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국 동북지역 진출을 위한 중·한 경제협력 발전방안

Metadata Downloads
Author(s)
혁동
Issued Date
2007
Keyword
중국 동북지역|경제협력|무역경쟁력|경제발전|중국진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s and pending issues related to the localization of Korea companies and government plans in China and to grope for meaningful alternative countermeasures.
Dongbei's three provinces composed of Liaoning, Jilin and Heilongjiang are located in the northeast of China. The total area is 3.6 times larger than the Korea Peninsula, and the total population is about 100 millions. The national border among Russia, Mongolia and North Korea ranged 4,650km.
The Chinese government is going to drive forward with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is area for the central pivot of northeast Asia in the future.
Also the Chinese government plans to structures various infrastructures in this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exploit an opportunity at this point and strongly cooperate with Dongbei's three provinces.
The three provinces of chinese Northeast, Liaoning, Heilongjiang and Jilin Provinces, which are examined in this paper, play a practical bridging role in trade between Korea Peninsula. In these three Chinese Northeastern Provinces, some twenty thousand Koreans run 5 thousand or so enterprises an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region is formed and maintained as about seven hundred individuals are moving from one place to the other and vice versa.
In future, if it becomes possible to move the logistics from our country to Russia and Europe passing the North Korea the rail-road and the highway, and to equip producing and exporting system in this region, it may become a good advancing opportunity for companies to prepare the future.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romoting Method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for Approach to the Northeast Provinces of China
Alternative Author(s)
He, Do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무역학과
Advisor
서갑성
Awarded Date
2007-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구성 =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기존문헌 검토 = 3
제 2 장 중국 동북지역의 전반적 이해 = 5
제 1 절 중국의 동북지역 정책 = 5
1. 동북지역의 중요성 및 미·중관계 = 5
2. 중국의 동북지역 정책 및 전략기조 = 10
3. 중국의 한반도 정책과 남북관계 = 11
제 2 절 중국 동북지역의 경제적 현황과 특징 = 16
1. 중국 동북지역의 경제현황 = 16
2. 중국 동북지역의 경제적 특징 = 19
가. 경제적 강점 = 19
나. 경제적 약점 = 21
제 3 장 중·한 주요산업의 무역경쟁력 및 한국 기업의 동북지역 투자 현황 = 24
제 1 절 중·한 무역관리제도 비교분석 = 24
1. 중국의 무역관리제도 = 24
가. 대외무역법의 기본원칙 = 24
나. 대외무역관리 기관 = 26
다. 대외무역경영자의 등록제 = 27
라. 대외무역관리의 객체 = 27
마. 적용지역 = 28
2. 한국의 무역관리제도 = 28
가. 대외무역의 관리체계 = 28
나. 대외무역관리기관 = 29
다. 대외무역주체에 대한 관리 = 29
라. 대외무역객체에 대한 관리 = 30
마. 대외무역법의 적용지역 = 30
제 2 절 중·한 주요산업의 무역경쟁력 현황 = 30
1. 중·한 무역구조 = 30
가. 한국과 중국의 국가별 수출비중 = 30
나. 한국과 중국의 산업별 수출비중 = 32
2. 무역경쟁력 지수 분석 = 37
가. 시장점유율 분석 = 37
나. 현시비교우위지수 분석 = 40
3. 무역특화지수(TSI) 분석 = 44
4. 산업 내 무역지수 분석 = 48
제 3 절 한국기업의 동북지역 투자현황 = 51
1. 한국기업의 중국 투자 = 51
2. 동북3성 진출 한국기업의 투자 및 철수현황 = 51
가. 동북3성 진출 한국기업의 투자 및 철수 현황 = 51
나. 중국 동북3성 진출 한국기업 철수 현황 = 54
3. 동북지역 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 현황 = 57
가. 인사·노무관리 = 57
나. 생산·품질관리 = 59
다. 영업·마케팅 = 62
라. 재무·세무회계관리 = 65
마. 경영 현지화 = 66
제 4 장 중·한 경제협력의 현황 = 68
제 1 절 중·한 무역동향 = 68
1. 중·한 양국의 對 주요국가별 무역동향 = 68
2. 중·한간의 무역동향 = 71
가. 양국간의 교역동향 = 71
나. 품목별 교역 동향 = 73
제 2 절 중·한 투자동향 = 78
1. 한국의 對 중국 투자동향 = 78
가. 국가별 對中 투자동향 = 78
나. 한국의 對中 투자 동향 = 80
2. 중국의 對韓 투자동향 = 87
제 3 절 중·한 산업협력 및 경합 동향 = 89
1. 산업협력관계 동향 = 89
2. 중·한 산업 경합관계 현황 = 92
가. 아세안 시장별 한·중 경합 현황 = 94
나. 일본시장에서의 한·중 경합현황 = 96
제 2 절 중·한 경제협력 발전방향 = 98
1. 정부의 통상정책적 발전방향 = 98
가. 對 중국 통상정책 방향 전환의 필요성 = 98
나. 중국 산업협력정책 전환 필요성 = 99
다. 중국의 시장개방 압력에의 대응 연구 = 99
2. 기업의 전략적 발전방향 = 99
가. 중국의 내수시장 접근을 위한 선결 과제 = 99
나. 新산업 분야 시장선점 노력 = 101
다. 서부지역에 대한 진출 확대 필요 = 101
라. 저가 수출 지양 = 102
마. 경기흐름에 대한 정확한 판단 = 102
바. 다양한 투자기법 활용 = 102
사. 산업별 특화전략 수립 = 103
제5장 요약 및 결론 = 104
제1절 요약 및 결론 = 104
참고문헌 = 10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혁동. (2007). 중국 동북지역 진출을 위한 중·한 경제협력 발전방안.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91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45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7-11-1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