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과서의 사회정서학습(SEL) 요소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서영
Issued Date
2021
Keyword
사회정서학습, SEL
Abstract
사회정서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은 학교 인성교육의 구체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를 분석하고, 과학 교육에서 사회정서학습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등 공통 이수 과목들의 성취기준 139개와 교과서의 학생 활동 496개를 박현주(2017)의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단위에 포함된 과학과 사회정서 학습 요소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가 2개 이상 포함되어 있을 경우 중복하여 표기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과서에는 특정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가 편중되어 포함되어 있었고, 윤리적 이해와 문화적 이해 요소는 매우 제한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성취기준과 교과서에 포함된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를 비교한 결과 7개의 요소 모두 교과서에서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과학 교육에서 사회정서학습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해설을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하며,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가 골고루 포함되도록 교과서를 구성해야 한다. 또한 과학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하다.|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is drawing attention as a alternative to personality education i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ience Social Emotional Learning elements o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science textbooks, and suggests in educating social emotional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139 achievement standards of required science courses such as middle school science, integrated high school science, and science inquiry experiments, and science activities in textbooks for those required courses. The analysis unit was organized as follows: an achievement statement of national curriculum, and one inquiry activity. The elements of Science Social Emotional Learning included in each analysis unit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rithmetic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Alternative Title
Study on Social Emotional Learning (SEL) Elements in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Alternative Author(s)
Kim Seo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화학교육
Advisor
박현주
Awarded Date
2021-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3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사회정서학습(SEL) 4
1. 사회정서학습(SEL)의 정의 및 개념
2. 사회정서학습(SEL)의 핵심역량
3. 사회정서학습(SEL)의 효과
제2절 사회정서학습(SEL)과 학교교육 10
1. 사회정서학습(SEL)과 2015 개정 교육과정
2. 사회정서학습(SEL)의 교과목 적용
제3절 사회정서학습(SEL)과 과학교육 13
1.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2. 과학교육의 사회정서학습(SEL) 요소

제3장 연구 방법 18
제1절 연구 절차 18
제2절 분석 대상 및 범위 20
1.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활동
제3절 분석 방법 21
1. 분석틀 구성
2. 자료 수집 및 분석

제4장 연구 결과 29
제1절 성취기준의 사회정서학습(SEL) 요소 분석 29
1. 중학교 성취기준
2. 고등학교 성취기준
제2절 교과서의 사회정서학습(SEL) 요소 분석 35
1. 중학교 교과서
2. 고등학교 교과서
제3절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분석 결과 비교 41
1. 중학교 과학 성취기준과 교과서 비교 분석
2. 고등학교 과학 성취기준과 교과서 비교 분석

제5장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48

부록 5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서영. (2021).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과서의 사회정서학습(SEL) 요소 분석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93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271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8-2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