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뉴 미디어 공간이 플로우(Flow)와 현전감(Presence)에 미치는 영향 평가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리현
Issued Date
2022
Keyword
공간, 뉴 미디어, 가상공간, 가상적공간표현
Abstract
The advent of the Internet and computers has ushered in the digital age of communication as a new medium (New Media) and a different virtual space. In addi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ICT, various media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cusing on "virtual reality" between the real and virtual worlds.
Based on the digital age, this development of media has affected the multilateral perspective of the social structure, including art, and has changed the human perception and spatial system. The influence of "new media art," which began to express the combination of space and new media, has penetrated into indoor space and is emerging as a new expression of space design.
New media, which project images integrated into three-dimensional space, show new possibilities for virtual space by creating an enhanced reality in which virtual images overlap with real space. The hypothetical dimensions of new media that appear in modern space are difficult to understand based on physical space elements such as ceilings, walls, and floors, and characteristics such as permanence, fixation, and construction. Therefore, new definitions and methods of understanding of today's new media space are needed. Some argue that the new media space should be viewed as "new media space content" from the viewpoint of visual design because it needs to deal with the new media a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um and is eventually realized through a flat interface. However, space is important in the fantasy environment experienced in the new media space as mentioned new media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t only the basic knowledge of space structure, size, scale, line of movement, speed,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tial environment. At the time of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on virtual space as an area of space was actively underwa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virtual space environment is a new area of spatial design and an extension of spatial design.
In this study,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new media space design are present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new media characteristics on fantasy recognition, flow and modern feeling.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represented in space are deriv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s understood by theoretical examination of fantasy experience, flow and existence. Then, based on previous research, a survey was prepar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experts in design (space design, public design, industrial design, visual design) and architecture were survey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hypermedia and multi-sensory experience of new medi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low of indoor space as well as on the present. In particular, cyberspace is the biggest influence on fantasy experie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in indoor space, which can be evaluated as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a survey of only 68 experts, so there is a limit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re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cyberspace, interaction, hypermedia and multi-sensory experienc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in indoor spa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onsider the following additional studies in subsequent studies.
At a time when media that combines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is developing,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data will be used in future spatial design research data.|인터넷과 컴퓨터의 등장은 기존의 미디어와는 새로운 미디어(New media)로 다른 가상공간의 차원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디지털시대를 알렸다. 그리고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중심으로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융합’인 가상현실(Virtual Reality)에 주목하며 이에 관련한 다양한 미디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의 발전은 디지털시대를 기점으로 예술을 포함한 사회구조의 다각적 관점에 영향을 끼치며 인간의 인식과 공간체계를 바꾸어 놓았다. 공간과 뉴 미디어의 결합을 표현하기 시작한 뉴 미디어 아트의 영향은 실내공간으로 스며들어 공간디자인의 새로운 공간표현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입체적인 공간에 일체화된 영상을 투사하는 뉴 미디어는 가상의 이미지가 현실의 공간과 중첩되는 증강된 현실을 연출함으로써 가상공간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현대공간에 나타나는 뉴 미디어의 가상 차원은 천장, 벽, 바닥과 같은 물리적 공간의 요소와 영구성, 고정성, 구축성 등의 특성을 기준으로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오늘날 뉴 미디어 공간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방법을 통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뉴 미디어 공간은 정보전달 매체인 뉴 미디어를 다뤄야 하고 결과적으로는 평면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되기 때문에 시각디자인 관점에서 ‘뉴 미디어 공간 콘텐츠’로 봐야한다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뉴 미디어 공간에서 경험하게 되는 판타지적인 체험환경은 공간감이 중요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공간의 구조나 크기, 스케일, 동선, 속도 등에 관한 기초 지식뿐만 아니라 인간과 공간환경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미 3차 산업혁명 당시 가상공간을 공간의 영역으로 다루는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졌었다. 이러한 관점으로 가상공간 환경은 공간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이며, 공간디자인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실내공간에 표현되고 있는 뉴 미디어 특성이 판타지 인식, 플로우 및 현전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뉴 미디어 공간디자인의 방향성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간에 표현된 뉴 미디어의 특성을 도출하고, 판타지경험, 플로우, 현전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변수들사이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실증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디자인(공간디자인, 공공디자인, 산업디자인, 시각디자인) 및 건축 분야 전문가를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새로운 기술이 접목된 실내공간에 표현연출에 있어서 뉴 미디어 특성 요인인 사이버 스페이스, 상호작용성, 하이퍼 미디어, 다감각체험 특성은 실내공간에서 실내공간 이용자의 판타지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판타지경험은 실내공간에서 플로우 뿐만 아니라 현전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내공간에 표현된 뉴 미디어 특성이 판타지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이버스페이스가 판타지경험에 가장 큰 영향 요인임을 관련분야 전문가들을 통한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학술적인 시사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는 전문가 68명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확대해석하여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뉴 미디어 특성을 기존의 여러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사이버 스페이스, 상호작용성, 하이퍼미디어, 다감각체험 등의 4개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나, 연구자마다 그 분류에 다소 차이가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실내공간에 표현된 뉴 미디어 특성의 하위요인 및 설문 문항에 대하여 다소 주관적일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음의 사항이 고려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융합하는 미디어가 발달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 자료가 앞으로의 공간디자인 연구 자료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Alternative Titl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New media space on Flow and Presence : Using Fantasy Experience as a medium effect
Alternative Author(s)
KIM Rihy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Advisor
윤갑근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ⅶ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3 연구 흐름도 7

제2장 이론적 고찰 8
2.1 뉴 미디어를 활용한 공간 9
2.1.1 실내공간과 뉴 미디어 9
2.1.2 뉴 미디어를 활용한 공간표현 16
2.2 뉴 미디어 공간에서 판타지와 플로우, 현전감 경험 28
2.2.1 판타지경험 28
2.2.2 플로우와 현전감 30
2.3 선행연구 35
2.3.1 선행연구 고찰 35
2.3.2 연구의 차별성 42

제3장 연구방법 44
3.1 연구모형 45
3.2 가설의 설정 46
3.3 조사의 설계 49

제4장 실증분석 57
4.1 기초통계분석 58
4.2 측정문항의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61
4.3 공간별 뉴 미디어 특성, 판타지, 플로우, 현전감 평가 74
4.4 가설검증 80
4.5 소결 95

제5장 결론 97
5.1 연구 결과 및 시사점 98
5.2 향후 연구 방향 101

참고문헌 103

부록 109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리현. (2022). 뉴 미디어 공간이 플로우(Flow)와 현전감(Presence)에 미치는 영향 평가.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48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582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