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북한이탈가정 어린이와 남한 어린이의 성장과 영양상태 비교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경애
Issued Date
2020
Keyword
Displaced North Korean South Korea Growth Nutrition Quotient.
Abstract
연구배경(Background): 남한으로 유입되는 탈북민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입국이후 탈북자 가정의 어린이들의 영양 상태나 성장에 대한 지속적 연구는 극히 드물다. 이 연구는 11~13세 사이의 북한이탈 가정의 초등학생과 남한 가정의 초등학생의 성장과 영양 상태를 비교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연구방법(Methods): 연구결과에 사용된 자료는 11~13세의 탈북자 가정과 남한 가정의 어린이 3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이다. 101명의 탈북 가정의 어린이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인터뷰및 신체계측은 “지역하나센터”와 NGO를 통해 얻어졌다. 비교군인 294명의 남한가정의 어린이들에 대한 자료는 동 연령의 광주와 울산소재의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통해 얻어졌다. 설문지에는 어린이의 식습관과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어린이 건강영양조사(NQ)가 포함되었다.

연구결과(Result): 체질량지수는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키는 남한 어린이가 북한이탈 가정 어린이에 비해 컸고(146.9±9.3 vs 140.8±10.1, p<0.001), 체중도 남한 어린이가 더 무거웠다(42.0±9.5 vs 38.1±9.4, p<0.001). 영양지수 점수는 남한 초등학생 군(63.1±12.1)이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군(59.2±14.5) 보다 더 높았고(p=0.009), 영양지수 영역 중 균형요인, 다양요인, 실천요인은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점수가 낮았으나 다양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규칙요인은 남한 초등학생에 비해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점수가 더 높았다.

연구결론(Conclusion): 북한이탈 가정의 어린이와 남한 가정의 어린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Background: As the number of displaced North Koreans entering South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ations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no trace of the nutritional status or growth of children who have escaped from Nor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11 to 13 from displaced North Korean (NK) families to compare their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with those from South Korean (SK) families.

Method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based on a total of 395 children, aged 11-13 years old from both NK and SK. Survey papers, interviews and physical measurements were collected on 101 NK children through local Hana-Center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comparative group which were surveyed are 2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K in Gwangju and Ulsan. The questionnaire included a Nutrition Quotient (NQ) to evaluate children's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mass index between NK children and SK children but the height of SK children was larger than that of NK children (146.9± 9.3 vs. 140.8±0.1, p<0.001), and the weight of SK children was also heavier (42.0±9.5 vs 38.1±9.4, p<0.001). The nutrition index score was higher for SK children than NK children (63.1±12.1 vs 59.2±14.5, p=0.009). Additionally, the balance factor, variety factor, and the practice factor were lower for the NK children, while the diversity factor had little difference, but the regularity factor was higher for the NK childre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are needed to narrow the gap between children from displaced NK families and SK families.

Keyword: Displaced North Korean; South Korea; Growth; Nutrition Quotient.
Alternative Title
Comparison of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Between Displaced North Korean Children in South Korea and South Korean Children
Alternative Author(s)
Park,Kyung-A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최성우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 목 차 ⅲ
ABSTRACT ⅳ

Ⅰ. 서론 1

Ⅱ. 연구 방법 3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3
2. 조사내용 4
A. 일반적 사항 4
B. 성장상태 5
C. 영양상태 7
3. 자료처리 및 통계 분석 8

Ⅲ. 연구 결과 8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8
2. 출생국가 및 입국년도 9
3.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분포 11
4. 북한이탈 어린이와 남한 어린이의 영양지수 비교
12
5. 북한이탈 어린이와 남한 어린이의 성장 상태 비교
14

6. 북한이탈 어린이와 남한 어린이의 영양 장애 비교
15

Ⅳ. 고찰 16

Ⅴ. 요약 및 결론 19

참고문헌 20

부록 2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Citation
박경애. (2020). 북한이탈가정 어린이와 남한 어린이의 성장과 영양상태 비교.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14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2889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Parmacy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