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드롭랜딩 시 발목 테이핑 유형이 하지의 운동역학적 변인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홍완기
Issued Date
2013
Abstract
ABSTRACT

An Effect of Ankle Taping on the Kinetic Variables of Lower Limbs and Excercise Performance Ability During Drop Landing

Hong Wan-Ki
Advisor : Prof. Kyung-Il Lee Ph.D.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ariation of the kinetic variables of Lower limbs depending on taping type during drop-landing and comparatively analyze the jump performance so as to analyze the effect of taping on injury preven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 male basketball players with stable ankle joints. They performed drop-landing motions in conjunction with 3 taping types: C-type(inelastic tapping), K-type(elastic taping) and N-taping(without taping). To exclude the learning effect from repetitive motion, test was performed over three days. To calculate kinematic variables, the data obtained by using 6 infrared cameras, force plate and the electromyogram data through Kwon3D XP and Myoresearch; the data calculated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hrough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 final data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aping for the players with stable ankles was minimal and the high load on ankle joints offset the fixing effect of inelastic taping. Thus the inelastic taping for the players with stable ankles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control of dorsal flexion during one-foot landing.

Second, increasing angular velocity by increasing the movable range of knee joints disperses impact forces, yet inelastic taping restricted the range of knee joint motion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d angular velocity, adding to a negative effect on knee joints.

Third, inelastic taping induced inefficient motion of Lower limbs and unstable impact force control of ankle joints at the moment of landing and produced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which led to an increase of load.

Fourth, inelastic ankle taping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aximum vertical jump height, yet increased knee joint power.

Finally, the coordination between angular velocity and joint movement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aping. For stabling landing dispersing external impact force delivered to knee joints, taping treatment should be avoided.

Sixth, knee joint moment and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showed stabling landing in the range of joint mo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yet inelastic taping did not show a correlation, resulting in inefficient landing motion.

Seventh, the effect of the kinematic variables of ankle joints on the kinematic variables of knee joint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aping, indicating inelastic ankle taping had a negative effect on knee joints.
Eighth, the inefficient motion of Lower limbs because of inelastic ankle taping has increased knee joint momentum.
Alternative Title
An Effect of Ankle Taping on the Kinetic Variables of Lower Limbs and Excercise Performance Ability During Drop Landing
Alternative Author(s)
honfg wan ki
Affiliation
체육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이경일
Awarded Date
2014-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의 가설 4
D. 연구의 제한점 5
E.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테이핑 8
B. 무릎․발목관절 상해 9
C. 착지(Drop landing) 12
D. 최대수직점프 14
E. 선행연구 15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대상자 18
B. 실험도구 19
C. 실험절차 21
D. 분석국면 24
E. 자료분석 25

Ⅳ. 연구 결과 31
A. 발목관절의 운동학적 및 근전도 변인 31
B. 무릎관절의 운동역학적 및 근전도 변인 33
C. 테이핑 유형별 부하율과 최대지면반력 35
D. 운동수행 능력 37
E. 테이핑 유형에 따른 발목관절 변인과 무릎관절 변인과의 관계 39
F. 테이핑 유형이 무릎관절모멘트에 미치는 영향 분석 42

Ⅴ. 논 의 44
A. 발목관절의 운동학적 및 근전도 변인 44
B. 무릎관절의 운동역학적 및 근전도 변인 45
C. 테이핑 유형별 부하율과 최대지면반력 47
D. 운동수행 능력 49
E. 테이핑 유형에 따른 발목관절 변인과 무릎관절 변인과의 관계 50
F. 테이핑 유형이 무릎관절모멘트에 미치는 차이 분석 52

Ⅵ. 결론 및 제언 54
A. 결 론 54
B. 제 언 55

참고문헌 56



표 목 차


표 Ⅲ-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표 Ⅲ-2. 연구 도구 19
표 Ⅳ-1. 테이핑 유형에 따른 발목관절의 운동학적 및 근전도 차이 31
표 Ⅳ-2. 테이핑 유형에 따른 무릎관절의 운동역학적 및 근전도 차이 33
표 Ⅳ-3. 테이핑 유형에 따른 부하율과 최대지면반력 차이 35
표 Ⅳ-4. 테이핑 유형에 따른 운동수행능력 차이 37
표 Ⅳ-5. C-type 상관관계 39
표 Ⅳ-6. K-type 상관관계 40
표 Ⅳ-7. Non-taping 상관관계 41
표 Ⅳ-8. 테이핑 유형에 따른 무릎모멘트와 독립변인간 상관관계 42
표 Ⅳ-9. K-type의 회귀분석 43
표 Ⅳ-10. N-taping의 회귀분석 43





그 림 목 차


그림 Ⅱ-1. 무릎의 구조 및 인대 조직 9
그림 Ⅱ-2. 전방십자인대 파열 10
그림 Ⅱ-3. 후방십자인대 파열 11
그림 Ⅲ-1. 실험장비 배치도 19
그림 Ⅲ-2. 비탄력 테이핑 22
그림 Ⅲ-3. 탄력 테이핑 22
그림 Ⅲ-4. static trial 23
그림 Ⅲ-5. 마커부착 표시점 23
그림 Ⅲ-6. 양손 교차 23
그림 Ⅲ-7. 수직점프 준비자세 23
그림 Ⅲ-8. 분석 국면 24
그림 Ⅲ-9. 자료처리 흐름도 25
그림 Ⅲ-10. 고관절 중심점 26
그림 Ⅲ-11. 슬관절 중심점 26
그림 Ⅲ-12. 인체분절 좌표계 27
그림 Ⅳ-1. 발목관절 각도변화 차이 32
그림 Ⅳ-2. 발목관절 각속도 차이 32
그림 Ⅳ-3. 발목관절 최대 굴곡각 차이 32
그림 Ⅳ-4. 비복근 근활성도 차이 32
그림 Ⅳ-5. 무릎관절 최대 굴곡각 차이 34
그림 Ⅳ-6. 무릎관절 최대 각속도 차이 34
그림 Ⅳ-7. 대퇴회전각 변화량 차이 34
그림 Ⅳ-8. 무릎관절 굴곡모멘트 차이 34
그림 Ⅳ-9. 대퇴직근 근활성도 차이 34
그림 Ⅳ-10. 착지 시 비복근/대퇴직근 근활성비 34
그림 Ⅳ-11. 부하율 차이 36
그림 Ⅳ-12. 좌우 최대지면반력차이 36
그림 Ⅳ-13. 전후 최대지면반력차이 36
그림 Ⅳ-14. 수직 최대지면반력차이 36
그림 Ⅳ-15. 수직 최대지면반력차이 38
그림 Ⅳ-16. 최대수직높이 차이 38
그림 Ⅳ-17. 무릎관절 파워 차이 38
그림 Ⅳ-18. 비복근/대퇴직근 근활성비 38
그림 Ⅴ-1. 테이핑 유형에 따른 무릎관절모멘트 변화 양상 46
그림 Ⅴ-2. 테이핑 유형에 따른 수직지면반력 변화 양상 48
그림 Ⅴ-3. 테이핑 유형에 따른 무릎파워 변화 양상 5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홍완기. (2013). 드롭랜딩 시 발목 테이핑 유형이 하지의 운동역학적 변인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192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26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4-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