낸 계단을 작품으로 끌어들임으로써 건축과 회화가 서로 공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사회의 단절과 소통을 건축과 회화가 예술이라는 공동분모를 가지고 서로 소통을 하고 있음을 이론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또한, 건축요소인 계단과 문, 창문의 본질적 의미를 바탕으로 이를 회화로 끌어들임으로서 연구자의 작품에서 나타난 공간과 계단의 상징적 표현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무수한 사각형들로 이루어져 있는 도시의 모습들은 기하학적 구조로서 표현되어지고 있다. 이는 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형태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들의 반복은 산업사회의 기계화 가져 온 대량생산에 대한 반영 및 개성을 중시하는 현 사회의 모습을 대변한 것이다.
둘째, 반복적 행위를 통한 중첩된 이미지는 급변하는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 것이다. 옛 것은 사라지고 잊혀져간다. 그리고 유행에는 민감하며 새로운 것만을 추구하는 사회의 현상들이 도시의 건축 또한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시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표현하기 위해 중첩의 효과를 활용하였다.
셋째, 수많은 반복된 선을 통해 만들어진 면들의 집합으로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곧 건축요소들의 집합으로 하나의 건축을 만들어내는 것과 상통하다고 말할 수 있다. 하나의 선이 면을 만들어낼 수 없고 하나의 면이 공간을 형성할 수 없듯이 다양한 건축과 인간을 바탕으로 사회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 과정 속에서 생겨나는 문제들을 재료가 가지고 있는 속성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넷째, 건축요소 중 문과 창문의 건축도면기호를 통해 소통에 대한 내용을 단편적으로 나타냈다. 기호는 개념적이고, 상징적이며, 체계적이다. 또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건축도면기호를 통해 소통의 개념과 사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과 공간 조형이 가진 이음의 상징적 표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회적 단절이 가져 온 소통의 부제를 본 연구자는 유(柔)적인 표현의 작품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로 얻어진 건축과 회화가 융화의 관계를 갖고 있음에 본 연구자의 작품 활동을 통해 사회 내에서 진정으로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며, 기존의 연구를 답습하는 것이 아닌 자기 개발과 본 연구자만의 표현방법을 체계화하고 확립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symbolic expression of connections in formative space
- Alternative Author(s)
- Na Su bi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 Advisor
- 조윤성
- Awarded Date
- 2017-02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방법 2
Ⅱ. 예술에서의 회화와 건축 3
1. 회화와 건축 3
1) 회화와 건축의 관계 3
2) 건축에 나타난 회화 3
2. 회화에 나타난 건축 13
Ⅲ. 공간조형과 이음의 상징적 표현 23
1. 건축요소의 상징적 의미 23
1) 계단 23
2) 문과 창문 27
2. 공간조형의 이음이 주는 상징적 의미 29
1) 공간의 회화적 의미 29
2) 이음의 상징적 표현 29
Ⅳ. 본인작품에 나타난 이음의 표현 32
1. 기하학적 구조의 다양성 32
2. 반복적 행위로서의 중첩 36
3. 선이 만들어낸 면 40
4. 건축기호와의 연계성 43
Ⅴ. 결론 47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Citation
- 나수빈. (2016). 공간조형에 나타나는 이음의 상징적 표현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05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941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