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모델에서 Dendropanax morbifera 추출물의 상처 치유 효과
- Author(s)
- 유영선
- Issued Date
- 2015
- Abstract
- 동물모델에서 Dendropanax morbifera
추출물의 상처 치유 효과
Wound-healing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s
in animal models
유영선
지도교수 : 김권천 M.D., Ph.D.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PGE2는 상처치유의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져 있는데 NAD+ 의존 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15-PGDH)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에 15-PGDH 억제제는 PGE2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는 우리나라의 남부 해안지역과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최근 황칠나무 헥산 추출물(Dendropanax morbifera hexane extracts, DMHE)이 15-PGDH를 억제하여 PGE2를 증가시키고 in vitro에서 상처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아직 상처치유에 대한 DMHE의 동물 모델에서의 결과는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동물모델에서 DMHE의 상처치유 효과를 연구하였다.
마우스에서 급성상처와 만성상처를 재현할 수 있는 피부전층 상처모델과 하지하혈 마우스에서 발 상처 모델을 만들어 실험했다. 피부전층 상처모델은 마우스의 등에 5 mm 직경의 원형상처를 유발하고 대조군, TGF-β1 20 ng/day 군, DMHE 16.5 μg/day 군, DMHE 66 μg/day 군의 네 가지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약물을 일주일 동안 매일 처리했다. 상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고 그 비율을 상처치유 효능을 구했다. 하지허혈 마우스에서의 발 상처 모델을 만들기 위해 마우스의 좌측 대퇴동맥의 근위부와 원위부를 결찰하고 발등에 2x5 mm의 상처를 유발했다. 마우스는 연고 대조군, 3% Centella Asiatica 연고 투여군, 3% DMHE 연고 투여군, 경구 대조군, 1mg/mL/kg DMHE 경구 투여군, 10 mg/mL/kg DMHE 경구 투여군으로 나누고 각각을 1주일 동안 처리했다. 분자 수준에서 상처치유에 대한 DMHE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4주째 발 상처조직과 하지의 반박양근과 비장근을 채취하고 상처치유 및 혈관신생과 관련된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A (VEGF-A), CD 31, α-smooth muscle actin (α-SMA), 15-PGDH의 mRNA 발현 확인을 real-time PC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피부전층 상처모델에서 DMHE를 16.5 μg으로 처리한 경우 상처간 거리는 2.02 mm으로 59.5%가 치유되었고, 66 μg을 처리한 경우에는 0.13 mm로서 97.4%의 치유력을 보여 주었다. DMHE 66 μg/day 군에서 음성 및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198%와 148%의 향상된 상처 치유 효능을 보였다. 정상 상처에서 3% DMHE 연고투여가 2주째 98%의 상처 치유능으로 다른 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 (p=0.040) 허혈 상처에서 연고치료는 각 치료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허혈 상처에서는 DMHE 10 mg/mL/kg 경구치료 군에서 90.7%의 상처 치유능을 보였으며, 다른 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처치유 효과를 보였다 (p=0.025). Real time PCR 결과, 경구와 국소 DMHE 투여 후 상처와 하지근육 모두에서 상처치유에 관계하는 CTGF의 발현은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VEGF-A, CD31, α-SMA, 15-PGDH의 발현양상과 상처치유와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DMHE가 마우스의 피부 전증 상처모델과 하지허혈 발 상처모델에서 상처 치유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하지허혈 발 상처 모델에서 정상 상처는 DMHE 연고치료가, 허혈 상처는 DMHE 경구치료가 상처치유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DMHE 투여 후 상처치유에 CTGF의 과발현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DMHE는 허혈성 상처에서는 국소보다는 경구투여 또는 국소와 경구 투여를 병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Alternative Title
- Wound-healing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s in animal models
- Alternative Author(s)
- Yoo Young Su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의학과
- Advisor
- 김권천
-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List of Tables.......................................................I
List of Figures......................................................II
Abstract.............................................................IV
I. Introduction...................................................... 1 1. Ischemic ulcers caused by peripheral arterial diseases.......... 1 2. Diabetic ulcers................................................. 2 3. Wound-healing................................................... 2 4. Wound-healing models............................................ 3 5. The present state of wound-healing adjuvant therapy studies.. 4 6. PGE2-related studies of wound-healing are necessary..............5 7.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6II. Materials and methods............................................ 9 1. Preperation of the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 9 (1) Extracts..................................................... 9 (2) Fractionation and separation process......................... 9 2. In vivo wound-healing effect....................................10 3. Foot wound-healing in a mouse model of hind-limb ischemia.......10 4. Quantitative real-time PCR......................................12 5. Statistical analysis............................................12 III. Results.........................................................14 1. The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14 2. Wound-healing in the full-thickness wound mouse model...........14 3. Wound-healing of foot wounds in a mouse model of hind-limb ischemia........................................................14 4.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gene expression affecting wound-healing...................................................15 IV. Discussion......................................................17 V. Summary and conclusions..........................................24Tables...............................................................26Figures..............................................................33References...........................................................51Acknowledgement......................................................61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유영선. (2015). 동물모델에서 Dendropanax morbifera 추출물의 상처 치유 효과.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39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666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5-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