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승규
Issued Date
2016
Abstract
최근에 조직구성원의 긍정적 심리상태의 보유를 통한 조직유효성의 확보방안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심리적 자본은 인적자원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심리적 자본과 관련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심리적 자본이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심리적 자본의 효과성에 초점을 두고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사회복지분야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에 대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찾아보기가 어려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심리적 자본과 관련하여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봄으로써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긍정적 심리수준을 제고시켜 주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먼저, 심리적 자본과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순차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심리적 자본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그에 따른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둘째,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사용하여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태도, 그리고 조직시민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로는 심리적 자본을, 매개변수로는 직무태도를, 종속변수로는 조직시민행동을 선정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위해서 광주광역시 5개 자치구 본청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결과와 관련하여, 첫째,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심리적 자본의 구성요인인 낙관성, 회복력, 자기효능감, 희망의 순으로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둘째, 심리적 자본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심리적 자본의 구성요인인 낙관성, 희망, 자기효능감, 회복력의 순으로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셋째,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는 직무만족이 조직몰입보다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넷째,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는 심리적 자본의 구성요인인 회복력, 낙관성, 자기효능감, 희망의 순으로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태도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직무태도의 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과 관련하여,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이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심리적 자본과 관련하여 사용한 변수들을 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선행연구를 확대하였다는 점. 둘째,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심리적 자본에 대한 연구의 다양화를 시도하였다는 점. 셋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의 수준이 높으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수준도 높아진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는 점. 넷째, 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의 수준이 높으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의 수준도 높아진다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뒷받침하였다는 점. 다섯째, 이 연구는 그동안 심리적 자본과 관련하여 사용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증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분야에서도 심리적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심리적 자본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차원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심리적 자본의 수준을 유지하고 높여주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본격적인 논의가 진행되어야 하며,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리적 자본에 의한 직무태도의 수준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 셋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심리적 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문화의 형성과 소속부서에서의 학습동아리 활동의 활성화를 제시하였으며, 넷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담당직무에 대한 높은 열정과 조직에의 소속감과 헌신적인 행동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자본이라는 무형적 자산에 대한 가치가 강조되어야 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Public Social Worker's Psychological Resource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Job Attitude
Alternative Author(s)
Lee Seung Ky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이민창
Awarded Date
2016-02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1. 연구범위 4
2. 연구방법 5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사회복지전담공무원 7
1.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과 의의 7
2.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체계와 현황 9

제2절 심리적 자본 14
1. 심리적 자본의 의의 14
2. 심리적 자본의 구성요소 17

제3절 직무태도 20
1. 직무태도의 의의 20
2. 직무태도의 구성요소 21

제4절 조직시민행동 31
1. 조직시민행동의 의의 31
2.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소 35

제5절 선행연구의 고찰 36
1. 심리적 자본과 직무태도 36
2.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 41
3.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 43
4. 심리적 자본 및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44
5. 선행연구의 평가 47

제3장 연구설계 49

제1절 연구모형의 정립과 가설의 설정 49
1. 연구모형의 정립 49
2. 가설의 설정 50

제2절 변수의 조작화 및 측정 54
1. 변수의 조작화 54
2. 설문의 구성과 측정 58

제3절 자료의 수집과 분석 60
1. 자료의 수집 60
2. 자료의 분석 61

제4장 실증분석 63

제1절 측정도구 검증 63
1. 타당도 분석 63
2. 신뢰도 분석 66

제2절 기술통계 67
1. 변수의 기술통계 67
2.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분석 71
3. 상관관계 분석 87

제3절 가설의 검증 89
1. 심리적 자본과 직무태도와의 관계 89
2.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92
3. 심리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93
4. 매개효과 검증 95

제4절 분석결과의 논의 103
1.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103
2. 가설검증 결과 105

제5장 결 론 107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07
제2절 연구결과 시사점 110
1. 이론적 시사점 110
2. 정책적 시사점 111

제3절 향후 연구방향 114

참 고 문 헌 116
부록: 설문지 128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승규. (2016).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70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35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