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비교우위전환에 따른 중국의 무역정책의 선택

Metadata Downloads
Author(s)
두위
Issued Date
2006
Abstract
The basic actuating force of deviding work is comparative advantage.From utter comparative advantage of Smith to Ricardo's relative comparative advantage, from ELI.Heckscher and Bertil Ohlin 's Factor Endowments Theory to Dixit-Stiglitz Theory, and integration comparative advantage of inframarginal economics, the theory of comparative advantage experienced the process in which exogene comparative advantage and endogenesis comparative advantage were going together, single factor comparative advantage developed to multifactor comparative advantage.
After world war2 the countries which chose the stratagems of overtaking or import substitution failed in achieving the a development aim. But someother countries or areas got high accomplishment which did not use or used stratagems of overtaking and import substitution less. They are Korea, Honkong, Singapore, Taiwan,etc.
In china, the econmic is developed in disproportion way. The richer area shuold offer up in independent creation. After necessary accumulateion, they should go out their traditional comparative advantage, and make up new economic growth model, which should be built up with their own industry status. In other area of China, comparative advantage thoery is also the baisc fundamental, and develop their technology and make foamous brand.
Alternative Title
The Selections of Comparative Advantage Changing in Chinese Trade Policies
Alternative Author(s)
Du, We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무역학과
Advisor
박노경
Awarded Date
2007-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 5
제1장 서론 = 7
제1절 연구계획 및 내용 = 7
제2절 연구배경 및 목적 = 8
제2장 비교우위원칙 = 10
제1절 개발도상국의 비교우위전환의 학술논쟁 = 10
제2절 개발도상국의 비교우위전환의 실례연구 = 15
제3장 관계요소분석 = 18
제1절 일개국의 비교우위 형성의 결정적 요소 = 18
1. 기술격차와 비교우위의 형성 = 18
2. 주어진 요소와 비교우위형성 = 19
제2절 개발도상국의 비교우위전환의 결정적인 요소 = 21
1. 자본의 축적 = 21
2. 기술발전 = 23
3. 새로운 제도의 창조와 개발도상국의 비교우위전환 = 25
4. 인력자본의 축적과 개발도상국의 비교우위전환 = 29
제4장 모델논증 = 31
제1절 비교우위전환의 준비단계 = 31
제2절 비교우위전환의 제1단계 = 33
제3절 비교우위전환의 제2단계 = 37
제5장 무역정책 = 40
제1절 비교우위전환 제1단계의 무역정책선택 = 40
1. 대대적으로 작업집약형산업 = 40
2. 기존의 구비되지않은 비교우위의 자본과 기술집약형산업 = 44
3. 외국자본을 적극유치 = 45
4. 대외무역체계의 개혁과 제도창조를 적극 실시한다 = 46
제2절 비교우위전환의 제2단계에서 선택하는 무역정책 = 48
1. 보호 업종의 선택 = 49
2. 국제규칙에 부합되는 적당한 보호조치를 도입한다 = 50
3. 국내시장 역할의 발휘를 중시하고 국내시장으로 비교우위의 전환을 지지한다 = 51
제6장 중국의 무역정책 선택 = 53
제1절 중국의 비교우위전환의 현재상황 = 53
1. 중국의 비교우위전환역사에 대한 회고 = 53
2. 중국의 산업구조 현재상황 = 54
3. 중국의 무역구조 현재상황 = 56
4. 중국의 각종 수출제품의 비교우위분석 = 56
제2절 중국의 국제적환경의 분석 = 60
1. 날로 깊어가는 글로벌경제일체화 = 60
2. 글로벌무역의 자유화발전과 새로운 무역보호주의가 공존하는 것이다 = 61
3. WTO의 체계: 중국이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게임규칙 = 62
제3절 중국의 무역정책 선택 = 63
1. 중국WTO 가입후 = 63
2. 국제규범에 부합되는 무역정책수단 = 64
3. 외자정책 = 66
4. 제도개혁 = 67
제7장 결론 = 6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두위. (2006). 비교우위전환에 따른 중국의 무역정책의 선택.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63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04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6-2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