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미술치료를 활용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펠트매체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주경숙
Issued Date
2018
Keyword
미술치료, 청소년, 자아정체감, 진로성숙, 질적 사례연구, 펠트
Abstract
ABSTRACT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go-Identity and
Career Maturity of Youth Using Art Therapy :
Centering on felt media
Ju Kyoung Suk
Professor : Kim Seung-hwan
Design Department and Art psychology major
Chosu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e tha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go-identity and career maturity of young people by
conducting qualitative case study of youth’s ego-identity and career
maturity using art therapy. While creating a positive sense of self
while seeking to find one’s dream, the study’s significance is to
help recognize and choose the path appropriate to one’s abilities
and interests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To realize this significanc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how does art therapy affect youth's ego-identity?
Second, how does art therapy affect youth's career maturity?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recommendation
and consent of the director to youth who are currently
exploring their career path among students from the
S Academy. Prior to the art therapy program, the
center conducted the ego-identity test, the career maturity test,
and the personality test. In the last session, the same test was
conducted as the post-examination, and each individual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by comparing the changes.
If you look at the proofs of realizing a research problem,
First,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youth's
ego-identity showed that art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youth`s ego-identity.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youth`s
career maturity showed that art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youth`s career maturity.
The results showed that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for youth`s who wanted to find a dream in
the future and improved career maturity so that they could find and
decide their career path. Therefore, I hope that art therapy programs
will be actively used to help teenagers navigate their careers in a
more emotionally stable environment during th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sensitive teenage years.
Subject: Art therapy, youth, ego-identity, career maturity,
qualitative case study, felt medium.|미술치료를 활용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펠트매체를 중심으로
주 경 숙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 미술심리치료전공
(지도교수 : 김 승 환)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활용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를 함으로써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자신의 꿈을 찾아 가
는 청소년시기에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함과 동시에 진로 탐색 과정
에서 자신의 능력과 흥미에 적합한 진로를 인지하고 스스로 선택하는데 도
움을 주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다.
이와 같은 의의를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
하였다.
첫째,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S시에 소재한 미술학원의 재원생 중에서 현재 자신의 진로를
탐색해 가는 과정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원장님 추천과 본인 동의하에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었다.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에
사전검사로 자아정체감 검사, 진로성숙도 검사, 인물화 검사를 실시하였고,
마지막 회기에 사후 검사로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여 개개인마다
그 변화를 각각 비교 분석하여 질적인 연구를 하였다.

제시된 연구 문제의 실현에 대한 입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는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진로성숙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미술치료가 자신의 꿈을 찾고자 하는 청소년에게 자
아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진로를 발견하고 결정할 수 있
도록 진로성숙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신체적·정신적으
로 민감한 청소년시기에 보다 정서적으로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여 꿈을 찾
아가는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스스로 선택 할 수 있도록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적극적·지속적으로 활용되길 바라는 바이다.
주제어 : 미술치료, 청소년, 자아정체감, 진로성숙, 질적 사례연구, 펠트
Alternative Title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go-Identity and Career Maturity of Youth Using Art Therapy : Centering on felt media
Alternative Author(s)
ju kyoung suk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partment
디자인대학원 미술심리치료
Advisor
김 승환
Awarded Date
2019-02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 목차 …………………………………………………………………………… ⅳ
그림목차…………………………………………………………………………… ⅴ
국문 초록……………………………………………………………………………ⅵ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4
3.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7
1.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 7
2. 청소년기의 진로성숙도 …………………………………………………… 8
3.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11
4. 미술치료 …………………………………………………………………… 12
(1) 미술치료 …………………………………………………………………12
(2)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미술치료 ……………………………………14
(3)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미술치료 ………………………………………15
(4) 펠트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16
5. 질적 연구 ……………………………………………………………………17
Ⅲ. 연구방법 ………………………………………………………………………18
1. 연구 대상 ……………………………………………………………………18
2. 연구 도구 ……………………………………………………………………18
(1) 자아정체감 검사 ……………………………………………………… 18
(2) 진로성숙도 검사 ……………………………………………………… 19
(3) 인물화 검사(투사 검사) …………………………………………… 22
3. 연구 절차 ………………………………………………………………… 24
(1) 미술치료프로그램 구성 ……………………………………………… 24
(2) 미술치료프로그램 단계별 목표 …………………………………… 25
(3) 미술치료프로그램 …………………………………………………… 26
4. 자료 분석 ………………………………………………………………… 27
Ⅳ. 연구결과 ………………………………………………………………………27
1. 자아정체감 사전·사후 검사 결과 …………………………………… 28
(1) 연구대상 S의 자아정체감 사전·사후 검사 결과 ……………… 28
(2) 연구대상 D의 자아정체감 사전·사후 검사 결과 ……………… 29
(3) 연구대상 C의 자아정체감 사전·사후 검사 결과 ……………… 30
2. 진로 성숙도 사전·사후 검사 결과 ………………………………… 31
(1) 연구대상 S의 진로 성숙도 사전·사후 검사 결과 …………… 31
(2) 연구대상 D의 진로 성숙도 사전·사후 검사 결과 …………… 32
(3) 연구대상 C의 진로 성숙도 사전·사후 검사 결과 ……………… 33
3. 인물화 검사 사전·사후 검사 결과 ………………………………… 34
(1) 연구대상 S의 인물화 검사 사전·사후 검사 결과 ……………… 34
(2) 연구대상 D의 인물화 검사 사전·사후 검사 결과 ……………… 36
(3) 연구대상 C의 인물화 검사 사전·사후 검사 결과 ……………… 38
4. 미술 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 40
(1) 연구대상별 1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40
(2) 연구대상별 2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43
(3) 연구대상별 3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46
(4) 연구대상별 4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49
(5) 연구대상별 5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53
(6) 연구대상별 6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57
(7) 연구대상별 7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60
(8) 연구대상별 8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63
(9) 연구대상별 9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66
(10) 연구대상별 10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 및 작품 분석 69
5. 연구대상자의 단계별 작품 분석 요약………………………………… 72
(1) S학생의 단계별 작품 분석 요약………………………………………72
(2) D학생의 단계별 작품 분석 요약………………………………………74
(3) C학생의 단계별 작품 분석 요약………………………………………76
Ⅴ. 결론 및 제언……………………………………………………………… 78
1.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 78
2. 제한점 및 제언 …………………………………………………………… 82
참고문헌 ………………………………………………………………………… 83
ABSTRACT ………………………………………………………………………… 89
부록 ……………………………………………………………………………… 9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Citation
주경숙. (2018). 미술치료를 활용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성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펠트매체를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71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168
Appears in Collections: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2-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