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성인 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저녁동반식사와의 관련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인아
Issued Date
2020
Abstract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년)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여성 2,963명을 대상으로 우울 경험 여부와 저녁동반식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카이제곱 검정,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순 분석에서 우울경험군의 저녁동반식사율은 64.2%로 우울 비경험군의 74.3%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그러나 가구원 수, 음주 여부, 나이, 결혼 여부, 가구소득, 교육수준, 직업, 걷기실천, 만성질환 유무, 스트레스 인지 등의 변수를 통제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우울 경험군의 저녁동반식사 교차비는 0.97(95% CI: 0.72-1.30)로 비경험군에 비해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우울증을 경험한 성인여성의 저녁동반식사율이 낮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 대상을 확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성인 우울 경험 여성에 대한 적절한 식생활 관리와 대인관계의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dult wome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experience and evening meal for 2,963 adult women over 19 years of age using data from the 7th year (2017)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ver. 25.0) statistical progra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 <0.05.

Results: In the simple analysis, the evening meal in the depressed group was 64.2%,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74.3% in the depressed group (p <0.001). However, the results of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ch controlled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lcohol consumption,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occupation, walking practice, chronic disease, and cognition of stress, 0.97 (95% CI: 0.72-1.30), which was lower than the inexperienced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at the evening meal rate of adult women who experienced depression was low.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and the scope of future research and effective management for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ietary management for women with adult depression should be achieved.
Alternative Titl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Experience and Eating Dinner Together in Adult Women
Alternative Author(s)
Lee-Ina
Department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박종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 목 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A.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B. 이용 변수
1. 일반적 특성
2. 건강행태 및 질병특성
3. 저녁식사 동반 여부
4. 정신건강 특성
C.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포
1. 일반적 특성
2. 건강행태 및 질병특성
3. 저녁식사 동반
4. 정신건강 특성
B.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저녁식사 동반 여부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저녁식사 동반 여부
2. 건강행태 및 질병특성에 따른 저녁식사 동반 여부
3. 정신건강 특성에 따른 저녁식사 동반 여부
C. 저녁식사 동반 영향요인
Ⅳ.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Citation
이인아. (2020). 성인 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저녁동반식사와의 관련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14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5218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Parmacy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