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현대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항목 개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유나
Issued Date
2023
Keyword
공공성, 공공청사, 퍼블릭 인티머시, 시민문화공간, 평가항목
Abstract
In today's society, public architecture is a value that we can us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public developing various angles. Especially, due to the changing of the paradigm about the nature of public, Public Buildings are showing the trend of the times. In Korea, however, the history of Public Buildings has not been long due to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even recently, the architecture and space of Public Buildings have been regarded as a means of expression symbolizing the authority of the city. According to the above reason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Buildings and citizens has formed an coercively hierarchy, rather than forming a close and friendly one. But Korea also tried to reorga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with the beginning of the era of local self-government. In this way, the Modern Public Building has been trying to form an "Intimacy" relationship with citizens in terms of aspects of architecture and space.
Researchers started to place importance on this tren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Intimacy" as a familiar state as “the intimacy bond" with citizens is necessary based on the nature of public. Public Intimacy is a value that extends the concept of architecture and space, starting from sociology and psychology, and makes people feel close in social life. By doing so, It’s worthwhile to maintain a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and Public Spaces or Public Buildings.
As a result, this study focuses on reflecting the trend of today’s need on the Modern Public Buildings to revitalize citizen-centered spaces in various ways. Furthermore, It has been developed that the space Evaluation items to propose the organized spatial foundation of Public Building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ublic intimacy.
This study covers Public Buildings which represent each city's culture and can create and vitalize a cultural space for citizens. And it consists of the space Evaluation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Public Buildings.
There are five space Evaluation items (openness, placeness, recognition, accessibility, and experientiality) that are extracted by analysis of Public Intimacy space. In order to organize the foundation in the practical aspect of space, it was visualized divided into the top level items and subitems. The top level items are extracted by means of surveys conducted with experts and reserve experts so as to bridge from spac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timacy to preliminary space Evaluation items for Public Intimacy affording a basis for previous studies that systematized space evaluations. The subitems are made up of preliminary space Evaluation items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top level items which are researched on the Guideline and Checklist of Public Buildings in Korea. Eventually, the final preliminary space Evaluation items were drawn by Regression analysis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effect. Because this study is for a new area to introduce to organize the foundation of Public Intimacy.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120 members of citizen who visited Public Buildings. The analysis showed that “placeness” had no significant impact among the top five items, and the subtimes ten of were excluded.
With the above result, the 1st Importance survey to analyze reliability, correlation, and importance was conducted with 50 members of expert and 100 members of citizen who used public buildings. In both groups, the first place is accessibility, the second is recognition, and the third is different. Experts put more importance on openness, on the other hand, citizens pick experientiality. After investigating the subitems about the importance, the following must be carried out to promote effective formation of Public Intimacy in Public Buildings. At first, the local self-government should check the improvement of Public Buildings by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citizens, and reflect the opinions of experts to create spaces for various people to use.
The 2nd Expert Verificatio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by means of FGI(Focus Group Interview). Overall, the top level items received an average of more than 4 points. Some subitems were reduced and supplemented by the opinions of the interview, and some of the terms were modified to improve readability and understanding. Therefore, 4 top level items (openness, recognition, accessibility, and experientiality) and 26 subitems were organized.
Next, one Public Building in Busan was selected as an example. This is to diagnose and utilize the space Evaluation item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5 government employees of Busan, that Public Building received a high rating of more than 4 points on average and got high scores in order of experientiality, accessibility, recognition, and opennes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detailed Evaluation items was fou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which translates that the positive evaluation part should be promoted, and the negative one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Public Intimacy into Modern Public Buildings and developed Evaluation items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space in order to make to develop it with citizens. The effect and value of the Evaluation items were proved through the above analysis and verification processes. However, Public Intimacy still lacks data and needs to be kept researched. I hope it i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theory of Public Intimacy and space. And this study is limited Public Building models in Kore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Public Building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each local district. And then, Public Intimacy will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value for diverse urban spaces.|현대 사회에 있어서 공공건축은 다각도에서 발전하고 있는 공공성(public)을 이해할 수 있는 자산이다. 특히 공공성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공공청사 또한 시대적 흐름을 표현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 공공청사의 역사 또한 오래되지 않았으며 비교적 최근까지도 공공청사의 건축과 공간은 그 도시의 권위를 상징하는 표현 수단으로만 여겼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도시민과 공공청사는 친근하고 긍정적인 관계보다는 다소 위압적인 상하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점차 국내에서도 지방자치 시대의 시작과 함께 도시민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현대 공공청사는 건축·공간적 측면에서 도시민과 ‘친밀한(intimacy)’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공공성을 기반으로 도시민과 ‘친구(the intimacy bond)’와 같은 가까운 상태 의미로서 ‘퍼블릭 인티머시(public intimacy)’의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에 연구자는 주목하였다. 퍼블릭 인티머시란 사회·심리학을 시작으로 건축·공간 측면으로 확장된 개념이자 사회적 가까움을 느끼고 이로써 도시민과 공공공간 혹은 공공건축 사이에서 지속 가능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공공청사가 다양한 시도를 통해 시민 중심의 공간을 마련하고자 하는 시대적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더 나아가 퍼블릭 인티머시 대입을 통한 체계화된 공간의 기초적 기틀을 제안하는 공간 평가항목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지방자치단체 청사 중 행정구역의 대표적인 특성을 보이며 다양한 시민문화공간 조성이 가능한 국내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시의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삼아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간평가 항목을 구성했다.
