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환경조형물의 사회적 자본으로서 가치 재구성과 미술교육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Author(s)
- 이은래
- Issued Date
- 2013
- Abstract
- ABSTRACT
A Research on Restructuring Social Capital and Utilizing
Art Education in Urban Environment Sculpture
Lee Eun-Lae
Advisor : Prof. Cho-Eui Hyun Ph.D.
Major in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environmental modelling as a social asset and its educational value,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Students in adolescence hav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urban environment and think of the environment they live in through public ar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life. Environmental modelling is a sculptural work of art an entire society shares, and can enhance social communication and a sense of belonging to the society they live in. Such environmental modelling has educational effects on the harmony of cities with art, consolidation of social networks, and promotion of observational skills, thinking power, institutions, imagination, expression, creativity, aesthetic sense, and emotion. Environmental modelling affects the urban living environment beyond its installation for the simple purposes of ornamentation and beautification. Therefore, art education using this can release the emotional anxiety from the dull living spaces of modern people, help form social networks and enhance citizen's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a community.
Art education using environmental modelling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eriod. This study suggested that ar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eriod based on the curriculum and objectives. Specifically,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3 and 4 should guide them to observe objects around them while achievement goals relating to modelling and how to express it. They observe natural and artificial things using diverse physical senses and say what they feel about them for achievements as an educational goal.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5 and 6 should encourage them to think about making intentions and objectives. As environmental modelling inherently contains the intention of those who made it, this period should focus on how the intention of expression is applied to modelling.
In middle school, art education should focus on how modelling harmonizes with societ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means that ar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harmony betwee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bjects.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period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art, that is, the artistic expression and social communication environmental modeling that a visual language has. That is, students have to understand the diversity in the functions of art, analyse and interpret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objects to appreciate diverse viewpoints, and understand them in the contexts of history,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lso, art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original functions of environmental modelling such as creating a better and more practical urban appearance and the expansion of social assets. It is expected that diverse environmental modelling works and further support for them will be prepared.
- Alternative Title
- A Research on Restructuring Social Capital and Utilizing
- Alternative Author(s)
- Lee Eun-Lae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 Advisor
- 조 의 현
- Awarded Date
- 2014-02
- Table Of Contents
- 목 차
ABSTRACT
I. 서 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대상 및 구성 5
II. 이론적 배경 6
1. 환경조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 6
1) 환경조형의 개념 6
2) 환경조형의 기능 및 특징 8
3) 환경조형의 영역 13
2. 환경조형의 형성과 지원제도 19
1) 환경조형의 형성 19
2) 환경조형 지원관련 제도 35
3. 사회적 자본의 이론적 고찰 47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47
2) 사회적 자본의 특성 52
3) 사회적 자본의 기능 54
4)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58
III.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환경조형 62
1. 도시공간에서의 사회자본 창출 62
2. 환경조형 사회적 자본속성 70
3.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환경조형 활용의 선행조건과 방향 80
1) 시민사회의 접근 81
2) 정부조직의 접근 82
IV. 결론을 위한 논의 85
1. 환경조형을 위한 수업계획의 방향 85
2. 환경조형 활용의 교육의 주안점 88
3. 환경조형을 이용한 미술교육방안 90
V. 결론 및 제언 96
1. 연구 결과 요약 96
2. 시사점 98
3. 연구의 한계점 99
참고문헌 100
표 목 차
(표 1) 환경조형의 기능 11
(표 2) 한국·미국·프랑스에서 환경조형 관련 정책의 차이 47
(표 3) 사회적 자본에 대한 주요 정의 51
(표 4) 사회적 자본의 특성 54
(표 5) 사회적 자본의 기능 57
(표 6)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 61
(표 7) 초등학생, 중학생의 미술교육내용 92
(표 8) 고등학생, 미술교육내용 93
(표 9) 환경조형물을 활용한 미술교육계획 95
그 림 목 차
(그림 1) 논문의 구성 5
(그림 2) 자유의 여신상 14
(그림 3) 조형의자 사례 15
(그림 4) 경기도 화성 메타폴리스몰 분수대 16
(그림 5) 다양한 형태의 미끄럼틀 조형물 17
(그림 6) 로셀의 비너스 20
(그림 7) 강화 부근리 고인돌 21
(그림 8) 이집트의 스핑크스 22
(그림 9)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 23
(그림 10) 로마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개선문’ 24
(그림 11) 투라이아누스 황제 원주 전경 25
(그림 12) 트라이아누스 원주 부분 25
(그림 13) 미켈란젤로 ‘다비드상’ 27
(그림 14) 베르니니 ‘네 강의 분수’ 28
(그림 15) 로댕의 지옥의 문 29
(그림 16) 움베르토 보치오니 ‘공간 속에서 연속되는 특이한 형태’ 31
(그림 17) 콘스탄틴 브랑쿠시 ‘입맞춤’ 32
(그림 18) 신라시대 ‘다보탑’ 34
(그림 19) 백제 무녕왕릉 석수 34
(그림 20) 미술 전시기관 증가추이(1900-1979) 40
(그림 21) 조나단 브롭스키의 ‘망치질 하는 사람’ (서울, 흥국생명 사옥) 72
(그림 22) 이순신 장군 동상(광화문) 73
(그림 23) 니콜라 살비의 ‘트레비의 분수’ - 로마 75
(그림 24) 밀레니엄타임(목동 주상복합 파라곤 앞) 76
(그림 25) The Space(정대현) 77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이은래. (2013). 도시환경조형물의 사회적 자본으로서 가치 재구성과 미술교육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192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265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4-02-2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