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저항운동프로그램이 단거리 엘리트 육상 선수들의 체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한겨레
Issued Date
2014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how physical ability and stamina affect an elite university dash man taking part in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program in exercise group(n=8) and control group(n=8) for 8 weeks.
This study results, we carried out paired t-test for significant difference verification in groups and independent t-test between groups. Level of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with p<05. then, w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Change of Physical Ability

Statistically, weight, percentage of body fat , BMI(body mass index). of exercise grou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weight. was decreased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ntage of body fat, BMI(body mass index) in percentage of the body fat change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tatistically,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increasing percentage of body fat.(p<.01).

It is thought that the participants taking part in program didn't exercise at all before joining in measurement. Before and after percentage of body fat test., there was on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p<.01, p<.001).

2. Change of Stamina

In exercise group, all of body strength factor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of the body, explosive muscular strength, agility was increased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ontrol group, body strength factor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is study results, when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by an elite university dash man taking part in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program for 8weeks, physical ability (weight, percentage of body fat, BMI(body mass index).) of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ody strength factor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of the body, explosive muscular strength, agility) has positive influence.
Later study, in the long term we will spend much of our time and period planning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program. and give an elite university dash man data base. In addition, we want to give an elite university dash man an essential and efficient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program to make an elite university dash man good effects.
Throughout this study, if exercise program is composed of more systematic and complementary method, this exercise program will be thought to surpass record of korea's athletic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Program on Sprinter Elite Athlete's Physical Improvement
Alternative Author(s)
Han, Kyo-Reh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서영환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가설 3
4.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1. 육상 5
2. 신체조성 9
3. 체력 13
4. 저항성운동 21

Ⅲ. 연구방법 23
1. 연구 대상 23
2. 측정항목 및 방법 24
3. 연구절차 25
4. 운동 프로그램 27
5. 측정도구 31
6. 통계처리 31

Ⅳ. 연구결과 32
1. 신체구성의 변화 32
2. 체력의 변화 38

Ⅴ. 논 의 52
1. 신체능력의 변화 52
2. 체력의 변화 53

Ⅵ. 결 론 55
1. 신체능력의 변화 55
2. 체력의 변화 55

참고문헌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23
표 2. 저항성 훈련프로그램(1~2주) 27
표 3. 저항성 훈련프로그램(3~5주) 28
표 4. 저항성 훈련프로그램(6~8주) 29
표 5. 탄력밴드 훈련프로그램(1~8주) 30
표 6. 측정도구 31
표 7. 체중의 변화 32
표 8. 체지방율의 변화 34
표 9. 체질량지수의 변화 36
표 10. 근력(우)의 변화 38
표 11. 근력(좌)의 변화 40
표 12. 근지구력의 변화 42
표 13. 심폐지구력의 변화 44
표 14. 유연성의 변화 46
표 15. 민첩성의 변화 48
표 16. 순발력의 변화 50



그 림 목 차

그림 1. 연구절차 26
그림 2.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체중 변화 33
그림 3. 두 집단간 실험 전·후 체중의 변화 33
그림 4.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체지방율 변화 35
그림 5. 두 집단간 실험 전·후 체지방율의 변화 35
그림 6.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체질량지수 변화 37
그림 7. 두 집단간 실험 전·후 체질량지수의 변화 37
그림 8.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근력(우) 변화 39
그림 9. 두 집단간 실험 전·후 근력(우)의 변화 39
그림 10.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근력(좌) 변화 41
그림 11. 두 집단간 실험 전·후 근력(좌)의 변화 41
그림 12.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근지구력 변화 43
그림 13. 두 집단간 실험 전·후 근지구력의 변화 43
그림 14.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심폐지구력 변화 45
그림 15. 두 집단간 실험 전·후 심폐지구력의 변화 45
그림 16.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유연성 변화 47
그림 17. 두 집단간 실험 전·후 유연성의 변화 47
그림 18.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민첩성 변화 49
그림 19. 두 집단간 실험 전·후 민첩성의 변화 49
그림 20.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순발력 변화 51
그림 21. 두 집단간 실험 전·후 순발력의 변화 5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한겨레. (2014). 저항운동프로그램이 단거리 엘리트 육상 선수들의 체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73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799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5-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