공간평가 항목은 퍼블릭 인티머시 공간 분석을 통해 도출한 5개(개방성, 장소성, 인지성, 접근성, 체험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더욱 실용적인 측면에서 공간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으로 구체화했다. 상위 항목은 본 연구의 목적과 같이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 예비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 평가를 체계화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퍼블릭 인티머시 공간 특성과 연결하기 위해 전문가 및 예비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도출했다. 하위 항목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국내 공공청사 관련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를 기초로 두고 상위 항목에 따라 재분류하여 평가 예비항목을 구성했다. 더 나아가 공간의 기초적 기틀을 마련하는 새로운 영역의 연구임에 따라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한 실증적 효과를 입증하여 최종 평가 예비항목을 추출했다.
실증분석은 공공청사 방문 및 사용 경험을 지닌 일반인 120명 대상으로 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5개의 상위 항목 중 유일하게 장소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이와 같이 하위 항목 10개를 제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차 중요도 조사는 전문가 50명과 공공청사 이용 경험이 있는 일반인 10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상관관계, 중요도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동일하게 1위 접근성, 2위 인지성을 나타냈으며, 3위에 대해 전문가는 개방성을, 일반인은 체험성을 더욱 중요시 여겼다. 더불어 하위 항목까지 중요도 분석을 살펴본 결과, 일반인의 의견을 참고하여 해당 공공청사의 개선 사항을 먼저 검증하고, 더욱 다양화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형성을 도모해야 한다.
2차 전문가 검증은 FGI 방식을 채택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한 결과, 전체적으로 상위 항목은 평균 4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며, 면접과 인터뷰에서 제안된 의견에 따라 해당 항목을 축소 및 보완하고, 일부 항목의 경우 이해도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용어를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4개 상위 항목(개방성, 인지성, 접근성, 체험성)과 26개의 하위 항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 평가항목의 진단과 활용을 위해 선정한 사례를 바탕으로 관리관계자 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해당 사례는 체험성, 접근성, 인지성, 개방성 순으로 전체 항목에 대한 평균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사례의 특징에 따른 점수 차를 보이는 세부 항목 분석을 통해 사례의 긍정적인 평가 부분은 더욱 활성화하고 부정적인 평가 부분은 개선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대입을 통해 도시민과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건축·공간적 측면에서 기초적 기틀을 평가항목 개발로써 제안하였으며, 일련의 분석과 검증 과정을 통해 그 효과와 가치가 있음을 나타냈다. 한편, 본 연구는 퍼블릭 인티머시의 단어 혼용과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에 따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용어 정리와 개념, 공간적 접근 등 개념 구체화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또한 국내 공공청사의 적용 범위를 한정하고 있는 한계점을 지님에 따라, 공공청사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그에 따른 적용 필요 조건에 접근해 행정구역마다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항목을 구축하는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Public Intimacy Evaluation items in the Modern Public Building
Alternative Author(s)
Lee Yuna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Advisor
윤갑근
Awarded Date
2023-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3 연구 흐름도 5
제2장 이론적 고찰 6
2.1 공공청사의 이해 7
2.1.1 공공청사의 패러다임 변화 7
2.1.2 공공청사의 기본 이해 11
2.2 퍼블릭 인티머시 17
2.2.1 퍼블릭 인티머시의 고찰 17
2.2.2 퍼블릭 인티머시 구조 및 특성 25
2.2.3 공공청사와 퍼블릭 인티머시의 연계성 35
2.3 선행연구 35
2.3.1 주제어 관련 선행연구 35
2.3.2 연구의 차별성 41
제3장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공간 42
3.1 국내 공공청사 현황 이해 43
3.1.1 공공청사의 현황 및 공간 43
3.1.2 현황 조사 47
3.2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공간 57
3.3 선행자료 분석 66
3.3.1 국내 공공청사 관련 가이드라인 66
3.3.2 소결 94
제4장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항목 97
4.1 공간 평가항목 설정 98
4.1.1 상위 항목 설정 100
4.1.2 하위 항목 및 세부 내용 설정 104
4.2 평가 예비항목 실증분석 106
4.2.1 연구 방법 106
4.2.2 실증분석 109
4.3 평가 예비항목 검증 118
4.3.1 평가 예비항목 1차 선정 및 중요도 조사 118
4.3.2 평가 예비항목 2차 선정 및 전문가 검증 131
4.3.3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최종 평가항목 132
제5장 평가항목 적용 사례분석 134
5.1 사례 평가 개요 135
5.1.1 사례 선정 및 기초 분석 135
5.1.2 사례 평가 표본 설정 및 조사 138
5.2 평가 내용 및 결과 138
제6장 결론 141
6.1 연구 결과 및 시사점 142
6.2 향후 연구 방향성 145
참고문헌 147
부록 15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유나. (2023). 현대 공공청사의 퍼블릭 인티머시 평가항목 개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6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692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