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부탄 교사의 분산적 지도성 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타시 켈쟝
Issued Date
2014
Abstract
부탄 교사의 분산적 지도성 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
켈장타시
지도교수 : 송경오
교육학과
조선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부탄 학교에서 교사들의 분산적 지도성 수준을 분산적 지도성의 네가지 관점 하에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 성별, 경험, 자격, 학교 유형, 학교 위치에 따른 교사들의 분산적 지도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 더 나아가 분산적 리더십 수준을 교사와 학교 변수 차이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앨모어에 의해 만들어지고 고든에 의해 수정된 분산적 지도성 준비성 척도를 활용하여 무작위로 선정한 44개 학교 131명의 부탄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분산적 지도성의 네 가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부탄 교사들의 분산적 지도성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2) 부탄교사들의 분산적 지도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성별,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부탄교사들의 분산적 지도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학교유형,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부탄교사들의 분산적 지도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교사개인 및 학교배경변수와 관련이 있는가?
전체적인 연구결과는 부탄 교사들이 비전, 공유된 책임이라는 학교문화 그리고 리더십행위라는 네 가지 차원에 모두 참여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공유된 책임 영역에서 부탄교사들
의 참여가 최대 수준이었으며 지도성 행위에서 부탄교사들의 참여가 가장 낮았다. 공유된 책임은 큰 효과를 내기 위한 중요한 토대이며 부탄 교사들은 공유된 책임에서 가장 많이 참여
하였고 그 다음으로 학교 문화, 임무, 비전과 목표와 리더십 행위 순으로 참여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남자 교사와 교육 경력 20년 이상의 부탄교사들에게서 더 높은 수준의 지도성 역할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도 지도자로 보여졌다. 한편,다른 많은 장애물 중에서 자원, 시간 그리고 기회가 분산적 지도성 행위에 충실히 참여하는것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등학교 교사들이 낮은 단계의 초등학교, 높은 단계의 초등학교, 중학교 교사들보다 분산적 지도성 행위에 더욱 참여하고 있었다. PGDE
(Diploma in Education) 교사는 리더십 임무, 비전과 목표에 높은 참여를 하여 분산적 지도성 모델을 만드는데 그 토대를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탄 중소 도시의 학교 교사들이 리더십 임무, 비전과 목표, 학교 문화와 리더십 행위 등의 분산적 지도성 요소에 더 높은 참여를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통계적으로 성별과 리더십 임무, 비전과 목표, 리더십 행위 사이에 긍정적인 연관성이 나타난 반면, 응답자의 성별과 공유된 책임감, 학교 문화 사이에서는 긍정적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유사하게도 교사의 자격, 경력, 학교 위치, 학교 유형과 리더십 임무, 비전과 목표 사이엔 강한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었지만 다른 세 가지 차원의 분산적 지도성 요소와는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시간과 자원의 제약을 이겨내고 지도성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들을 창조해내는 것이 교사들이 분산된 지도성 행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부탄 학교에서의 지도성 발전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고 부탄 학교에서 더욱 효과적인 지도성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engagement in distributed leadership in Bhutanese schools
Alternative Author(s)
Kelzang Tashi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송경오
Awarded Date
2014-08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1
a. Problem Statement............................................................................................. .......................3
b. Purpose of the Study.................................................................................................................5
c. Research Questions........................................................................................................... ........5
d. Significance of the Study..........................................................................................................6
e. Document Organization and Content........................................................................................7
f. Limitations…………….………………………………………………………………………7
II. LITERATURE REVIEW............................................................................... .............................9
A. Review of the research on Distributed Leadership……………………………………...…….9
1. Definition of Leadership.............................................................................................................9
2. Types of Leadership.......................................................................................................... ........10
a. Instructional Leadership………………………………………................................................10
b. Situational Leadership........................................................................................ .......................11
c. Servant Leadership ……………………....................................................................................11
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12
e. Transactional Leadership............................................................................................................13
f. Sustainable Leadership………………………………………………………...........................13
3. Distributed Leadership………………………………………………………...........................14
a. Concep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14
b. Importance of Distributed Leadership………………………………………….....……………17
c. Dimensions of Distributed Leadership………………………………………............................22
4. Distributed Leadership in Bhutanese Schools……….................................................................25
1. Bhutanese Education System.…………………………………………………………………..25
2. Importance of Distributed Leadership in Bhutanese schools………….………………………..28
III. METHODS………........................................................................................................................30
A. Data...................................................................................................................... .........................30
B. Instrumention......................................................................................................... ........................34
C. Statistical Analysis............................................................................................................. ............37
D. Ethical Consideration............................................................................................ .........................38
IV. RESULTS……………………………….......................................................................................39
A. Descriptive Statistics............................................................................................... .......................39
B. Results of the group difference test by teacher variables……….…………….…………….........44
C. Results of the group difference test by school variables……..……………….…………….........49
D.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 teacher and school variables…………............52
E. Discussion of Findings……………………………………………………………………………54
V. SUMMARY AND CONCLUSIONS...............................................................................................63
A. Summary…………………………………………………………………….……………….........63
B. Conclusions…………………………………………………….………….…………………........67
C.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68
REFERENCES............................................................................................................. ..................................70
Appendices................................................................................................................... ..................................77
Appendix A: Distributed Leadership Questionnaire .....................................................................................77
Appendix B: Permission for Use of DLRS…………………………………….............................................81
Appendix C: Permiss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Bhutan………………………………………….82
Appendix D: Email Correspondence to Participating Teachers......................................................................83
Appendix E: Statement of Consent…………………………………………………………………………..8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타시 켈쟝. (2014). 부탄 교사의 분산적 지도성 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26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7627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4-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