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Author(s)
- 김혁주
- Issued Date
- 2016
- Abstract
- This is a research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mediation effect of personal factors and gender regul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practical aspect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adolescents in a theoretical aspec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social support among adolescents' environment lay a partial in the affect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 factors consist of parent-support, peer-support and teacher-support. Among these factors, parent-support doesn't have an effect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but peer and teacher support is shown to have some positive effect on their well-being.
Second, it was also shown that adolescents' personal factors can influenc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an ability to cope with stress were selected as the main factors to affect adolesc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of these personal factors affect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ffects it.
Third, in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ersonal factors, parent, peer and teacher support all have an influence on adolescents' self-esteem.
Fourth, by examining mediation effects with person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doesn't have any effect on mediation.
Fifth, it was found that gender doesn't have any regul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are significances of this research.
First, this has meaning in a theoretical aspect. Even though everyone is seeking happiness, and studies about this are being done active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dolescents' happiness. Considering th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adolescents' happiness on the basis of measuring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indicator to measure happiness is regarded as accurate research on theoretical aspects.
Second, this has a significance in a practical aspect. It suggests useful implications on how to promote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identifying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ffecting it.
Third, this has a importance on a political aspect. At present, supporting systems for youth is very inadequate, so most support structures are mainly educational or post research approaches to youths who are experiencing problems. We need to propare for multiple improvements so as to suggest strengthening support exsisting and future systems.
|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개인특성들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실천적 관점에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규명하고 이론적 측면에서 청소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환경 변인중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부모지지와 또래지지, 교사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모지지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또래지지와 교사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의 개인특성 변인들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개인특성적 변인들 중 주요 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개인 특성적 변인들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와 개인 특성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 부모지지, 또래지지, 교사지지 모두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별은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모든 사람이 행복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행복을 측정하는 지표로서의 심리적 안녕감 측정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은 이론적 측면에서 시의 적절한 연구로 판단된다.
둘째, 실천적 측면에서의 의의를 가진다.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관계 규명을 통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셋째, 정책적 측면에서의 의의를 가진다. 소년에 대한 지원체계가 매우 미흡한 실정으로서 대부분의 지원이 학습지원이나 문제가 발생한 청소년에 대한 사후적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지원체계에 대한 다각적인 개선안 마련이 필요하다.
- Alternative Title
- The Impacts of Social Support up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 Alternative Author(s)
- Kim, Hyeok-Ju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Advisor
- 박희서
- Awarded Date
- 2016-02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1
제1절 연구목적------------------------------------------------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3
1. 연구범위-------------------------------------------------3
2. 연구방법과 내용-------------------------------------------4
제 2 장 이론적 배경--------------------------------------------7
제1절 심리적 안녕감--------------------------------------------7
1. 행복에 대한 관점------------------------------------------7
2. 심리적 안녕감--------------------------------------------8
제2절 사회적 지지---------------------------------------------12
1. 부모지지------------------------------------------------14
2. 또래지지-------------------------------------------------15
3. 교사지지------------------------------------------------17
제3절 개인특성-----------------------------------------------19
1. 자아존중감----------------------------------------------19
2. 대인관계능력--------------------------------------------22
3. 스트레스 대처능력----------------------------------------25
제4절 선행연구 고찰-------------------------------------------28
1.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29
2. 개인특성과 심리적 안녕감----------------------------------32
3. 사회적 지지와 개인특성------------------------------------33
제 3 장 연구모형의 정립 및 가설의 설정----------------------------37
제1절 변수의 선정---------------------------------------------37
제2절 연구모형의 정립------------------------------------------38
제3절 가설의 설정---------------------------------------------39
제4절 변수의 조작화 및 측정 ------------------------------------41
1. 사회적지지---------------------------------------------41
2. 개인특성----------------------------------------------44
3. 심리적 안녕감 ------------------------------------------47
제 4 장 실증 분석---------------------------------------------49
제1절 표본의 추출 및 특성--------------------------------------49
1. 표본의 추출 --------------------------------------------49
2. 표본의 특성---------------------------------------------50
제2절 측정도구의 검증-----------------------------------------51
1. 타당도 검증---------------------------------------------51
2. 신뢰도 분석---------------------------------------------55
제3절 변수의 기술적 통계---------------------------------------56
1. 단일변수의 분석-----------------------------------------56
2. 변수의 특성별 차이분석------------------------------------57
제4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검증-----------------------------------60
1.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61
2. 매개효과 검증-----------------------------------------63
3. 조절효과 검증----------------------------------------77
제5절 분석결과의 논의-----------------------------------------101
1. 기술통계의 분석결과------------------------------------101
2. 가설검증 결과-----------------------------------------103
제 5 장 결론------------------------------------------------107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107
제2절 연구의 의의 -------------------------------------------110
제3절 향후 연구방향------------------------------------------112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김혁주. (2016).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70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360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6-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