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파닉스와 통문자 지도법이 초등학생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소윤
Issued Date
2019
Abstract
English education is gett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Korea. Reading stories is a useful way to learn English, for especially beginner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reading method for early English reade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tudent’s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eaching methods: phonics and whole-word approaches, interests in reading English words, reading English with visual and auditory phoneme discrimination in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fourteen participate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 students in 3rd grade and seven in 4th grade) studying out of the same textbooks) participated in. Pre-tests for visual and auditory phonemic discrimination and for reading English words were conducted first, and post-tests to evaluate student’s interests in English reading and self-confidence were conducted. The results from pre-tests for the visual and auditory discriminant, show that the two groups have the same mean values. Results from post-tests showed that the mean score of group with whole-word approach metho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phonics method. The pre-test for reading English words showed non-significant results but the post-test showed the mean score of the phonics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For interests in reading English, the mean score of the phonics group was slightly higher. For self-confidence, the mean score of the other group was higher.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eaching methods: phonics and whole-word approaches, and interests in reading English and reading in English words, visual and auditory phoneme discrimination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is might be due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short period of time of studying. Based on the study results, some teaching implications are suggested about how to teach English reading for elementary students and early English learners.|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어 읽기 학습자의 시각적·청각적 음소식별력과 영어 단어 읽기, 영어 읽기의 흥미, 자신감 면에서 파닉스와 통문자 지도법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사설교육기관에서 같은 교재로 학습하고 있는 3학년 7명, 4학년 7명의 학생들로 연구가 이루어 졌다. 사전, 사후 시각적·청각적 음소식별력 검사지, 영어 단어 읽기 검사지와 사후에 이루어진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 자신감 검사지로 나누어 평가해 보았다. 시각적·청각적 변별력 검사에서의 사전 결과는 두 반의 평균값이 차이가 없어 동일집단으로 시작되었다. 사후 결과에서는 평균값이 파닉스 반보다 통문자반이 더 높게 나타났다. 영어 단어 읽기에 대한 사전 결과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왔으며, 사후 평균값은 통문자 반보다 파닉스 반이 높게 나타났다.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의 차이는 파닉스 반이 평균값이 조금 높았으며, 자신감의 차이는 통문자 반이 높게 나왔다. 하지만 초등 영어 학습자의 시각적·청각적 음소식별력, 영어 단어 읽기, 영어 읽기 흥미, 자신감면에서 파닉스와 통문자 지도법의 차이는 통계상으로 유의미 하지 않다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참여자의 수가 적었다는 것과 실험기간이 짧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Phonics and Whole-word Approaches on Elementary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Alternative Author(s)
So Yun Kim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김경자
Awarded Date
2019-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연구 문제

II. 이론적 배경
2.1 초등 영어 읽기 교육의 필요성
2.2 초등 영어 읽기 교수 방법
2.2.1 파닉스 지도법(Phonics Approach)
2.2.1.1 파닉스 지도법의 정의
2.2.1.2 파닉스 수업 지도 방법 모형
2.2.1.3 파닉스 지도법의 특성 및 효과
2.2.2 통문자 지도법(Whole-Word Approach)
2.2.2.1 총제적 언어 접근법과 통문자 지도법의 정의
2.2.2.2 통문자 수업 지도 방법 모형
2.2.2.3 통문자 지도법의 특성 및 효과
2.3 파닉스 지도법이 초등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2.3.1 시각적·청각적 음소식별력
2.3.2 영어 단어 읽기 능력
2.3.3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 자신감
2.4 통문자 지도법이 초등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2.4.1 시각적·청각적 음소식별력
2.4.2 영어 단어 읽기 능력
2.4.3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 자신감

Ⅲ.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3.2 연구 도구
3.2.1 시각적 변별 평가지
3.2.2 청각적 변별 평가지
3.2.3 영어 단어 읽기 능력 평가지
3.2.4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 자신감 검사지
3.3 실험수업의 실제
3.3.1 파닉스 수업 모형
3.3.2 통문자 수업 모형
3.4 연구 자료 수집 방법
3.4.1 사전 평가
3.4.2 사후 평가
3.5 연구 자료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1 파닉스와 통문자 지도법에 의한 초등학생의 시각적·청각적 음소식별력의 차이
4.2 파닉스와 통문자 지도법에 의한 초등 영어 단어읽기 능력의 차이
4.3 파닉스 반과 통문자 반의 영어 읽기 흥미·자신감의 차이

V. 결론
5.1 연구 요약
5.2 교육적 함의
5.3 연구의 제한점
5.4 후속연구 제언

참고문헌

부록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소윤. (2019). 파닉스와 통문자 지도법이 초등학생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34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552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8-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